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2424,#dddddd 일}}}{{{#FFBB00,#dddddd 장}}}{{{#47C83E,#dddddd 춘}}}{{{#FFFFFF,#dddddd 몽}}}}}}''' {{{-1 {{{#FFFFFF,#dddddd (2022)[br]Life is But a Dre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일장춘몽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판타지]], [[액션]], [[무협]], [[로맨틱 코미디]], [[호러물|호러]], [[뮤지컬]][* [[박찬욱]]이 [[#마케팅|메이킹 필름]]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공포 영화인 것처럼 시작하여, 점차 정체를 드러내며 판타지, 무협, 로맨틱 코미디, 뮤지컬로 발전해나간다고 한다.]}}}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찬욱]]}}}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찬욱]], [[박찬경]]}}}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황진하}}}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찬욱]], 박찬경, 백지선}}}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해진]], [[김옥빈]], [[박정민(배우)|박정민]]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우형}}} || ||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민재}}} || || '''프로덕션 디자이너''' ||{{{#!wiki style="margin: 0px 10px" 류성희}}} || || '''소품'''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청}}}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진희}}} || || '''분장, 헤어''' ||{{{#!wiki style="margin: 0px 10px" 송종희}}} || || '''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정숙}}} || || '''그립'''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학수}}} || || '''특수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호식}}} || || '''특수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도안}}} || || '''무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권지훈, 윤성민(서울액션스쿨)}}} || || '''안무''' ||{{{#!wiki style="margin: 0px 10px" [[모니카(댄서)|모니카]]}}}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지은}}} || ||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한준, 손승현}}} || || '''버츄얼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영수}}} || || '''디지털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형석}}}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영규[* [[이날치]]의 멤버이다.]}}} || || '''사운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석원}}}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모호필름}}} || || '''투자사,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Apple]]}}} || || '''공개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2월 18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21분}}}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tv.apple.com/kr/movie/umc.cmc.1g6q7tapuuekf2e8dhvpyq2h5|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액션 단편영화. 플레이타임은 21분이다. [[박찬욱]]이 연출하였고, [[유해진]], [[김옥빈]], [[박정민(배우)|박정민]], 우상기 등이 출연하였다. [[iPhone 13 Pro]]로 촬영하였다고 한다. == 스트리밍 영상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nzKqxtnWDY)]}}} == 마케팅 == ||
{{{#!wiki style="margin: -6px -10px" [navertv(25184196)]}}}|| || {{{#FFFFFF '''30초 예고편'''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N0HwDNX-IA)]}}}|| || {{{#FFFFFF '''메이킹 필름'''}}} || == 등장인물 == * [[유해진]] - 장의사 역 * [[김옥빈]] - 흰담비 역 * [[박정민(배우)|박정민]] - 검객 역 * [[이날치#이전 멤버|박수범]], 전효정[*특별출연] - 저승사자 역 * 우상기 - 땅장사 역 == 줄거리 == >마을의 은인, 흰담비를 묻어줄 관을 만들 나무를 구하기 위해 장의사는 무덤을 파헤친다. 그 바람에 무덤 주인의 혼백이 깨어나 자신의 관을 되찾기 위해 한바탕 소란을 벌인다. >---- >출처: 애플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1E6l, user=3.1)]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 여담 == * [[프라우드먼]]의 [[모니카(댄서)|모니카]]를 안무 감독으로 섭외했다. [[스트릿 우먼 파이터]]를 보고 팬이 된 박찬욱 감독이 직접 섭외했다고 한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559922|#]] [* 영화의 마지막 영혼들이 춤을 추는 장면에서 출연도 하였다. 크래딧에서는 본명인 신정우라고 표기되었다.] * [[Apple]]의 최고 경영자 [[팀 쿡]]이 영화 일장춘몽에 대해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알려줬다"며 찬사를 보냈다. [[https://twitter.com/tim_cook/status/1495934172900347912?s=20&t=k1-9hShMNbHi_YfZ3mrLqA|#]]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판타지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분류:한국 공포 영화]][[분류:한국의 뮤지컬 영화]][[분류:한국의 무협 영화]][[분류:한국의 단편영화]][[분류:코미디 공포]][[분류:박찬욱/작품]][[분류:전체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