||<-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임대수}}}'''[br]'''林大洙'''}}}}}}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임대수(1882).jpg|width=100%]]}}} || || '''초명''' ||임학수(林學洙) || || '''자''' ||호경(浩京) || || '''본관''' ||[[임(성씨)|부안 임씨]](扶安 林氏)[* 전서공파(典書公派)-주부공파(主簿公派)-진동파(眞洞派) 29세 수(洙) 항렬.] || ||<|2> '''출생''' ||[[1882년]] [[2월 12일]] || ||[[충청도]] [[공주시|공주목]] 삼기면 송담리[*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후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송담리가 되었다.] 표석골[br](現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 송담리가 있었던 위치에는 현재 [[세종호수공원]]이 들어서 있다.] || ||<|2> '''사망''' ||[[1911년]] [[6월 16일]] (향년 29세) || ||[[충청남도]] [[공주시|공주군]] 의당면 태산리[br](現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676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2년]] [[2월 12일]] 충청도 공주목 삼기면 송담리 표석골(現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에서 아버지 임헌직(林憲稷, 1848. 5. 2 ~ 1907. 11. 14)과 어머니 [[전주 이씨]](1846. 12. 9 ~ 1901. 1. 23)[* 이호원(李浩源)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충청남도]] 일대에서 의병을 일으켜 19개 군을 전전하며 전공을 세웠다. [[1907년]] [[정미 7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군]]이 [[대한제국군 해산|해산되자]] 50여 명의 부하를 모집해 다시 의병을 일으켰고, [[세종특별자치시|전의군]] 군내면 읍내리(現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 [[전의역]]과 [[천안시|직산군]] 경무소, [[정산군]] 헌병주재소 등을 습격했다. 특히 [[논산시|은진군]]에 주둔하던 [[일본군]] 헌병대의 헌병분견소를 습격해 총기 및 탄약, 서류 등을 탈취했으며, 구금되어 있던 항일운동가들을 구출했다. 이후 1907년 8월부터 1908년 2월까지 [[충청남도]] [[공주군]], [[천안군]], [[청양군]], [[당진군]], [[보령군]], [[비인군]], [[서천군|한산군]], [[부여군|임천군]], [[면천군]], [[아산시/역사|신창군]], [[아산군]], [[평택군]] 등을 전전하며 활약해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입히고, 구속되어 있던 수백 명의 항일운동가를 구출해냈다. 그러나 [[1911년]] [[6월 16일]] [[충청남도]] [[공주군]] 의당면 태산리(現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에서 [[일본 제국 경찰]]과 교전하던 중 동지 6명과 함께 전사, 순국했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유해는 [[1997년]] [[10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부안 임씨]][[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882년 출생]][[분류:1911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