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대외관계)] [include(틀:미얀마의 대외관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100%]] || || [[일본|{{{#ffffff '''일본'''}}}]] || [[미얀마|{{{#000 '''미얀마'''}}}]]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과 [[미얀마]]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미얀마는 [[제2차 세계 대전]]도중에 일본의 침략을 받은 적이 있었다. 일본 내에도 미얀마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1년에 30~60여 명 상당의 미얀마인들이 난민으로 수용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181023072800073|#]]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제2차 세계 대전]]도중에 [[일본 제국]]은 [[동남아시아]]지역을 점령하면서 당시에 [[영국]]의 지배에 있었던 미얀마를 침략하고 점령한 적이 있었다. 일본의 점령하에서 현지 주민들은 탄압받았다. 일본군은 '칼라공 마을 학살(Kalagong massacre)' 등 미얀마 원주민들을 학살하는 행위도 자행하였다. 미얀마내의 [[인도인]]들도 일본의 탄압과 학살을 받자 영국 정부는 항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한 뒤에 미얀마는 영국의 지배하에서 다시 들어갔다. 이후, 미얀마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그리고 일본과 공식수교했다. [[냉전]]시절에 일본측은 미얀마에 지원을 많이 했다. 또한, 경제적으로도 교류가 활발해졌다. === 21세기 === 미얀마는 일본의 3년 정도 점령을 받으며 각종 탄압과 전범행위를 경험한 적이 있지만 현재에는 일본과의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한국-미얀마 관계|한국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미얀마와 일본은 경제적으로 교류가 활발해서 일본 기업들이 미얀마에 많이 진출했다. ==== 2020년대 ==== 미얀마 군부가 시위대에 총을 쏜 것과 관련해 일본 정부는 미얀마 군부를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2288976|#]] 그리고 [[한미일]] 등 12개국의 군 수뇌부가 미얀마 군부 규탄공동성명에 나설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249985|#]] 일본 정부가 미얀마에 대한 기반시설 지원 사업의 중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55&aid=0000884569|#]] 미얀마에서 일본 기자가 체포되자 일본측은 석방을 촉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338239|#]] 게다가 일본 기자가 허위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기소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3&aid=0003609210|#]] 미얀마 군부와 거래하는 일본 기업이 적어도 10개인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381454?sid=104|#]]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일본인 기자가 미얀마 정치인들이 고문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400379|#]] 미얀마 내 일본인 기업들이 군부 제재 나서야한다는 주장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미얀마인들도 일본에 대한 실망감이 매우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https://m.yna.co.kr/view/AKR20210520070800104?section=international/all|#]] 일본 정부는 미얀마에 공적개발원조 중단을 검토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69&aid=0000605629|#]] 이런 와중에 우정상을 지낸 와타나베 히데오(渡辺秀央) 일본미얀마협회 회장이 대표이사를 맡은 주식회사 '일본미얀마개발기구'는 현지 군부가 운영하는 기업과 손잡고 국방부 소유 토지의 개발 산업을 추진해서 논란과 비판이 나오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10628063500073?section=international/all|#]] 4월 17일에 미얀마군이 일본대사관과 [[일본국제협력기구]] 직원의 자택에 허가없이 무단으로 침입(!)한 사건이 뒤늦게 알려지자 일본 정부가 항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88600|#]] 미얀마의 축구선수가 일본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1&aid=0002482615|#]] 일본의 기린홀딩스가 미얀마 군부와 협력해소를 위해 국제중재를 신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5767659|#]] 미얀마 쿠데타가 발생한 후에도 미얀마군 간부나 간부후보생을 유학생으로 수용해 교육·훈련을 계속하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20207031100073?section=international/all|#]] 기린홀딩스가 미얀마에서 철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984187|#]] 그리고 일본의 정유업체 에네오스홀딩스가 미얀마에서 철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5990557|#]] 7월 1일 기린홀딩스는 미얀마에서 완전히 철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82857?sid=104|#]] 8월 1일 일본 정부는 미얀마에 억류된 일본인의 석방을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38613?sid=104|#]] 9월 20일. 일본 방위성이 미얀마 군사정권이 지난 7월 반군부 인사들을 사형한 데 대한 조치로 2023년부터 미얀마군 간부를 유학생으로 초청하는 프로그램을 중단한다.[[https://m.yna.co.kr/view/AKR20220920169300073?section=international/all|#]] == 문화 교류 == [[미얀마인]]들이 대부분 [[불교]]를 믿고 있기 때문에 종교적으로도 교류가 활발한 경우가 있다. 미얀마에도 [[일본인]] 관광객들이 많이 오고 있다. [[미얀마어]]의 경우, 일본에서도 배우는 경우가 일부 존재한다. 그리고 [[도쿄외국어대학]]에서도 미얀마어학과를 설치했다. === 스포츠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에서 조추첨에서 F조로 일본과 미얀마가 뽑히면서 같은조가 편성됐다. == 관련 문서 == * [[일본/외교]] / [[일본-다른 아시아 국가 관계]] / [[일본-아세안 관계]] / [[일본/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미얀마/외교]] * [[일본/경제]] * [[미얀마/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일본의 대국관계]][[분류:미얀마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