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부산시)] 林甲守 [[1920년]] [[10월 22일]] ~ [[1981년]] [[9월 1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본관은 [[나주 임씨|나주]](羅州)[[https://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0|#]], 이명은 임갑수(林甲洙). == 생애 == 1920년 [[경상남도]] 동래군 서면 대연리(현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대연동]])에서 아버지 임사용(林士用)과 어머니 허순명(許順明)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임하수(林河守)라는 동생이 있다. [[경성부]] 선린상업학교(현 [[선린인터넷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일제 치하 독립운동 비밀결사 조직인 경성독서구락부 사건으로 [[서울영등포경찰서]]에 피검되었다. 또한 [[여운형]] 주도 독립 비밀 결사 건국동맹의 인천지구 조직책으로도 활동하였다. [[4.19 혁명]] 후 [[사회대중당]] 중앙당 총무위원 겸 경상남도당위원장을 지냈다. [[5.16 군사정변]] 후 투옥되었다가 1963년 출옥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정부직할 부산시 [[동래구(선거구)|동래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양극필]]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1969년 신민당이 [[3선 개헌]] 반대로 정당 자진 해산 후 재창당 될 당시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8대 총선을 앞두고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정부직할 부산시 [[동래구(선거구)|동래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이기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 국회의원]][[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나주 임씨]][[분류:남구(부산) 출신 인물]][[분류:1920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