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젠다리움의 우주관)] '''Ilmen''' [목차] == 개요 == [[레젠다리움]] 세계관에 나오는 공간. [[아르다]]의 대기 중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가 만들어낸 [[별]]들이 떠있는 매우 높은 대기 공간으로, 현실의 [[외기권]], [[외우주]]에 대응된다. 육체는 이곳에서 도움 없이 존재하는 게 불가능했고, [[발리노르]]의 대기가 일멘이 지상과 만나는 부분이었기 때문에 필멸자들은 일반적으로 이곳에 올 수 없었다. [[아나르와 이실|태양과 달]], [[실마릴|길 에스텔]]은 일멘의 하부 공간에서 이동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별들보다 훨씬 밝았다. 아르다의 바깥에 있는지 안에 있는지 묘사가 좀 다른데, 대체적으로는 대기권에 해당되는 비스타와 세계를 둘러싸는 외해인 [[엑카이아]][* 또는 바이야]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온다. 엑카이아와 일멘 사이에는 "일멘의 틈"이라는 곳이 있는데, 일멘의 공기로 차 있다. [[달(가운데땅)|달]]과 [[틸리온]]은 낮이 될때마다 서쪽에서 이곳에 뛰어들었다. == 천체 == === [[해와 달(가운데땅)|해와 달]] === [[텔페리온]]과 [[라우렐린]]의 마지막 꽃과 열매를 [[아울레]]가 만든 용기에 담아 하늘에 띄운 것이다. ---- * [[아나르]] * [[이실]] === 길 에스텔 === [[에아렌딜]]이 [[실마릴]]을 이마에 달고 하늘에 뜨면서 만들어진 천체이다. 현실의 샛별, 즉 '''[[금성]]'''이다. === 별 === 이전에도 [[아르다]]가 창조될 무렵에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가 빛나는 수정을 하늘에 박아 만든 무수한 별이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며 그 별들의 빛은 희미해진 상태였다. 아래는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가 [[요정(가운데땅)|요정]]의 깨어남을 위해 [[텔페리온]]의 이슬로 새로이 점등한 별들이다. ---- * '''엘렘미레(Elemmírë)''' - 이름은 '별 보석(Star-Jewel)'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수성]]'''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 '''카르닐(Carnil)''' - 이름은 '붉은 별(Red Star)'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화성]]'''이다. * '''알카링퀘(Alcarinquë)''' - 점등 당시에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였다.[* 당시에는 해와 달이 없었고, [[에아렌딜|길 에스텔]]([[금성]])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름의 뜻은 '영광스러운 자(The Glorious)'. 현실의 '''[[목성]]'''이다. * '''룸바르(Lumbar)''' - 두번째 점등 때 만들어진 별들 중에서는 가장 어두웠다고 한다. 이름은 '그림자의 집(Shadow-Home)'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토성]]'''이다. * '''네나르(Nénar)''' - 이름은 '물(Water)'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천왕성]]'''이다. 하지만 천왕성은 굉장히 희미한 별이라,[* 천왕성의 겉보기 등급은 5등급이다.] 룸바르(토성)보다 밝다는 네나르가 정말 천왕성인지는 불명이다. * '''루이닐(Luinil)''' - 이름에 푸르다는 뜻을 내포한다. 현실의 '''[[해왕성]]'''이라는 [[톨킨]]의 메모가 있으나, 해왕성은 어둡기 때문에[* 해왕성의 겉보기 등급은 8등급이라서 육안으로는 안보인다.]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였다는 루이닐과는 연결이 좀 어렵다. 이외에는 '''[[리겔]]'''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이고, '''[[스피카#s-1]]'''나 '''[[레굴루스]]'''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 '''보르길(Borgil)''' - 메넬마카르 별자리[* 현실의 [[오리온 자리]]] 근처에 위치한 붉은 별이다. 이름은 '붉은별(Red Star)'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베텔게우스]]''' 또는 '''[[알데바란]]'''으로 추정된다. * '''헬루인(Helluin)''' - 이름은 '얼음같은 푸름(Ice-Blue)'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시리우스]]'''이다. * '''틸(Til)''' - 초창기 레젠다리움에서 등장하는 별이다. 헬루인(시리우스) 근처의 작은 별이라고 한다. * '''모르위뇬(Morwinyon)''' - 초창기 레젠다리움에서 등장하는 별이다. 이름은 '어둠 속의 반짝임(Glint at Dusk)'이라는 뜻이다. 세계의 서쪽 끝에서 빛나는 별이었다고 하며, 현실의 '''[[아크투루스]]'''이다. === 별자리 ===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가 [[요정(가운데땅)|요정]]의 깨어남을 위해 점등한 별들 중 일부를 모아 모양을 만든 것이다. ---- * '''아나리마(Anarríma)''' - 퀘냐로 '태양 경계(Sun-border)'라는 뜻이다. 현실의 어떤 별자리인지 알 수 없으나 '''[[북쪽왕관자리]]''' 또는 '''[[페가수스자리|페가수스의 사각형]]'''으로 추정된다. * '''메넬마카르(Menelmacar)''' - 퀘냐로 '천상의 검사(Heaven-Swordsman)'라는 뜻이며, 신다린으로는 '''메넬바고르(Menelvagor)'''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퀘냐로 '하늘의 기사(Warrior of the Sky)'라는 뜻의 '''텔루메흐타르(Telumehtar)'''가 있다. 현실의 '''[[오리온자리]]'''이다. * '''렘미라스(Remmirath)''' - 신다린으로 '그물에 걸린 보석들(group of jewels caught in a net)'이라는 뜻이다. [[공용어]]로는 '''그물에 걸린 별들(Netted Stars)'''이라는 뜻이다. 현실의 '''[[플레이아데스성단]]'''이다. * '''소로누메(Soronúmë)''' - 퀘냐로 '서쪽의 독수리(Eagle of the West)'라는 뜻이다. 명칭에 따르면 현실의 '''[[독수리자리]]'''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거문고자리]]'''일 가능성도 있다.[* 거문고자리는 [[아랍]]에서 '낙하하는 독수리'라는 뜻의 '''an-nasr al-wāqi'''로 불렸는데, 이후 이 이름은 거문고자리의 알파성의 이름 [[베가]]의 이름이 되었다.] * '''텔루멘딜(Telumendil)''' - 퀘냐로 '하늘을 사랑하는 자(Sky-lover)'라는 뜻이다. 현실의 어떤 별자리인지는 불명이다. * '''발라키르카(Valacirca)''' - 퀘냐로 '발라의 낫(Sickle of the Valar)'이라는 뜻이다. [[발라(가운데땅)|발라]]들이 [[멜코르]]에 대항함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었다. [[난쟁이(가운데땅)|난쟁이]]들의 전설에 등장하는 '''[[두린]]의 왕관'''이라 불리는 일곱 개의 별이 바로 이 발라키르카라는 추측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현실의 '''[[북두칠성]]'''이다. * '''윌와린(Wilwarin)''' - 이름은 퀘냐로 '나비(Butterfly)'라는 뜻이다. 현실의 '''[[카시오페이아자리]]'''로 추측된다.[* 카시오페이아자리 특유의 W모양이 나비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르다, version=17)] [[분류:레젠다리움/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