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북한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선의 역, rd1=일원역(박천선))] ||<-3> {{{+2 '''일원역'''}}}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대청역|대 청]][br]← 1.2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48)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수서역(수도권 전철)|수 서]][br]1.8 ㎞ → || ||<-3>[include(틀:지도, 장소=일원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Irwon || || [[한자]] ||<-2><|2> 逸院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逸, ruby=イル)][ruby(院, ruby=ォ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 121 ([[일원동]])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1993년 10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1 逸院驛 / Irwon Sta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 348번[* 개정 전 38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 121 ([[일원동]]) 소재. == 역 정보 == [[파일:36일원(수정).png|width=500]] 역 안내도. 이 역은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하다. 주의하도록 하고, 혹시 꼭 승강장 횡단을 할 일이 있으면 직원을 호출해서 도움을 요청하자. 특징으로는 과거에는 2, 3번 출입구는 위가 뻥 뚫려서 하늘이 보였고, 당연히 위에서는 아래쪽이 보였는데 [[카카오맵]] 거리 사진에 따르면 2012년 4월부터 공사하는 모습이 찍혔는데 그 공사를 하고 나선 다른 역들처럼 출입구만 남기고, 덮어버렸다. == 역 주변 정보 == 강남 지역 중에서 비교적 늦은 1990년대에 조성된 택지지역 쪽으로 역이 지나가며, 역 남쪽으로 5층 내외의 저층 아파트도 있다. 또한 [[대청역]]과 일원역 사이에는 [[삼성의료원|삼성서울병원]]이 존재하여 많은 지방 내원객들이 이용하는 역이기도 하다. 일단 삼성서울병원이 일원동 소속인지라 동 이름만 보고 온다. 일원동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출퇴근 목적으로 이용하며, 인근 중산고등학교, [[서울로봇고등학교]] 학생들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다. 또한 '''5분마다 1번씩 오는 삼성서울병원 셔틀버스가 일원역에서 내린 고객들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 수준이 되기도 한다.''' 또한 3호선 연장으로 [[송파구]]에서 오는 이들 학교 학생 및 병원 이용자들이 대거 몰려들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용객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원역 부근 자체가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에 가까운 만큼 갑작스럽게 이용객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서울특별시]]에서 최근 발표한 대모산 택지개발 정책이 잘 수행될 경우 이용객이 늘어날 수 있을 듯 하다. 참고로 [[대모산입구역]]보다 대모산이 더 가깝다. 일원역 바로 위로 지하 7층 지상 9층 높이의 [[삼성생명]] 빌딩이 2018년 5월 완공되었다. 원래 [[래미안]] 갤러리라는 홍보관이 자리하던 곳으로 분양 아파트의 견본주택 모형을 전시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각종 문화강좌가 열리기도 하던 곳이다. 래미안 갤러리를 문정동으로 이전하고 삼성생명이 여기에 빌딩을 짓는다고 하자, 지역 주민들은 의료관광 목적의 외국인 환자, 보호자 등을 위한 숙박시설로 이른바 '병원용 호텔(메디텔)'이라면서 반대가 심했다. 실제로 삼성생명이 용도변경을 비공개로 추진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으며, 지역 주민 반대와 서울시의 행정조치로 무산되었다. 2018년 8월 현재 지하에 롯데프리미엄푸드마켓, 지상에 폴바셋(커피숍), 파리바게트(제과점), GS25(편의점) 등 편의시설이 입점되었다. 그 외에 이 동네는 아이들 공부에 방해된다는 아줌마들의 항의 때문에 아파트 단지 가까이에 [[PC방]]이 없던 곳이었는데 대모산입구사거리 한솔상가에 딱 하나가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일원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6,386명 || 17,810명 || 18,092명 || 17,934명 || 18,037명 || 17,456명 || 17,245명 || 17,360명 || 17,917명 || 18,005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9,309명 || 19,716명 || 19,433명 || 19,841명 || 19,939명 || 18,371명 || 19,152명 || 18,006명 || 18,764명 || 20,058명 || || 2020년 || || '''14,555명'''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예전의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과 비슷하게 고립된 위치에 있어 일원동 주민들은 역에 대한 의존도가 꽤 높다. 하루 평균 18,000여 명이 타고 내리는 곳으로, 많지는 않지만 마을 규모에 비하면 적다고 할 수도 없는 수준의 이용객이 있다. 의외로 외지인이 종종 찾아오는 곳이기도 한데, [[삼성서울병원]]이 바로 이 역 근처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삼성생명]]빌딩이 들어서 수요가 증가할만한 요소를 여럿 갖추고 있는 곳이다. 삼성병원 하니까 말인데, 2015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하루 평균 이용객이 1,600여 명 감소했다. 그 이유는 전국을 들썩였던 [[메르스]]의 진원지가 바로 이곳이었기 때문이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8585885.png|width=500]] ||<-4> [[대청역|대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교대역(서울)|교대]]·[[충무로역|충무로]]·[[구파발역|구파발]]·[[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가락시장역|가락시장]]·[[경찰병원역|경찰병원]]·[[오금역|오금]] 방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원역(도시철도), version=13)] [[분류:199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분류:서울 강남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