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IVB 시니어 여자 랭킹(탑1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a1c20 0%, #80090b 30%, #80090b 70%, #ca1c20)" [[파일:불사조일본.gif|width=200&align=center]]}}} || ||||<-2> {{{#fff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2> {{{#fff '''Japan Women's National Volleyball Team'''}}} || || {{{#fff '''명칭'''}}} ||バレーボール日本女子代表 || || {{{#fff '''애칭'''}}} ||火の鳥NIPPON[* 2009년 6월 일반 공모를 통해 공식 애칭으로 채택되었다.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만화)|불새]]에서 차용했으며 새빨갛게 타는 불새와 같은 열정으로 세계의 왕좌를 탈환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br](히노토리 NIPPON) || || {{{#fff '''FIVB 코드'''}}} ||JPN || || {{{#fff '''운영 주체'''}}} ||[[파일:jvalogo.png|width=18]] 일본배구협회 (JVA) || || {{{#fff '''연맹'''}}} ||[[파일:아시아배구연맹.png|width=40]] [[아시아 배구 연맹]] (AVC) || || {{{#fff '''감독'''}}}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나베 마사요시]] (眞鍋政義) || || {{{#fff '''주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a5b; font-size: 0.8em" {{{#ffffff '''C'''}}}}}} [[코가 사리나]] (古賀紗理那) || || {{{#fff '''키트 스폰서'''}}} ||[[파일:미즈노_파랑_로고.png|width=25]] [[미즈노(브랜드)|미즈노]]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6px -1px -11px" ||<-2> {{{#fff '''세계 대회'''}}} || || {{{-2 [[올림픽 배구|{{{#fff '''올림픽'''}}}]]}}} ||[출전] 13회 [br][최고] 금메달 {{{-2 ([[1964 도쿄 올림픽|1964]], [[1976 몬트리올 올림픽|1976]])}}} || || {{{-2 [[FIVB 세계 선수권 대회|{{{#fff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16회 [br][최고] 금메달 {{{-2 (1962, 1967, 1974)}}} || || {{{-2 [[FIVB 월드컵|{{{#fff '''배구 월드컵'''}}}]]}}} ||[출전] 13회 [br][최고] 금메달 {{{-2 (1977)}}} || || {{{-2 '''월드그랑프리'''}}} ||[출전] 21회 [br][최고] 은메달 {{{-2 (2014)}}} || || {{{-2 [[FIVB 월드 리그|{{{#fff '''월드 리그'''}}}]]{{{#fff /}}}[[FIVB 네이션스 리그|{{{#fff '''VNL'''}}}]]}}} ||[출전] 3회 [br][최고] 4위 {{{-2 (2021)}}} || || {{{-2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fff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출전] 7회 [br][최고] 동메달 {{{-2 (2001, 2013)}}} || ||<-2> {{{#fff '''대륙 대회'''}}} || || {{{-2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fff '''아시아 선수권 대회'''}}}]]}}} ||[출전] 20회 [br][최고] 금메달 {{{-2 (1975, 1983, 2007, 2017, 2019)}}} || || {{{-2 [[아시안 게임|{{{#fff '''아시안 게임'''}}}]]}}} ||[출전] 15회 [br][최고] 금메달 {{{-2 (1962, 1966, 1970, 1974, 1978)}}} || || {{{-2 [[여자 AVC컵|{{{#fff '''AVC컵'''}}}]]}}} ||[출전] 6회 [br][최고] 은메달 {{{-2 (2018)}}} || }}}}}}}}} || ||<-2> '''[[FIVB 랭킹|{{{#fff FIVB 랭킹}}}]]''' || ||<-2> '''9위 / 305.09점''' [br]{{{-1 ([[2023년]] [[9월 24일]] 기준 / [[https://www.fivb.com/en/volleyball/rankings/seniorworldrankingwomen|#]])}}}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다. == 역사 == [[1964 도쿄 올림픽]]에서 [[소련]]을 이기고 아시아 여자 구기팀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동양의 마녀'''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 전국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된다. 그때부터 배구는 일본에서 대표적인 여성 스포츠로 자리잡게 되고, 강한 인프라와 선수풀을 구축하며 그때부터 현재까지 세계여자배구계의 강호로 선전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1-FIVB-GCC-JPN celebrate-05.jpg|width=100%]]}}}|| ||<:>{{{#FFF '''2001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에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orts Graphic Number PLUS_2006년 12월호.jpg |width=100%]]}}}|| ||<:>{{{#FFF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br][[다카하시 미유키|{{{#FFF '''다카하시 미유키'''}}}]], [[기무라 사오리|{{{#FFF '''기무라 사오리'''}}}]], [[다케시타 요시에|{{{#FFF '''다케시타 요시에'''}}}]], [[스가야마 카오루|{{{#FFF '''스가야마 카오루'''}}}]]}}}||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다케시타 요시에]], [[기무라 사오리]], [[사코다 사오리]], [[사노 유코]], [[아라키 에리카]] 등 황금세대를 앞세워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한국]]을 동메달 결정전에서 꺾고 염원의 메달을 획득한다. 도쿄 올림픽에서의 메달은 배구 인기를 크게 만든 활약이었기에 57년만인 [[2020 도쿄 올림픽]]에서도 그 영광을 다시 찾겠다고 다짐했으나, 결과는 25년만의 1라운드 본선 탈락이었다. == 역대 성적 == ||<-2> '''대회''' || '''금''' || '''은''' || '''동''' || {{{#fff '''계'''}}} || ||<|3> '''메이저 대회''' ||[[올림픽 배구|올림픽]] || 2 || 2 || 2 || 6 || ||FIVB 세계선수권대회 || 3 || 3 || 1 || 7 || ||FIVB 월드컵 || 1 || 2 || 0 || 3 || ||<|3> '''FIVB 대회'''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 0 || 0 || 2 || 2 || ||FIVB 월드그랑프리 || 0 || 1 || 0 || 1 || ||FIVB 네이션스리그 || 0 || 0 || 0 || 0 || ||<|3> '''AVC 대회'''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아시아선수권]] || 5 || 7 || 6 || 18 || ||[[아시안 게임]] || 5 || 3 || 4 || 12 || ||[[AVC 여자 컵|아시안컵]] || 0 || 1 || 0 || 1 || ||<-2> '''합계''' || 16 || 19 || 15 || 50 || == 역대 감독 == ||
{{{#fff '''이름'''}}} || {{{#fff '''취임당시 소속팀'''}}} || {{{#fff '''재임기간'''}}} || || 노부치카 쿠즈와 || [[NEC 레드 로켓츠]] || 1997~2000 || || 요시카와 마사히로 || [[NEC 레드 로켓츠]] || 2001~2002 || || 야나기모토 쇼이치 || || 2003~2008 || || [[마나베 마사요시]]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009~2016 || || [[나카다 구미]] || [[히사미츠 스프링스]] || 2017~2021 || || [[마나베 마사요시]] || || 2022~ || == 역대 로스터 == === [[올림픽 배구|올림픽]] === || '''연도''' || '''순위''' || '''감독''' || '''연도''' || '''순위''' || '''감독''' || || [[1964 도쿄 올림픽|1964]] || {{{#000 '''금메달'''}}} || ||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1984]] || 동메달 || || ||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1968]] || {{{#000 은메달}}} || || [[1988 서울 올림픽|1988]] || 4위 || || || [[1972 뮌헨 올림픽|1972]] || {{{#000 은메달}}} ||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1992]] || 5위 || || || [[1976 몬트리올 올림픽|1976]] || {{{#000 '''금메달'''}}} || || [[1996 애틀랜타 올림픽|1996]] || 9위 || || || [[1980 모스크바 올림픽|1980]] || [* 보이콧으로 인해 불참] || || [[2000 시드니 올림픽|2000]] || [* 출전권 획득 실패] || || ||
{{{#fff '''연도'''}}} || {{{#fff '''순위'''}}} || {{{#fff '''감독'''}}} || {{{#fff '''엔트리'''}}} || || [[2004 아테네 올림픽|2004]] || 5위 || 야나기모토 || 1 __요시하라__ · 2 츠지 · 3 나리타 · 4 사사키 · 5 오무라 · 7 [[다케시타 요시에|다케시타]] [br] 9 [[다카하시 미유키|다카하시]] · 12 스기야마 · 13 오토모 · 14 오야마 · 16 구리하라 · 18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 [[2008 베이징 올림픽|2008]] || 5위 || 야나기모토 || 1 구리하라 · 2 타지미 · 3 __[[다케시타 요시에|다케시타]]__ · 4 오무라 · 5 [[다카하시 미유키|다카하시]] · 6 [[사노 유코|사노]] [br] 7 스기야마 · 8 사쿠라이 · 9 카노 · 11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12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14 카와이 || || [[2012 런던 올림픽|2012]] || 동메달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2 나카미치 · 3 [[다케시타 요시에|다케시타]] · 4 [[야마구치 마이|야마구치]] · 5 __[[아라키 에리카|아라키]]__ · 7 이노우에 · 8 카노 [br] 10 [[사노 유코|사노]] · 11 오토모 · 12 [[신나베 리사|신나베]] · 14 [[사코다 사오리|사코다]] · 16 에바타 · 18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 5위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1 [[나가오카 미유|나가오카]] · 2 [[미야시타 하루카|미야시타]] · 3 __[[기무라 사오리|기무라]]__ · 5 아리사 · 6 [[나베야 유리에|나베야]] · 7 [[야마구치 마이|야먀구치]] [br] 9 시마무라 · 11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12 [[이시이 유키|이시이]] · 16 [[사코다 사오리|사코다]] · 18 [[자야스 코토키|자야스]] · 20 타시로 || || [[2020 도쿄 올림픽|2020]] || 10위 || [[나카다 구미|나카다]] || 1 [[쿠로고 아이|쿠로고]] · 2 [[코가 사리나|코가]] · 9 타시로 · 8 [[이시카와 마유|이시카와]] · 3 시마무라 · 14 코바타 [br] 7 [[이시이 유키|이시이]] · 13 오쿠무라 · 5 __[[아라키 에리카|아라키]]__ · 24 모미 · 21 하야시 · 19 야마다 || === [[FIVB 세계 선수권 대회|세계선수권대회]] === || '''연도''' || '''순위''' || '''감독''' || '''연도''' || '''순위''' || '''감독''' || || 1960 || {{{#000 은메달}}} || || 1982 || 4위 || || || 1962 || {{{#000 '''금메달'''}}} || || 1986 || 7위 || || || 1967 || {{{#000 '''금메달'''}}} || || 1990 || 8위 || || || 1970 || {{{#000 은메달}}} || || 1994 || 7위 || || || 1974 || {{{#000 '''금메달'''}}} || || 1998 || 8위 || || || 1978 || {{{#000 은메달}}} || || 2002 || 13위 || || ||
{{{#fff '''연도'''}}} || {{{#fff '''순위'''}}} || {{{#fff '''감독'''}}} || {{{#fff '''엔트리'''}}} || || 2006 || 6위 || 야나기모토 || 3 __[[다케시타 요시에|다케시타]]__ · 5 [[다카하시 미유키|다카하시]] · 6 스가야마 · 7 호라이 · 9 스기야마 · 10 다카하시 [br] 11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12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14 오야마 · 15 오치아이 · 16 이노 · 17 이시카와 || || 2010 || 동메달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1 구리하라 · 2 나카미치 · 3 [[다케시타 요시에|다케시타]] · 4 이노우에 · 5 야마모토 · 6 [[사노 유코|사노]] · 7 [[야마구치 마이|야마구치]] [br] 9 이시다 · 11 __[[아라키 에리카|아라키]]__ · 12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14 에바타 · 16 [[사코다 사오리|사코다]] · 17 이노 · 19 하마구치 || || 2014 || 7위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1 [[나가오카 미유|나가오카]] · 2 나카미치 · 3 __[[기무라 사오리|기무라]]__ · 4 타카다 · 5 사토 · 7 [[야마구치 마이|야마구치]] · 9 이시다 [br] 12 [[이시이 유키|이시이]] · 13 [[신나베 리사|신나베]] · 14 에바타 · 16 [[사코다 사오리|사코다]] · 17 오노 · 18 츠즈이 · 19 [[미야시타 하루카|미야시타]] || || 2018 || 6위 || [[나카다 구미|나카다]] || 1 [[나가오카 미유|나가오카]] · 2 [[코가 사리나|코가]] · 3 __[[이와사카 나나|이와사카]]__ · 4 [[신나베 리사|신나베]] · 5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7 [[이시이 유키|이시이]] · 8 우치세토 [br] 9 시마무라 · 10 토미나가 · 13 오쿠무라 · 15 [[이노우에 고토에|이노우에]] · 16 코바타 · 21 [[쿠로고 아이|쿠로고]] · 22 [[타시로 카나미|타시로]] || || 2022 || 5위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2 우치세토 · 3 [[코가 사리나|코가]] · 4 [[이시카와 마유|이시카와]] · 5 [[시마무라 하루요|시마무라]] · 10 [[이노우에 아리사|이노우에]] · 12 모미이 · 15 [[하야시 코토나|하야시]] [br] 19 야마다 · 22 후쿠도메 · 23 요코타 · 26 미야베 · 30 세키 · 37 미야베 · 38 사토 || === [[FIVB 월드컵|월드컵]] === ||
{{{#fff '''연도'''}}} || {{{#fff '''순위'''}}} || {{{#fff '''감독'''}}} || {{{#fff '''엔트리'''}}} || || 2015 || 5위 || [[마나베 마사요시|마나베]] || 1 [[나가오카 미유|나가오카]] · 2 [[자야스 코토키|자야스]] · 3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5 고토 · 7 [[야마구치 마이|야마구치]] · 8 [[코가 사리나|코가]] · 9 [[시마무라 하루요|시마무라]] [br] 12 [[이시이 유키|이시이]] · 13 사토 · 15 우치세토 · 16 [[사코다 사오리|사코다]] · 19 [[미야시타 하루카|미야시타]] · 21 오오타케 · 22 [[나베야 유리에|나베야]] || || 2019 || 5위 || [[나카다 구미|나카다]] || 2 [[코가 사리나|코가]] · 3 [[이와사카 나나|이와사카]] · 4 [[신나베 리사|신나베]] · 5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6 [[미야시타 하루카|미야시타]] · 7 [[이시이 유키|이시이]] · 11 [[나베야 유리에|나베야]] · 12 [[사토 미야|사토]] [br] 13 오쿠무라 · 14 [[코바타 마코|코바타]] · 16 [[쿠로고 아이|쿠로고]] · 18 모리야 · 21 오사나이 · 24 아쿠타가와 · 28 [[이시카와 마유|이시카와]] || === [[FIVB 네이션스 리그|네이션스 리그]] === ||
{{{#fff '''연도'''}}} || {{{#fff '''순위'''}}} || {{{#fff '''감독'''}}} || {{{#fff '''엔트리'''}}} || || 2018 || 10위 || [[나카다 구미|나카다]] || || || 2019 || 9위 || [[나카다 구미|나카다]] || [[이와사카 나나|이와사카]] · [[코가 사리나|코가]] · [[신나베 리사|신나베]] · [[아라키 에리카|아라키]] · [[미야시타 하루카|미야시타]] · [[이시이 유키|이시이]] · 우치세토 · 시마무라 · 토미나가 · [[나베야 유리에|나베야]] · 사토 · 오쿠무라 · 코바타 · 이노우에 · 쿠로고 · 타시로 · 야마기시 · 이마무라 · 와타나베 · 오사나이 · 요시노 · 이리사와 · 아쿠타가와 · 세키 · 나카가와 || || 2022 || 7위 || == [[한일전/배구|대한민국과의 전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일전/배구)] == 승부조작 의혹 == 2012년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12 런던 올림픽|올림픽]] 세계예선전의 마지막 경기, 일본과 세르비아의 경기에서 양팀이 승부조작에 가담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일본이 2-1의 세트스코어, 19-16으로 앞서는 상황에서 4세트에 세르비아의 서브에이스를 내주고, 서브 범실을 하고, 상대방 블로킹에 대고 스파이크를 해 공격 차단이 되는 둥 실수를 연속적으로 하면서 결국 경기는 5세트까지 진행되었다. 5세트에도 일본의 범실이 계속되면서, 결국 세르비아가 3-2로 일본을 이겼다. 세르비아는 이 경기에서 12개의 블로킹 성공을 했는데 그 중 5개가 5세트에서 나왔던걸로 미루어 볼때, 일본은 4세트와 5세트가 되면서 급격히 안 좋아진 경기력을 보인 걸 알 수 있다. * '''일본-세르비아 경기 전 순위''' ||<|2> {{{#000 '''순위'''}}} ||<|2><-2> {{{#000 '''국가'''}}} ||<|2> {{{#000 '''승점'''}}} ||<-2> {{{#000 '''경기'''}}} ||<-3> {{{#000 '''세트'''}}} ||<-3> {{{#000 '''점수'''}}} || || 승 || 패 || 승 || 패 || 득실률 || 승 || 패 || 득실률 || || 1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러시아]] || '''21''' || 7 || 0 || 21 || 1 || 21.000 || 539 || 400 || 1.348 ||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대한민국]] || '''15''' || 5 || 2 || 16 || 7 || 2.286 || 538 || 449 || 1.198 || ||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세르비아]] || '''12''' || 4 || 2 || 13 || 8 || 1.625 || 470 || 436 || 1.078 || || 4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태국]] || '''12''' || 4 || 3 || 12 || 10 || 1.200 || 487 || 485 || 1.004 || || 5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일본]] || '''11''' || 4 || 2 || 13 || 8 || 1.625 || 468 || 427 || 1.096 || || 6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쿠바]] || '''7''' || 2 || 5 || 9 || 15 || 0.600 || 530 || 544 || 0.974 || || 7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페루]] || '''3''' || 1 || 6 || 4 || 18 || 0.222 || 412 || 531 || 0.776 || ||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중화 타이베이]] || '''0''' || 0 || 7 || 0 || 21 || 0.000 || 355 || 527 || 0.674 || * '''일본-세르비아 경기 후 순위''' ||<|2> {{{#000 '''순위'''}}} ||<|2><-2> {{{#000 '''국가'''}}} ||<|2> {{{#000 '''승점'''}}} ||<-2> {{{#000 '''경기'''}}} ||<-3> {{{#000 '''세트'''}}} ||<-3> {{{#000 '''점수'''}}} || || 승 || 패 || 승 || 패 || 득실률 || 승 || 패 || 득실률 || || 1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러시아]] || '''21''' || 7 || 0 || 21 || 1 || 21.000 || 539 || 400 || 1.348 ||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대한민국]] || '''15''' || 5 || 2 || 16 || 7 || 2.286 || 538 || 449 || 1.198 || ||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세르비아]] || '''14''' || 5 || 2 || 16 || 10 || 1.600 || 572 || 537 || 1.065 || || 4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일본]] || '''12''' || 4 || 3 || 15 || 11 || 1.364 || 569 || 629 || 1.076 || || 5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태국]] || '''12''' || 4 || 3 || 12 || 10 || 1.200 || 487 || 485 || 1.004 || || 6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쿠바]] || '''7''' || 2 || 5 || 9 || 15 || 0.600 || 530 || 544 || 0.974 || || 7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페루]] || '''3''' || 1 || 6 || 4 || 18 || 0.222 || 412 || 531 || 0.776 || ||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중화 타이베이]] || '''0''' || 0 || 7 || 0 || 21 || 0.000 || 355 || 527 || 0.674 || 세르비아가 일본을 이김으로써, 세르비아는 태국을 앞서고 올림픽 진출에 성공했다. 만약 일본이 세르비아를 이겼다면 태국과 함께 본선에 진출을 해, 강호 브라질, 미국, 중국, 터키와 함께 B조로 편성이 되었을거다. 하지만 세르비아와 진출하게 되면서 러시아, 이탈리아, 도미니카 공화국, 영국, 알제리가 있는 상대적 약체인 A조로 편성되었다. 따라서 일본이 유리한 조편성을 위해 승부조작을 한 게 아니냐는 [[http://blog.daum.net/dsh06/2929|논란이 불거졌다.]] 올림픽 본선 진출 티켓을 눈앞에서 놓치게 된 태국 국가대표 팀은 크게 슬퍼하였고, 계속되는 논란에 FIVB에서 수사에 착수하였다. FIVB는 일본과 세르비아의 승부조작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함으로서 사건이 마무리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시아배구연맹 회원국(여자))] [[분류:일본의 여자 스포츠 국가대표팀]][[분류:아시아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분류:일본의 배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