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권선구의 로)] [include(틀:장안구의 로)] [include(틀:팔달구의 로)] ||<-3> {{{#white {{{+2 '''일월로'''}}}[br]日月路 / Ilwol-ro}}} || || '''기점''' ||<-2>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사거리 || || '''종점''' ||<-2>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여기산삼거리 || || '''연장''' ||<-2> 약 1.45km || || '''개통일''' ||<-2> 미상 || || '''관리''' ||<-2> || || '''왕복 차로수''' ||<-2> 6~8차로 || || '''주요 경유지''' ||<-2> 아래 서술함 || {{{+1 日月路 / Ilwol-ro }}} [목차]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여기산삼거리에서 출발하여 [[장안구]] 율전동 성균관대사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도로의 이름의 유래는 일월저수지에서 따왔다. == 특징 == 경부선 서측 화서2동 아파트 단지에서 종축 간선도로인 [[서부로(경기도)|서부로]]와 횡축 간선도로인 [[수성로(수원)|수성로]], [[정자천로(수원)|정자천로]]를 이어준다. 서수원에서 경부선 철도를 횡단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이들 도로들과 모두 교차하기 때문에,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비슷한 입지로 [[화산로(수원)|화산로]]도 이들 도로를 모두 이어주지만, [[서부로(경기도)|서부로]]와의 교차점에서 좌회전 불가, [[정자천로(수원)|정자천로]]와의 교차점에서 경부선 횡단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단점으로 교통량을 분담하지 못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정문과 연결되어 교내 진출입이 가능한 유일한 도로이다. 과거에는 삼성아파트 앞 삼거리(당시 사거리), 밤밭고가차도 하부 사거리, 기숙사지관 앞 삼거리(당시 사거리)에서도 차량 진출입이 가능했으나, 2007~2009년경 차량 출입로를 모두 폐쇄하여 이곳으로 통합되었다. == 역사 == ##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과거위성사진을 기반으로 작성한 내용으로, 정확한 사실을 알고 있다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1988년경 성균관대사거리~일월성당 구간이 개설되었다. 당시에는 일월성당~천천주공아파트(현 천천푸르지오아파트) 구간(일월로90번길)과 하나의 도로로 취급받았고, [[성균관대학교]] 부지 남쪽을 따라 순환하면서 천천주공아파트와 [[서부로(경기도)|서부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도로 폭은 왕복 1~2차로의 골목길 수준이었다. * 1992년경 여기산삼거리~율천고교삼거리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설되어, 천천주공아파트와 [[수성로(수원)|수성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화산로(수원)|화산로]]와 함께 담당했다. 당시에는 정천지하차도가 건설되지 않아 경부선을 횡단하려면 반드시 [[수성로(수원)|수성로]]를 통해야 했다. * 2001년경 여기산삼거리~율천고교삼거리 구간이 현재와 같이 왕복 7차로로 확장되었다. 화서2동, 구운동의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건설되었기 때문이고, [[정자천로(수원)|정자천로]]도 이때 왕복 7차로로 함께 확장되었고, 정천지하차도도 개설되었다. * 2004년경 율천고교삼거리~일월성당 구간이 왕복 7차로로 개설됨과 동시에, 일월성당~성균관대사거리 구간이 왕복 7차로로 확장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2009년 9월 21일 [[도로명주소]]로 「일월로」가 고시되었다. 고시 사유는 "일왕면과 반월면에서 유래된 일월저수지를 끼고 도는 도로이므로 일월로로 도로명 부여"이다. * 2016년 11월 일월성당~성균관대사거리 구간에 「성대로」라는 명예도로명이 부여되었다 [[http://news.suwon.go.kr/_Ext/news/viewPrint.php?reqIdx=147876534744187509|#]]. 명예도로 구간은 성균관대사거리를 지나 율전로64번길을 따라 율전이안아파트까지 이어진다. 성균관대사거리와 성균관대정문교차로에 갈색 표지판으로 명예도로판이 부착되어 있다. == 주요 구간 == 제한속도는 50km/h이다. 왕복 7차로 규격으로 건설되어 양방향 편도 3차로를 기본으로 하고, 중앙차로는 좌회전 차로, 중앙분리대로 활용된다. 예외로 여기산삼거리에서 백로공원삼거리 방면으로 우회전 차로가 생성되어 잠시 왕복 8차로가 된다. ||<-5> [[율전로]] 64번길 직결 || || || || 율천고교삼거리 || → ||[[정자천로(수원)|정자천로]][br]중부경찰서 방면|| || || || 백로공원삼거리 || → ||[[일월로]]22번길[br]꽃뫼마을 방면|| || [[수성로(수원)|수성로]][br]구운오거리,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서수원터미널]] 방면|| ← || '''여기산삼거리''' || → ||[[수성로(수원)|수성로]][br][[화서역]], 정자사거리 방면|| == [[대중교통]] == * [[수성로(수원)|수성로]] - '''여기산삼거리 - 일월로 - 백로공원삼거리''' - 일월로22번길 * 대부분의 노선이 이동하는 경로이며, 일월로는 한 개 교차로(약 200m)만 경유한다. * 인근의 일월로22번길에 율현중학교·녹색교통회관·꽃뫼버들코오롱아파트 정류소가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는 [[수성로(수원)|수성로]] 방면으로만 '''세한교회(01261)''' 정류소가 있다. 그런데 이 정류소는 일부 노선만 정차한다. * 일월로22번길, 화산로17번길, [[화산로(수원)|화산로]], 화산지하차도 방면에서 온 노선 * [[수원 버스 1009]] (세한교회 미정차) * [[수원 버스 37]] * [[수원 버스 92]] (세한교회 미정차) * 일월로22번길, 정자천로32번길, [[정자천로]], 정천지하차도 방면에서 온 노선 * [[수원 버스 3003]] (세한교회 미정차) * [[수원 버스 7780]] * [[수원 버스 92-1]] (세한교회 미정차) * [[수원 버스 3]] * [[정자천로]] → '''율천고교삼거리 → 일월로 → 여기산삼거리''' → [[수성로(수원)|수성로]] → 수성로35번길 → [[일월천로]] → '''일월공원삼거리 → 일월로 → 백로공원삼거리''' → 일월로22번길 → 정자천로32번길 → [[정자천로]] * 구운동삼환아파트를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면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일월로를 두 번 경유한다. * 회차 방향으로 '''일월도서관·율천고등학교(03197)''', '''세한교회(01261)''' 정류소에 차례로 정차하고, 시내 방향으로는 일월공원삼거리부터 백로공원삼거리까지 짧은 구간에 곧바로 좌회전을 해야 해서 정류소가 없다. * ~~[[수원 버스 39]]~~ * [[서부로(경기도)|서부로]] - '''성균관대사거리 - 일월로 - 율천고교삼거리''' - [[정자천로]] - 정자천로32번길 - 일월로22번길 - 화산로17번길 - [[화산로(수원)|화산로]] - 화산지하차도 * 성균관대사거리부터 율천고교삼거리까지의 구간을 유일하게 운행하던 노선으로, [[성균관대학교]] 정문에 '''성대정문'''이라는 정류소가 양방향으로 있었다. 운행 당시에도 배차간격이 넓었고, 정문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성균관대학교]] 상권은 후문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객이 매우 적었다. 폐선된 현재는 아무 노선도 이용하지 않아 버려진 정류소가 되었으나, BIS 전광판은 꾸준히 작동하고 있다. == 주요 시설 == * [[성균관대학교]] * [[율천고등학교]] * 일월도서관 [[분류:수원시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