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본 아이돌)] [목차] == 개요 == * [[일본 아이돌]]의 포지션을 기술한 문서. 각 그룹 팬이 아니면 모르는 부분이 많으니 유의할 것. * AKB48의 해외 자매그룹도 이 문서에 적는다. 다만 중국의 SNH48은 계약해지되어 일본의 48그룹과 이별한 관계로 적지 않는다. * 가상 아이돌은 ☆표시. == 음악 == === 메인보컬 === [[가수]]라는 아이덴티티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 문제는 일본 아이돌 시장에서 '메인보컬'은 '있으면 좋고 없어도 상관 없는', 곁다리 취급을 받는 포지션이라는데 있다. 한국이나 서구 팝 시장에서 메인보컬인 멤버들이 명확한 인기 멤버로 꼽히는 것과는 정 반대. 게다가 메인보컬이라고 해도 실용음악적 연구가 부족하고, 발성에 대한 체계적인 트레이닝에 거의 무관심한 일본 가요계의 실정 상 평균 실력은 매우 낮은 편이다. 강하게 표현해서 한국이었다면 '''아예 데뷔조차 불가능했을, 기획사에서 광탈하고도 남았을 실력'''을 갖고도 '''가창력 담당'''으로 불리는 멤버들이 대부분인게 현실이다.[* 대표적 사례가 [[쟈니스 사무소|쟈니스]]이다. 오죽하면 팬들조차도 [[SMAP]]의 메인보컬이 음정조차 못 맞추는 [[기무라 타쿠야]]라는 걸 농담거리로 쓸 정도.][* 일부 팬들은 '안무가 고난도라 라이브가 힘들다'고 실드를 치지만, 이미 잘 알려져 있듯 체계적인 트레이닝이 전무한 일본 아이돌의 안무 수준은 매우 낮다. 수년간 기본기부터 시작해서 안무가로 밑바탕을 깔아놓는 한국과는 천지 차이. 바꿔서 말하면 '''그 정도 안무를 하면서도 라이브가 힘들다는 [[변명]]'''이 제대로 먹힐 만큼 수준이 낮다는 뜻도 된다. 심지어는 [[쟈니스 사무소|대형 기획사]]의 [[도모토 코이치|유명 아이돌]]이 '특정한 돌을 쥐고 노래를 부르면 사운드가 변한다'는 [[유사과학]]을 방송에서 당당히 얘기할 정도로 이론적인 교육도 잘 안 되어 있다.] 따라서 노래 하나만으로 성공하고 싶다면 일본에서는 아이돌의 길을 아예 걷지 말고 보컬 분야의 '아티스트'로 스스로 성장하는 방법밖에 없는 상황이다. 타고난 실력으로 커버하는 멤버들도 있지만, 이것을 보조해 줄 트레이닝 시스템이 부재하다 보니 실력 성장이 안 되거나 반대로 안 좋은 버릇이 굳어져 보컬리스트로서의 수명을 깎아먹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90~2000년대 초 한국가요계와도 비슷하다. 기초가 안 잡힌 소위 생목 발성으로 수많은 공연을 하면 높은 확률로 [[성대결절]]이 오고, 성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목'에 힘을 주면 상황은 더 빠르게 악화된다. 이렇게 목을 망친 대표적 케이스가 [[다카하시 아이]].] 그래도 2010년대 이후로는 멤버들의 보컬 실력에도 비중을 두는 소속사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실력이 좋은 그룹들의 경우 복수의 멤버들이 보컬을 책임지고 있다. 꾸준히 인재 육성에 투자해온 [[하로프로]], [[아뮤즈]] 계열이 멤버들의 보컬 실력에도 비중을 많이 두는 편. 특히 [[PRODUCE 101 JAPAN]], [[Nizi Project]] 등 K팝 스타일 현지화 그룹을 만드는 서바이벌을 통해 데뷔한 그룹들은 한국식 하드 트레이닝의 영향으로 메인보컬들의 역량이 뛰어난 편이다. 아직은 AKB와 쟈니스를 중심으로 한 구시대의 아이돌이 주류인 일본의 특성 상 크게 각광받지는 못하지만. * [[ORβIT]][* 한국인 멤버가 더 많은 그룹이지만 일본 현지 오디션인 [[PRODUCE 101 JAPAN]]을 통해 데뷔한 그룹이고 메인보컬 포지션은 일본인 멤버이므로 여기에 기재한다.] - [[토모(ORβIT)|토모]] * [[A.B.C-Z]] - [[하시모토 료스케]][* 메인보컬, 센터, 비주얼, 막내를 맡을 정도로 어지간한 포지션을 다 갖고 있다.] * [[BABYMETAL]] - [[나카모토 스즈카]] * [[GEM]] - [[무라카미 라나]], 쿠마시로 주린 * [[Hey! Say! JUMP]] - [[야부 코타]], [[야마다 료스케]] * [[INI]] - [[타카츠카 히로무]], [[후지마키 쿄스케]] * [[JO1]] - [[요나시로 쇼]], [[코노 준키]] * [[KAT-TUN]] - [[카메나시 카즈야]] * [[King & Prince]] - [[키시 유타]] * [[KinKi Kids]] - [[도모토 츠요시]] * [[Kis-My-Ft2]] - [[키타야마 히로미츠]], [[후지가야 타이스케]] * [[NEWS]] - [[테고시 유야]] * [[NiziU]] - [[니나(NiziU)|니나]] * [[PASSPO☆]] - 모리 시오리 * [[Sexy Zone]] - [[나카지마 켄토]], [[키쿠치 후마]] * [[SixTONES]] - [[제시(SixTONES)|제시]], [[쿄모토 타이가]] * [[SMAP]] - [[모리 카츠유키]] → [[기무라 타쿠야]][* 스맙의 최전성기 직전에 모리가 탈퇴하면서 대다수의 히트곡은 기무라가 메인보컬을 담당했다.] * [[Snow Man]] - [[와타나베 쇼타]] * [[SUPER☆GiRLS]] - 미조테 루카, [[와타나베 코우메]], [[아베 유메리]] * [[TOKIO]] - [[나가세 토모야]] * [[Travis Japan]] - 미야치카 카이토(사실상)[* 공식적으로는 메인보컬이 아예 없지만 가장 파트가 많고, 후렴구도 가장 자주 부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메인보컬이다.] * [[V6]] - [[사카모토 마사유키]] * [[나니와단시]] - [[오오하시 카즈야]] * [[모모이로 클로버 Z]] - [[모모타 카나코]], (구)[[아리야스 모모카]] * [[비 쇼넨]] - [[이와사키 타이쇼]] * [[아라시(아이돌)|아라시]] - [[오노 사토시]] * [[와스타]] - 히로카와 나나세, [[미시나 루카]] * [[WEST.]] - [[키리야마 아키토]] * [[칸쟈니∞]] - (구)[[시부타니 스바루]], (구)[[니시키도 료]], (현)[[야스다 쇼타]] * [[페어리즈]] - 이토 모모카 * [[헬로! 프로젝트]] * [[Juice=Juice]] - [[타카기 사유키]], [[미야모토 카린]], [[카나자와 토모코]], [[단바라 루루]] * [[모닝구 무스메]] - [[오다 사쿠라]] * (구) [[아베 나츠미]], [[타카하시 아이]], [[후지모토 미키]], [[다나카 레이나]], [[사야시 리호]] * [[베리즈코보]] - [[츠구나가 모모코]], [[나츠야키 미야비]] * [[안쥬르므]] - [[와다 아야카]], [[무로타 미즈키]] * (구) [[타무라 메이미]] * [[큐트]] - [[스즈키 아이리]], [[오카이 치사토]] * [[9nine]] - 요시이 카나에, [[니시와키 사야카]] === 래퍼 === 한국과 달리 일본 아이돌 그룹의 경우 '랩'이 노래에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 때문에 확실하게 '래퍼' 포지션을 가진 멤버가 매우 드물다. 그나마 쟈니즈 계열 그룹에 한둘 있는 정도. 초창기의 윈즈나 리드(Lead.)같은 그룹에서 래퍼 포지션이 있긴 있었다. 대신 여성 아이돌 그룹에선 한국의 JYP에서 프로듀싱한 NiziU의 리마, 마유카 빼면 정말 몇 없다. 한국에서는 힙합 문화가 일반 팝이나 댄스에도 전폭적으로 랩이 도입되어 인기를 끈 반면 일본의 힙합 문화는 ~~한국 힙덕후들이 그리 바라지마지 않는~~[* 락덕후들도 역시 일본의 밴드 문화를 동경하는 경향이 있다.] 철저하게 언더그라운드 내에서의 마니아 문화로 DJ들과 함께 성장해온 문화이기 때문에 일반 댄스음악과의 접점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 희한하게 한국의 락덕후들이 동경하는 [[일본 록]] 씬은 댄스음악과의 접점이 꽤 되는 편이다. 이 부분은 한국과는 정반대. 그럼에도 한국의 음악씬과 정통파 힙합/록 씬의 음악들은 국내에선 주목이 덜한 편이다.[* 이는 아이돌 프로듀싱에 본격적으로 몸을 담은 선배 뮤지션들의 영향도 있다. 한국에서는 [[박진영]], [[양현석]] 등 미국 흑인음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가들이 성공하고 프로듀서로 전직해 아이돌 그룹을 양성했으나, 일본에서는 밴드 프론트맨이었던 [[층쿠]]나 [[The Alfee]]의 곡으로 작사가 커리어를 시작한 [[아키모토 야스시]] 등 락음악과 밀접한 음악가들이 현직 프로듀서로 활약하고 있다.] * 라임베리(RHYMEBERRY) - MC MIRI[* 장르 자체가 아이돌 팝 + 힙합이다 보니 일본 여성 아이돌 중에서 정말 보기 드문 메인 래퍼 포지션. 물론 다른 멤버도 랩을 하지만 랩배틀 대회에도 출전하고 하는 등 래퍼로서의 인지도는 멤버들 중 독보적.[[https://www.youtube.com/watch?v=DKKh2N8e23M|랩 배틀 대회 참여 영상]]] * [[AAA]] - [[히다카 미츠히로]] * [[INI]] - [[타지마 쇼고]], [[이케자키 리히토]] * [[JO1]] - [[시로이와 루키]], [[키마타 쇼야]], [[오히라 쇼세이]], [[킨죠 스카이]], [[츠루보 시온]], [[마메하라 잇세이]] * [[HiHi Jets]] - [[이가리 소야]] * [[KAT-TUN]] - (구) 타나카 코키[* 동생 [[타나카 쥬리]]도 래퍼. 형제가 모두 랩 전문이다.], (현) 우에다 타츠야 * [[Kis-My-Ft2]] - [[후지가야 타이스케]], [[니카이도 타카시]] * [[Lead(가수)|Lead.]] - 타니우치 신야[* 이전에는 다른 멤버들도 보컬과 랩을 겸하긴 했으나 현재에 들어선 랩을 하는 건 거의 신야 정도.] * [[NiziU]] - [[리마(NiziU)|리마]], [[마유카(NiziU)|마유카]] * [[SixTONES]] - [[타나카 쥬리]][* 제시와 [[모리모토 신타로]]하고 랩을 나눠 맡는 노래도 있긴 하다.] * [[Snow Man]] - [[이와모토 히카루]][* 다만 스톤즈의 쥬리처럼 래퍼 전담은 아니고 보컬과 랩을 모두 하는 정도. 대신 랩이 있는 노래에서는 대부분 이와모토가 랩을 한다. 일부 활동곡에서는 [[사쿠마 다이스케]]와 라울도 랩을 같이 하는 편이라 이 두사람도 랩 장면이 그나마 자주 보인다. 또한 [[와타나베 쇼타]] 정도를 빼면 나머지 멤버들도 어쩌다 한번씩은 랩을 하기도 한다.(ブラザービート나 black gold, Tic Tac Toe 같은 경우 거의 모든 멤버들이 랩을 하는데 꿋꿋이 메인보컬이라 그런지 혼자 보컬을 유지하는 편. 한국으로 치면 GOD의 김태우와 비슷한 케이스라고 보면 된다.)] * [[w-inds.]] - 치바 료헤이, 오가타 류이치(초창기 시절) * [[아라시(아이돌)|아라시]] - [[사쿠라이 쇼]] == 음악 외 == === 비주얼 === * [[9nine]] - (구)[[카와시마 우미카]] * [[A.B.C-Z]] - [[토츠카 쇼타]], [[하시모토 료스케]], [[카와이 후미토]] * [[AKB48 그룹]] * [[AKB48]] - [[오오모리 마호]], [[오구리 유이]], [[야마우치 미즈키]] * (구) [[이타노 토모미]], [[코지마 하루나]], [[와타나베 마유]], [[시마자키 하루카]], [[오오와다 나나]], [[카와에이 리나]], [[이리야마 안나]], [[카토 레나]], [[니시카와 레이]], [[쿠보 사토네]] * [[SKE48]] - [[스가와라 마야]], [[쿠마자키 하루카]], [[스에나가 오카]] * (구) [[키타가와 료하]], [[키모토 카논]], [[이시다 안나]] * [[NMB48]] - [[죠니시 레이]], [[야마모토 미카나]] * (구) [[오오타 유우리]], [[야마모토 아야카]], [[와타나베 미유키]], [[시로마 미루]], [[요코노 스미레]], [[우메야마 코코나]] * [[HKT48]] - [[타나카 미쿠]], [[운죠 히로나]], [[마츠오카 하나]] * (구) [[모리야스 마도카]], [[미야와키 사쿠라]], [[마츠오카 나츠미]], [[무라시게 안나]], [[야부키 나코]] * [[NGT48]] - [[카와고에 사야]], [[나카이 리카]], [[혼마 히나타]] * (구) [[야마구치 마호]], [[카토 미나미]] * [[STU48]] - [[타키노 유미코]], [[이시다 치호]] * (구) [[카도와키 미유나]] * [[GEM]] - [[오구리 카코]] * [[Hey! Say! JUMP]] - [[이노오 케이]], [[나카지마 유토]], [[야마다 료스케]] * [[INI]] - [[사노 유다이]], [[키무라 마사야(INI)|키무라 마사야]], [[쉬펑판]] * [[JO1]] - [[코노 준키]], [[카와니시 타쿠미]], [[츠루보 시온]] * [[KAT-TUN]] - [[카메나시 카즈야]], (구)[[아카니시 진]][* 탈퇴 전까지는 카메나시와 비주얼 투탑이었다.] * [[King & Prince]] - (구)[[키시 유타]], (구)[[히라노 쇼]], [[나가세 렌]] * [[KinKi Kids]] - [[도모토 코이치]] * [[Kis-My-Ft2]] - [[후지가야 타이스케]], [[타마모리 유타]] * [[NEWS]] - [[카토 시게아키]], (구)[[야마시타 토모히사]] * [[NiziU]] - [[아야카(NiziU)|아야카]], [[리마(NiziU)|리마]], [[미이히]], [[리오(NiziU)|리오]] * [[PASSPO☆]] - (구)[[오쿠나카 마코토]] * [[Perfume]] - [[놋치(Perfume)|놋치]] * [[Rev.from DVL]] - [[하시모토 칸나]] * [[Sexy Zone]] - [[사토 쇼리]] * [[SixTONES]] - [[마츠무라 호쿠토]], [[쿄모토 타이가]] * [[SMAP]] - [[나카이 마사히로]], [[기무라 타쿠야]] * [[Snow Man]] - [[메구로 렌]], [[이와모토 히카루]] * [[SUPER☆GiRLS]] - [[와타나베 코우메]] * [[TOKIO]] - 마츠오카 마사히로, [[나가세 토모야]] * [[V6]] - [[모리타 고]], [[미야케 켄]], [[오카다 준이치]] * [[&TEAM]] - [[조]], [[하루아]] * [[나니와단시]] - [[타카하시 쿄헤이]], [[미치에다 슌스케]] * [[모닝구 무스메]] - [[마키노 마리아]], (구)[[아베 나츠미]], [[고토 마키]], [[이시카와 리카]], [[미치시게 사유미]], [[쿠도 하루카(1999)]] * [[모모이로 클로버 Z]] - [[모모타 카나코]], [[사사키 아야카]] * [[베리즈코보]] - [[스가야 리사코]] * [[아라시(아이돌)|아라시]] - [[마츠모토 준]] * [[안쥬르므]] - [[와다 아야카]] * [[와스타]] - [[미시나 루카]] * [[WEST.]] - [[시게오카 다이키]], [[코타키 노조무]] * [[칸쟈니∞]] - [[니시키도 료]], [[오쿠라 타다요시]] * [[사카미치 시리즈]] * [[노기자카46]] - (구)[[시라이시 마이]], (구)[[하시모토 나나미]] * [[사쿠라자카46]] - [[와타나베 리카]] * [[큐트]] - (구)[[스즈키 아이리]] * [[타키&츠바사]] - [[타키자와 히데아키]] * [[페어리즈]] - [[시모무라 미키]] === 센터 === [[일본 아이돌]]의 경우 한국에 비해 다인원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그룹 이미지 구축+인지도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대의 정 가운데' 세우는 멤버에게 스포트라이트를 집중시킨다. 때문에 그룹의 얼굴이라 할 정도로 센터의 비중이 상당하다. 심하면 아얘 노래 파트와 안무 동선까지 센터에게 몰아주고 다른 멤버들은 코러스만해서 병풍취급을 당하기도 한다.[* 다인원 그룹일수록 무대에서 센터몰빵은 심해지는데, 멤버가 많으면 복잡한 동선을 가진 안무를 만들기가 어려워지기 때문. 48/46사단처럼 20명씩 무대에 올라가는 경우에는 두줄로 세워놓고 앞줄 뒷줄 자리 바꾸기 정도 하는 게 한계다. 복잡한 안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춘 경우도 없고...][* [[Snow Man]]처럼 센터가 중도 편입된 멤버에게 넘어가는 바람에 팬덤에서 갈등이 생긴 케이스도 있다.] 연기 활동이나 잡지 인터뷰 등 적극적인 미디어 푸쉬는 덤. 팬덤의 불화 방지, 멤버별 역할분담을 중요시 여기는 한국 아이돌과는 다르다. 때문에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류]] 아이돌의 경우 한국에서는 없던 센터가 생기기도 한다. 물론 [[나니와단시]]처럼 곡마다 센터가 다른 아이돌도 있긴 하다. * [[A.B.C-Z]] - [[하시모토 료스케]] * [[AKB48 그룹]] * [[AKB48]] - [[오구리 유이]], [[치바 에리이]], [[혼다 히토미]] * (구) '''[[마에다 아츠코]]''', [[와타나베 마유]], [[시마자키 하루카]], [[오카다 나나]] * [[SKE48]] - [[하야시 미레이]], [[아오우미 히나노]] * (구) [[오바타 유나]], [[마츠이 쥬리나]] * [[NMB48]] - [[카와카미 치히로]], [[죠니시 레이]] * (구) [[야마모토 사야카]], [[와타나베 미유키]], [[시로마 미루]] * [[HKT48]] - [[운죠 히로나]], [[타나카 미쿠]] * (구) [[코다마 하루카]], [[토모나가 미오]], [[미야와키 사쿠라]], [[타시마 메루]], [[야부키 나코]] * [[NGT48]] - [[오고에 하루카]], [[혼마 히나타]] * (구) [[타카쿠라 모에카]], [[오기노 유카]] * [[STU48]] - [[타키노 유미코]], [[이시다 치호]] * [[GEM]] - 다케다 마아야 * [[Hey! Say! JUMP]] - [[야마다 료스케]] * [[HiHi Jets]] - [[타카하시 유토]] * [[INI]] - [[키무라 마사야(INI)|키무라 마사야]] * [[JO1]] - [[마메하라 잇세이]] * [[Juice=Juice]] - [[미야모토 카린]] * [[KAT-TUN]] - [[카메나시 카즈야]], (구)[[아카니시 진]][* 아카니시 진의 탈퇴 전까지는 카메나시 카즈야와 둘이 함께 더블 센터였다.] * [[King & Prince]] - [[히라노 쇼]], [[키시 유타]][* 평소에는 히라노 쇼가 센터이지만, 6명이 서면 키시 유타와 함께 공동 센터로 서는 편이다.] * [[Kis-My-Ft2]] - [[키타야마 히로미츠]], [[후지가야 타이스케]], [[타마모리 유타]][* 한 노래 안에서도 이 셋이 계속 돌아가며 센터 자리에 서는 편이다. 그래서 이 셋을 센터가 아니라 프론트 멤버~~앞줄 세명~~이라고 보기도 한다.] * [[NEWS]] - (구)[[야마시타 토모히사]] * [[Rev.from DVL]] - (구)[[하시모토 칸나]] * [[Sexy Zone]] - [[사토 쇼리]] * [[SixTONES]] - [[제시(SixTONES)|제시]] * [[Snow Man]] - [[라울(Snow Man)|라울]], (구)[[이와모토 히카루]] * [[SUPER☆GiRLS]] - [[와타나베 코우메]], [[아사카와 나나]] * [[TOKIO]] - [[나가세 토모야]] * [[Travis Japan]] - 미야치카 카이토 * [[V6]] - [[모리타 고]] * [[Wake Up, Girls!]] - [[시마다 마유]]☆ * [[μ’s]] - [[코사카 호노카]]([[닛타 에미]])[* 이 경우는 프로젝트 초기부터 이어져오던 명예 센터다. 노래가 어느 것이냐에 따라 센터가 바뀐다.]☆ * [[나니와단시]] - [[니시하타 다이고]] * [[모모이로 클로버 Z]] - [[모모타 카나코]] * [[베리즈코보]] - [[쿠마이 유리나]][* 181cm의 장신이며, 거의 모든 곡들에서 센터를 담당했으며, [[이나즈마 일레븐(애니메이션)|이나즈마 일레븐]]의 일본판 엔딩곡으로 쓰인 앨범에서도 센터 포지션을 담당했다.] * [[비 쇼넨]] - [[사토 류가(비 쇼넨)|사토 류가]] * [[사카미치 시리즈]] * [[노기자카46]] - (구)[[이코마 리나]] * [[케야키자카46]] - (구)[[히라테 유리나]] * [[사쿠라자카46]] - [[모리타 히카루]] * [[히나타자카46]] - [[코사카 나오]] * [[안쥬르므]] - [[사사키 리카코]] * [[WEST.]] - [[시게오카 다이키]] * [[칸쟈니∞]] - (구)[[시부타니 스바루]], (구)[[니시키도 료]] * [[큐트]] - [[스즈키 아이리]] * [[7 MEN 사무라이]] - [[나카무라 레이아]] * [[9nine]] - [[카와시마 우미카]] === 리더 === 일본 아이돌의 경우 평균 멤버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를 통솔하는 리더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때문에 '서브리더'를 두기도 하며(하단 기재) 그룹에 따라 캡틴, 학생회장 등으로 그룹마다 명칭이 다른 경우가 있다. AKB그룹은 초대형 그룹으로 전체를 통솔하는 총 감독, 각 그룹 내의 팀별 캡틴([[SKE48]]은 리더)가 존재한다. 쟈니스의 최근 그룹은 [[King & Prince]]를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리더가 없지만, 멤버들이 인정하는 실질적 리더들은 존재하고 있다. * [[A.B.C-Z]] - [[카와이 후미토]] (실질적 리더) * [[AKB48 그룹]] * '''그룹 총감독 - [[타카하시 미나미]], [[요코야마 유이]], [[무카이치 미온]]''' * [[AKB48]] * 팀A 캡틴 [[오카베 린]] * 팀K 캡틴 [[코미야마 하루카]] * 팀B 캡틴 [[이와타테 사호]] * 팀4 캡틴 [[무라야마 유이리]] * [[SKE48]] - '''[[사이토 마키코]]''' * (구) [[키타가와 료하]], [[마츠이 레나]], [[오오바 미나]], [[스다 아카리]] * [[NMB48]] - '''[[코지마 카린]]''' * (구) [[야마모토 사야카]], [[카와카미 레나]], [[쿠시로 리나]] * [[HKT48]] * 팀H 캡틴 [[마츠오카 나츠미]] * 팀KⅣ 캡틴 [[모토무라 아오이]] * 팀TII 캡틴 [[야마시타 에미리]] * (구) [[사시하라 리노]] * [[NGT48]] - [[후지사키 미유]] * (구) [[키타하라 리에]], [[카토 미나미]], [[혼마 히나타]], [[카도 유리아]] * [[BNK48]] - [[츠쁘랑 아리꾼]] * [[GEM]] - 카나자와 유키 * [[Hey! Say! JUMP]] - [[야부 코타]] (실질적 리더) * [[I-1]] - [[콘도 마이]]☆ * [[INI]] - [[키무라 마사야(INI)|키무라 마사야]] * [[JO1]] - [[요나시로 쇼]] * [[KAT-TUN]] - (구)[[우에다 타츠야]][* 탈퇴가 아닌, 스스로 리더 자리를 관둔 케이스.] * [[King & Prince]] - (구)[[키시 유타]][* 2023년 9월 30일 탈퇴.] * [[Kis-My-Ft2]] - [[키타야마 히로미츠]] (실질적 리더) * [[LinQ]] - 아마노 나츠 * [[NEWS]] - (구)[[야마시타 토모히사]], (현)[[코야마 케이치로]] * [[NiziU]] - [[마코(NiziU)|마코]] * [[PASSPO☆]] - 네기시 아이 * [[Pastel*Palettes]] - [[마루야마 아야]] * [[Rev.from DVL]] - 이마이 히토미 * [[Sexy Zone]] - [[나카지마 켄토]] (실질적 리더) * [[SixTONES]] - [[코우치 유고]] * [[Snow Man]] - [[이와모토 히카루]] * [[SUPER☆GiRLS]] - 미조테 루카 * [[TOKIO]] - 죠시마 시게루 * [[Travis Japan]] - 미야치카 카이토 * [[V6]] - [[사카모토 마사유키]] * [[Wake Up, Girls!]] - [[나나세 요시노]]☆ * [[μ’s]] - [[코사카 호노카]]☆ * [[나니와단시]] - [[오오하시 카즈야]] * [[뉴 제네레이션]] - [[혼다 미오]]☆[* 애니메이션 한정.] * [[데스데빌]] - [[야마나카 사와코]], 카와구치 노리미 (당시 공동 [[리더]] 체제) * [[모모이로 클로버 Z]] - [[모모타 카나코]] * [[방과 후 티타임]] - [[아키야마 미오]], [[코토부키 츠무기]] (공동 리더 체제) * [[사카미치 시리즈]] * [[노기자카46]] - '''(현) [[우메자와 미나미]]''' * (구)[[사쿠라이 레이카]], [[아키모토 마나츠]] * [[사쿠라자카46]] - '''(현) [[마츠다 리나]]''' * (구) [[스가이 유우카]] * [[히나타자카46]] - [[사사키 쿠미]] * [[사쿠라 학원]] - 이소노 리논 (학생회장) * [[사립에비스중학]] - [[마야마 리카]] * [[새싹 걸스]] - [[나카노 아즈사]], [[스즈키 쥰]] (공동 리더 체제) * [[소년대]] -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 [[아라시(아이돌)|아라시]] - [[오노 사토시]] * [[아이돌 마스터]] - [[아마미 하루카]]☆ * [[와스타]] - 히로카와 나나세 * [[WEST.]] - [[나카마 준타]] (실질적 리더) * [[칸쟈니∞]] - [[요코야마 유]] (실질적 리더) * 하로프로젝트 리더 [[와다 아야카]] * [[모닝구 무스메]] - [[후쿠무라 미즈키]][* 하로프로 전체 서브리더.] * [[안쥬르므]] - '''[[와다 아야카]]'''[* 하로프로 전체 리더.] * [[츠바키 팩토리]] - [[야마기시 리코]] * [[컨트리걸즈]] - [[츠구나가 모모코]] (플레잉 메니저) * [[코부시 팩토리]] - [[히로세 아야카]] (조장) * [[큐트]] - [[야지마 마이미]][* 2016년을 끝으로 하로프로 전체 리더 퇴임.] * [[Juice=Juice]] - [[미야자키 유카]] ==== 서브리더 ==== * [[AKB48 그룹]] (부캡틴[* SKE48은 리더]) * [[SKE48]] - [[후쿠시 나오]] * (구) [[이누즈카 아사나]], [[우치야마 미코토]] * [[NMB48]] - (구) [[야마오 리나]], [[이소 카나에]], [[오키타 아야카]] * [[HKT48]] - (구) [[호카조노 하즈키]], [[미야와키 사쿠라]] * [[NGT48]] - (구) [[오기노 유카]], [[야마구치 마호]] * 하로프로젝트 - [[후쿠무라 미즈키]] (2017년 하반기 예정) * [[모닝구 무스메 '17]] - [[이이쿠보 하루나]], [[이쿠타 에리나]] * [[안쥬르므]] - [[타케우치 아카리]], [[나카니시 카나]] * [[쥬스쥬스]] - [[카나자와 토모코]] * [[츠바키 팩토리]] - [[오가타 리사]] * [[코부시 팩토리]] - [[후지이 리오]] * [[Rev.from DVL]] - 아키야마 미호, 니시오카 유나 === 막내 === 일본에서는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어린 나이에 데뷔하고 활동을 시작하지만 데뷔 초기에는 연습에 더욱 중점을 두거나 가볍고 작은 활동만 시킨다. 성장이 충분히 되기 전까진 자사 1군 주전 선발 멤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나니와단시]] - [[나가오 켄토]] * [[모닝구 무스메 '17]] - [[하가 아카네]] * [[모모이로 클로버 Z]] - [[사사키 아야카]] * [[비 쇼넨]] - [[카나사시 잇세이]] * [[사카미치 시리즈]] * [[노기자카46]] - [[오가와 아야]] * [[사쿠라자카46]] - [[마토노 미오]] * [[히나타자카46]] - [[와타나베 리나]] * [[소년대]] -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 [[아라시(아이돌)|아라시]] - [[마츠모토 준]] * [[안쥬르므]] - [[카사하라 모모나]] * [[와스타]] - [[미시나 루카]] * [[WEST.]] - [[코타키 노조무]] * [[츠바키 팩토리]] - [[아키야마 마오]] * [[칸쟈니∞]] - [[오쿠라 타다요시]] * [[코부시 팩토리]] - [[이노우에 레이]] * [[큐트]] - [[하기와라 마이]] * [[타키&츠바사]] - [[타키자와 히데아키]] * [[페어리즈]] - [[시모무라 미키]] * [[포유]] - 타츠미 유다이 * [[A.B.C-Z]] - [[하시모토 료스케]] * [[AKB48 그룹]] * [[AKB48]] - [[사카가와 히유카]] * [[SKE48]] - [[하야시 미레이]] * [[NMB48]] - [[쿠로시마 사쿠라]] * [[HKT48]] - [[이시바시 이부키]] * [[NGT48]] - [[후루타테 아오이]] * [[STU48]] - [[사코 히메카]] * [[GEM]] - [[니시다 히라리]] * [[Hey! Say! JUMP]] - [[치넨 유리]] * [[HiHi Jets]] - [[이가리 소야]] * [[INI]] - [[마츠다 진]] * [[JO1]] - [[마메하라 잇세이]] * [[Juice=Juice]] - [[야나가와 나나미]] * [[KAT-TUN]] - [[카메나시 카즈야]] * [[King & Prince]] - [[타카하시 카이토]] * [[KinKi Kids]] - [[도모토 츠요시]] * [[Kis-My-Ft2]] - [[센가 켄토]] * [[NEWS]] - (구) 모리우치 타카히로, (구) 쿠사노 히로노리, (현) [[테고시 유야]] * [[NiziU]] - [[니나(NiziU)|니나]] * [[Perfume]] - [[아~쨩]] * [[Sexy Zone]] - [[마리우스 요]] * [[SixTONES]] - [[모리모토 신타로]] * [[SMAP]] - [[카토리 싱고]] * [[Snow Man]] - [[라울(Snow Man)|라울]] * [[SUPER☆GiRLS]] - [[나가오 시오리]] * [[TOKIO]] - [[나가세 토모야]] * [[V6]] - [[오카다 준이치]] * [[7 MEN 사무라이]] - [[사사키 타이코]] === 해외파 === 일본에선 아직 해외출신 아이돌이 드물다. 특히 [[쟈니스 사무소]]의 경우는 끽해야 귀국자녀나 일본 국적을 보유한 혼혈만 있다. 심지어 일본 이중국적이 아닌 외국 국적자는 아예 받지 않는다는 썰도 있는데 쟈니스 아이돌들 중에서도 재일 의혹이 있는 사람이 있는 걸 보면 아닐지도. * [[AKB48 그룹]] * [[AKB48]] - [[마챠링]](대만 - 일본) * [[NMB48]] - (구) [[이시연(2000)|이시연]](한국 - 일본) * [[SDN48]] - (구) 첸츄(중국 - 일본), [[정시연]](한국 - 일본) * [[STU48]] - (구) [[쵸 오리에]](중국 - 일본) * [[JKT48]] - (구) [[나카가와 하루카]], [[치카노 리나]], [[노자와 레나]](일본 - 인도네시아) * [[BNK48]] - [[오오쿠보 미오리]](일본 - 태국) * [[CGM48]] - [[이즈타 리나]](일본 - 태국) * [[BUGVEL]] - [[왕군호]] * [[INI]] - [[쉬펑판]] * [[MuuTive]] - [[지민(MuuTive)|지민]] * [[NiziU]] - [[니나(NiziU)|니나]][* [[미국]], [[일본]] 복수국적이다.] * [[ORβIT]] - [[영훈(ORβIT)|영훈]], [[히쵸]], [[윤동]], [[준(ORβIT)|준]][* [[PRODUCE 101 JAPAN]]의 파생 그룹이며 4명 다 [[한국인]]이다. (준은 [[재일 한국-조선인|재일교포]]) 다만 PRODUCE 101 JAPAN이 [[대한민국|한국]]-[[일본]] 공동 제작 프로그램인지라 한일합작 그룹에 가깝다.] * [[PSYCHIC FEVER from EXILE TRIBE]] - [[WEESA]][* [[모로코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다. [[https://m.tribe-m.jp/diary/detail_prev_next?id=293605&table_type=1&comng_id=480&group_id=psychic_mb&type=next&open_time=2019-10-22%2020:51:37|#]] 일본에서 태어나 쭉 일본에서 자란데다 일본 국적이기 때문에 어머니가 재일교포 출신이라는 추측도 있다.], [[JIMMY(PSYCHIC FEVER)|JIMMY]][* [[나이지리아]]와 [[일본]]의 혼혈이다.] * [[Sexy Zone]] - (구) [[마리우스 요]][* [[독일]], [[일본]] 복수국적이다.] * [[XG]] - [[히나타(XG)|히나타]][* [[한국계 일본인]]이다. 다만 준과 달리 한국 국적은 없다.], [[하비(XG)|하비]][* [[호주]], [[일본]] 복수국적이다.] * [[모닝구 무스메]] - (구) [[쥰쥰(1988)|쥰쥰]], (구) [[링링(1991)|링링]] * [[&TEAM]] - [[의주(&TEAM)|의주]], [[니콜라스(&TEAM)|니콜라스]], [[마키(&TEAM)|마키]][* [[독일]], [[일본]] 복수국적이다.] [[분류:일본 아이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