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대외관계)]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의 대외관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100%]] || || [[일본|{{{#ffffff '''일본'''}}}]] || [[사우디아라비아|{{{#fff '''사우디아라비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특히 일본은 사우디로부터 원유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사우디아라비아에는 수많은 일본 건축기업이 진출했었다. === 21세기 === ==== 2020년대 ==== 2020년 4월 17일, 한국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항공편이 끊어지자 사우디로 비행기를 보냈고 일본 기업인들과 SK의 사우디 사장이 탑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556275?sid=100|#]] 2022년 3월 17일, 기사다 총리는 사우디에게 원유 증산을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069489?sid=104|#]] 7월 13일, 기시다 총리가 빈살만 왕세자와 전화통화를 하면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15161?sid=104|#]] 11월 18일, 빈살만 왕세자가 예정중인 일본 방문을 취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7712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76619?sid=101|#2]] 거기에다 21일에 열릴 예정이었던 양국 비즈니스 포럼 개최도 취소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77164?sid=104|#]] 11월 23일, 빈살만 왕세자가 개인판단으로 일본 방문을 취소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95011?sid=101|#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79557?sid=104|#2]] 12월 25일, 양국은 국제 유가 안정을 위한 협력 필요성에 공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9861?sid=104|#]] 일본과 사우디 양국이 청정에너지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55980|#]] 2023년 7월 12일, 기시다 총리가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에게 첨단 에너지 기술 제공을 제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968250?sid=104|#]] 7월 14일, 일본 측은 사우디와 외교장관급 전략대화를 신설하고 [[걸프 협력회의]]와의 외교장관 회의를 정례화하는 방안으로 조율중인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6612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973784?sid=104|#2]] 7월 15일, 닛케이신문은 양국이 희토류 개발을 위한 투자에 합의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07150443428736b5d048c6f3_1/article.html?md=20230715064019_U|#]] 그리고 기시다 총리가 사우디 등 걸프 협력회의 회원국들과의 FTA협상을 재개할 방침으로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6862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73467?sid=104|#2]] 7월 16일, 기시다 총리가 빈살만 왕세자와 회담을 가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170632?sid=104|#1]][[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509242|#2]][[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717010009221|#3]] 기시다 총리와 빈살만 왕세자는 양국이 외교장관급 전략대화를 창설하기로 합의했다.[[https://www.voakorea.com/a/7183872.html|#]] 7월 31일,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사우디의 국방장관과 만나 회담을 가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963946?sid=104|#]] == 경제 교류 == 일본은 사우디로부터 원유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 그리고 양국의 경제적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2019년 9월 22일, 사우디 측은 원유시설이 공격당해 질낮은 원유를 일본으로 보낸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581843?sid=104|#]] 2022년 5월 18일, 사우디 국부펀드가 일본 콘텐츠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것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01142?sid=101|#]] 2023년 7월 20일, 니혼케이자이신문은 사우디로부터의 수출이 줄었다고 보도했다.[[https://www.etoday.co.kr/news/view/2267820|#]] == 문화 교류 == 양국의 문화 교류가 존재한다. 일본에는 아랍어학과가 존재하며 [[아랍어]]를 배우기 위해 사우디로 유학하러 오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리고 사우디도 일본으로 유학생들을 보내고 있다. 일본인 무슬림들중에는 사우디로 성지순례를 하러 가는 경우가 자주 있다. 또한, [[JLPT]]는 사우디에서도 실시중이다. === 스포츠 === 2019년 1월 21일, 일본팀이 사우디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0593031|#1]][[http://www.koreatimes.com/article/1226804|#2]] 2020년 1월 9일, 일본 유소년 축구팀이 사우디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21&aid=0004401913|#]] 2021년 10월 7일, 일본 축구팀이 월드컵 예선에서 사우디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32&aid=0003102665|#1]][[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37&aid=0000277938|#2]] 2022년 2월 1일, 일본팀이 사우디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21&aid=0005878102|#]] 6월 6일, 아시아축구연맹의 경기에서 일본팀과 사우디팀이 무승부로 끝났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631516|#]] [[카타르 월드컵]]에 참여한 일본팀과 사우디팀이 각각 스페인팀과 코스타리카님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944428|#]] 2023년 2월 25일, 사우디컵에 일본 경주마들이 참여해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925208|#]] == 대사관 == 도쿄도에 주 일본 사우디 대사관, 리야드시에 주 사우디 일본 대사관이 존재한다. == 여담 == 빈살만 왕세자가 일본의 SNK를 인수하자 화제가 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32171|#]]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069489?sid=104|日기시다, 사우디 왕세자와 전화…원유 증산 검토 요청]] - 뉴시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01142?sid=101|日 콘텐츠株 쓸어담는 사우디 오일머니…왜?]] - 한국경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15161?sid=104|기시다 총리, 사우디 왕세자와 전화 회담…"원유 협력 강화"]] - 뉴시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39861?sid=104|日-사우디, 국제 유가 안정 위한 협력 필요성 '공감대']] - 뉴스1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77128?sid=104|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일본 방문 돌연 ‘취소’]] - KBS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76619?sid=101|사우디 왕세자 빈 살만, 일본 방문 돌연 취소]] - 한국경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68623?sid=104|일본, 중동 6개국과 FTA 협상 재개 추진…"에너지 안보 강화"]]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73467?sid=104|일본, 중동 6개국과 FTA 협상 재개 추진…"에너지 안보 강화"]] - SBS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66128?sid=104|일본, 중동 걸프 국가들과 외교장관급 정례 회의 추진]]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968250?sid=104|기시다, 사우디·UAE에 첨단 에너지 기술 제공 제안키로]] - 뉴시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973784?sid=104|"日, 사우디와 전략대화·걸프국과 정례회의 조율"]] - 뉴시스 * [[https://www.voakorea.com/a/7183872.html|'일본-사우디 전략대화 창설' 기시다-빈살만 합의]] - VOA *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509242|日 기시다-사우디 빈살만 정상회담,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합의]] - 서울와이어 *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07150443428736b5d048c6f3_1/article.html?md=20230715064019_U|일본·사우디, 희토류 개발 공동투자 합의할 듯]] - 글로벌이코노믹 *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717010009221|‘중동 순방’ 日 기시다, 사우디 빈살만과 회담…에너지 협력 강화·전략대화 창설]] - 아시아투데이 == 관련 문서 == * [[일본/외교]] / [[일본-다른 아시아 국가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외교]] * [[일본/경제]] * [[사우디아라비아/경제]] * [[일본인]] / [[사우디인]] / [[아랍인]] * [[일본어]] / [[아랍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일본의 대국관계]][[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