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대외관계)] [include(틀:라오스의 대외관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100%]] || || [[일본|{{{#ffffff '''일본'''}}}]] || [[라오스|{{{#fff '''라오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과 [[라오스]]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일본은 라오스에 대한 영향력이 강하며 라오스에 대한 원조를 계속하고 있다. 일본은 라오스의 공적개발원조 최대공여국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315675?sid=100|#]] 라오스에는 일본인 공동체가 존재한다.[[https://news.koreadaily.com/2015/01/28/society/opinion/3137242.html|#]] 그리고 일본에도 라오스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일본 제국]]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점령해 [[라오스 왕국(괴뢰국)]]을 세웠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했다. 라오스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일본과 수교했다. 1997년 2월 17일에 일본이 태국에게 태국과 라오스를 연결하는 우정의 다리 건설을 제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150674?sid=104|#]] === 21세기 === 라오스와 일본의 교류, 협력은 2000년대 이후에 늘어나고 있다. 일본은 라오스를 지원중이고 라오스의 와타이 국제공항은 일본의 지원으로 세워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699226?sid=101|#]] 또한, 일본의 라오스 원조가 늘어나고 있다.[[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12200|#]] 2010년 3월 2일에 라오스 국가주석이 일본을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1/0002604636?sid=104|#]] 2013년 11월 17일에 라오스를 방문한 아베 총리는 라오스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고 라오스에 차관 95억엔을 제공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60215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601623?sid=104|#2]] 2014년 5월 6일에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이 라오스에 24억 5,000만 엔(약 247억원)을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894571?sid=100|#]] 2016년 7월 24일에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라오스에게 중국 견제에 합류할 것을 제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282848?sid=104|#]] 2018년 10월 9일에 도쿄에서 일본-메콩 정상회의가 개최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402949?sid=104|#]] 2019년 5월 30일에 일본은 라오스 관료들을 육성하기 위해 최대 3억엔의 자금을 무상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530001048|#]]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확산했지만, 일본은 라오스를 지원하고 있고 라오스는 일본의 지원을 환영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393007?sid=104|#]] 8월 26일에 라오스는 일본과 코로나19 음성판정을 전제로 일본인의 라오스 여행을 허용하는 합의문에 서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530936?sid=104|#]] 일본은 9월부터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대상으로 국경을 재개한다고 밝혔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0825010013403|#]] 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주 라오스 일본 대사관은 재외선거를 실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03384?sid=104|#]] == 경제 교류 == 양국의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일본 기업들이 라오스에 많이 진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577767?sid=101|#]] 태국내의 정정불안이 계속되면서 일본 기업들중에는 라오스로 이전하는 경우가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739819?sid=101|#]] 양국은 [[RCEP]] 회원국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19644?sid=101|#]] == 문화 교류 ==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라오스로 관광하러 오는 일본인 관광객들이 많은 편이다. 2010년 12월 27일에 일본-라오스 수교 55주년을 맞이해 라오스에서 기념행사가 이뤄졌다.[[http://tvdaily.co.kr/read.php3?aid=1293444499117150016|#]] 라오스에서 [[일본 애니]]가 방영중이고 일본 애니가 인기가 많은 편이다. 2011년에 라오스와 일본은 만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세미나를 개최했다.[[http://tvdaily.co.kr/read.php3?aid=1295096452122477011|#]] 라오스 야구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일본 후원회가 발족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18&aid=0003638837|#]] 라오스는 [[일본어]]가 주요 외국어로 지정돼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00879?sid=104|#]] 그리고 라오스에서 [[JLPT]]가 실시되고 있다. == 교통 교류 == 2015년에 일본은 라오스, 캄보디아와 직항노선을 개설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sh/201501040841130131143_1/%EC%9D%BC%EB%B3%B8%2C+%EC%BA%84%EB%B3%B4%EB%94%94%EC%95%84+%C2%B7+%EB%9D%BC%EC%98%A4%EC%8A%A4%EC%99%80+%EC%A7%81%ED%95%AD%EB%85%B8%EC%84%A0+%EA%B0%9C%EC%84%A4.html?md=20150226011413_S|#]] == 대사관 == 비엔티안에 주 라오스 일본 대사관, 도쿄도에 주 일본 라오스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일본/외교]] / [[일본-다른 아시아 국가 관계]] / [[일본-아세안 관계]] / [[일본/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라오스/외교]] * [[일본/역사]] * [[라오스/역사]] * [[라오스 왕국(괴뢰국)]] * [[일본/경제]] * [[라오스/경제]] * [[RCEP]] * [[일본인]] / [[라오인]] * [[일본어]] / [[라오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일본의 대국관계]][[분류:라오스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