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내 프로야구 주요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일구상|[[파일:일구상 로고.jpg|width=100]]]] ||<(> {{{+1 [[일구상|{{{#00BFFF '''일구상'''}}}]]}}}[br]{{{-1 [[일구상|{{{#00BFFF '''ILGOO Award'''}}}]]}}}||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일구상.jpg|width=100%]]}}}|| || {{{#FFF 2023 일구상 수상자들.}}} || [목차] [clearfix] == 소개 == 사단법인 [[일구회]]에서 주최하는 야구 시상식. 일구회란 과거 현역에서 물러난 선수들이 친목을 위해 만든 단체로 은퇴 야구인 권익 보호와 후진 양성을 위해 모인 단체라고 하는데, 2000년대 후반 야구 게임 시장이 커진 뒤로는 은퇴 선수들의 초상권에 관련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단체이기도 하다. 한 때 초상권을 두고 둘러 갈라지기도 했지만 일단은 어찌저찌 합쳐진 양상. 일구상은 일구회가 제정한 상으로 원래는 정말 듣보잡 취급을 받았던 상이지만, 바로 이 초상권을 둘러싸고 게임회사의 후원을 받으면서 2010년대 들어서면서 제법 규모가 커졌다. == 역대 수상자 == === 일구대상 === || 연도 || 대상 || 대상사유 || || 1996 || 이장우(아나운서) || 한국야구 영광의 순간을 함께 한 명캐스터 || || 1997 || [[오성수]](성남시장) || 관내 9개 팀 창단 || || 1998 || [[오광협]](서귀포시장) || 야구인의 마을 조성 || || 1999 || [[정몽윤]](대한야구협회장) || 아마야구발전 || || 2000 || [[이인근]](청원학당이사장) || 아마야구발전 || || 2001 || 홍순일(기자) || 야구인명사전 편찬 || || 2002 || [[김종락]](전 대한야구협회장) || 아마야구 발전, 참고로 [[김종필]]의 형이다 || || 2003 || [[이종남(기자)|이종남]](기자) || 한 시대를 풍미한 명 기자. 일명 땅표라 불리는 한국식 야구 기록지를 고안했다. || || 2004 || [[서울대학교 야구부]] || 2004년 1승을 거두면서 화제가 되었다. || || 2005 || [[김응용]]([[삼성 라이온즈]] 사장) || 야구인 출신 최초의 야구단 사장. || || 2006 || [[구본능]](희성그룹 회장) || 사비로 한국야구 100주년 사진집 출간 등 || || 2007 || 한영관(리틀야구연맹 회장) || 리틀야구 재건 || || 2008 || [[김경문]]([[두산 베어스]] 감독) || [[2008 베이징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야구]] 금메달 || || 2009 || [[김인식]](전 [[한화 이글스]] 감독) || WBC 준우승 감독 || || 2010 || [[김성근]]([[SK 와이번스]] 감독) || 4년간 프로야구 우승 3회 || || 2011 || [[장효조]]/[[최동원]] || 한국야구사의 큰 획을 그은 두 선수. 두 선수 모두 2011년 사망해 추모의 의미로 시상했다. || || 2012 || [[허민(기업인)|허민]]([[고양 원더스]] 구단주) || [[고양 원더스]] 창단 || || 2013 || [[박찬호]] || 아시아 MLB 최다승 투수(123승), 한국인 최초의 메이저리거. 2013년을 끝으로 은퇴하면서 수상하였다. || || 2014 || 리틀야구 대표팀 || 리틀야구 월드시리즈 우승 || || 2015 || [[김인식]] || [[2015 WBSC 프리미어 12]] 초대 우승 || || 2016 || [[이승엽]] || 한-일 통산 600홈런, KBO 한 시즌 최다 홈런(56홈런), 홈런 1위(467홈런). || || 2017 || [[허구연]](MBC 야구해설위원) || KBO 야구발전위원장 || || 2018 || [[류현진]] || 한국인 최초 월드시리즈 선발 등판 || || 2019 || [[김광현]]([[SK 와이번스]])[br][[양현종]]([[KIA 타이거즈]]) || 국가대표 국위선양 / 선행 || || 2020 || [[박용택]]([[LG 트윈스]]) || KBO 최다 안타 기록자. 2020년을 끝으로 은퇴하면서 수상하였다. || || 2021 || [[정용진]] ([[SSG 랜더스]] 구단주) || [[SK 와이번스]] 인수, [[청라돔]] 건설 추진 등[[KBO 리그]] 비즈니스 모델 발굴노력 || || 2022 || [[이대호]] || KBO 데뷔타자 최다안타(2895안타). 한국인 최초 일본시리즈 MVP. 국가대표 통산 OPS, 타점 1위. 2022년을 끝으로 은퇴하면서 수상하였다. || || 2023 || [[최강야구]] || 야구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 아마추어 선수들에 대한 관심 증대 || === 선수 부문 === || 연도 || 최고타자상 || 최고 투수상 || 신인상 || 의지노력상 || || 2008 || [[김현수(1988)|김현수]]([[두산 베어스]]) || [[김광현]]([[SK 와이번스]]) || [[최형우]]([[삼성 라이온즈]]) || [[조성환(1976)|조성환]]([[롯데 자이언츠]]) || || 2009 || [[김상현(1980)|김상현]]([[KIA 타이거즈]]) ||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롯데 자이언츠]]) || [[고창성]]([[두산 베어스]]) || [[강동우]]([[한화 이글스]]) || || 2010 ||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 [[류현진]]([[한화 이글스]]) || [[양의지]]([[두산 베어스]]) || [[최진행]]([[한화 이글스]]) || || 2011 || [[최형우]]([[삼성 라이온즈]]) || [[윤석민(투수)|윤석민]]([[KIA 타이거즈]]) || [[임찬규]]([[LG 트윈스]]) || [[이대수]]([[한화 이글스]]) || || 2012 || [[박병호]]([[넥센 히어로즈]]) || [[장원삼]]([[삼성 라이온즈]]) || [[서건창]]([[넥센 히어로즈]]) || [[노경은]]([[두산 베어스]]) || || 2013 || [[박병호]]([[넥센 히어로즈]]) || [[손승락]]([[넥센 히어로즈]]) || [[유희관]]([[두산 베어스]]) || [[이동현(1983)|이동현]]([[LG 트윈스]]) || || 2014 || [[서건창]]([[넥센 히어로즈]]) || [[양현종]]([[KIA 타이거즈]]) ||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NC 다이노스]]) || [[이재원(1988)|이재원]]([[SK 와이번스]]) || || 2015 || [[박병호]]([[넥센 히어로즈]]) || [[차우찬]]([[삼성 라이온즈]]) || [[구자욱]]([[삼성 라이온즈]]) || [[허경민]]([[두산 베어스]]) || || 2016 || [[최형우]]([[KIA 타이거즈]]) || [[유희관]]([[두산 베어스]]) || [[신재영]]([[넥센 히어로즈]]) || [[원종현]]([[NC 다이노스]]) || || 2017 || [[최정]]([[SK 와이번스]]) || [[양현종]]([[KIA 타이거즈]]) || [[이정후]]([[넥센 히어로즈]]) || [[김강률]]([[두산 베어스]]) || || 2018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두산 베어스]]) || [[정우람]]([[한화 이글스]]) ||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kt wiz]]) || [[채은성]]([[LG 트윈스]]) || || 2019 || [[이정후]]([[키움 히어로즈]]) || [[이영하(야구선수)|이영하]]([[두산 베어스]]) ||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LG 트윈스]]) || [[박세혁]]([[두산 베어스]]) || || 2020 || [[양의지]]([[NC 다이노스]]) || [[유희관]]([[두산 베어스]]) || [[소형준]]([[kt wiz]]) || [[강진성]]([[NC 다이노스]]) || || 2021 ||<|2> [[이정후]]([[키움 히어로즈]]) || [[백정현]]([[삼성 라이온즈]]) ||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롯데 자이언츠]]) || [[김대유]]([[LG 트윈스]]) || || 2022 || [[고우석]]([[LG 트윈스]]) || [[정철원]]([[두산 베어스]]) || [[노경은]]([[SSG 랜더스]]) || || 2023 || [[노시환]]([[한화 이글스]]) || [[임찬규]]([[LG 트윈스]]) || [[문동주]]([[한화 이글스]]) || [[류진욱]]([[NC 다이노스]]) || === 지도자 및 심판, 특별상 부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프로지도자상 || 아마지도자상 || 심판상 || 특별상 || 공로상 || 프런트상 || || 2008 || [[김기태(1969)|김기태]][br][[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 || [[이종운]][br][[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감독 || 오석환 || [[임창용]][br][[야쿠르트 스왈로즈]] || 김동성[br]동대문 비상대책위 위원장 || [[롯데 자이언츠]] || || 2009 || [[윤석환]][br][[두산 베어스]] 투수코치 || 조성옥[br][[동의대학교|동의대학교]] 감독 || [[문승훈]] || [[추신수]][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천하무적 야구단]] || KBO 홍보팀 || || 2010 || [[김무관]][br][[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 윤병선[br][[건국대학교 야구부|건국대학교]] 감독 || [[김풍기]] || [[김태균]][br][[지바 롯데 마린스]] || [[송진우(야구)|송진우]] [br] [[양준혁]] || [[두산 베어스]] 스카우트팀 || || 2011 || [[김광수(1959)|김광수]][br][[고양 원더스]] 수석코치 || [[이정훈(1963)|이정훈]][br][[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감독 || [[나광남]] || [[이용훈(야구)|이용훈]][br][[롯데 자이언츠]] || [[김정택(1953)|김정택]][br][[상무 피닉스 야구단]] 전 감독 || [[삼성 라이온즈]] || || 2012 || [[양승호]][br][[롯데 자이언츠]] 감독 || 정윤진[br][[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감독 || [[최규순]] || [[이대호]][br][[오릭스 버팔로스]] || 한재우[br]재일야구협회 전 회장 || [[NC 다이노스]] || || 2013 || [[차명석]][br][[LG 트윈스]] 투수코치 || 윤영환[br][[경성대학교|경성대학교]] 감독 || [[최수원]] ||<-2>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고양 원더스]] 투수코치)[br][[류현진]] ([[LA 다저스]]) || [[LG 트윈스]] || || 2014 || [[류중일]][br][[삼성 라이온즈]] 감독 || 이효근[br][[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등학교]] 감독 || [[박기택]] ||<-2> [[오승환]][br][[한신 타이거스]] || [[넥센 히어로즈]] || || 2015 || [[김태형(1967)|김태형]][br][[두산 베어스]] 감독 || [[윤석환]][br][[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터넷고등학교]] 감독 || [[이민호(1970)|이민호]] ||<-2> [[강정호]] ([[피츠버그 파이리츠]]) || [[두산 베어스]] || || 2016 || [[손혁]][br][[넥센 히어로즈]] 투수코치 || 없음 || [[전일수]] ||<-2> [[김현수(1988)|김현수]] ([[볼티모어 오리올스]])[br] 박기철 (스포츠투아이 부사장) || 없음 || || 2017 || [[김기태(1969)|김기태]][br][[KIA 타이거즈]] 감독 || 없음 || [[이영재(1968)|이영재]] ||<-2> 한경진[br]재활원장 || [[KIA 타이거즈]] || || 2018 || [[송진우(야구)|송진우]][br][[한화 이글스]] 투수 코치 || [[김성용(1970)|김성용]][br][[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등학교]] 감독 || [[우효동]] ||<-2> [[신본기]][br][[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 2019 || [[최일언]][br][[LG 트윈스]] 투수코치 || [[이성열(야구감독)|이성열]][br][[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등학교]] 감독 || 원현식 ||<-2> 최성우[br]일구회 고문 변호사 || 김승호[br][[두산 베어스]] 운영1팀장 || || 2020 || [[이동욱(야구)|이동욱]][br][[NC 다이노스]] 감독 || [[최재호(야구감독)|최재호]][br][[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등학교]] 감독 || [[박종철(야구)|박종철]] ||<-2> [[박종훈]][br][[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 2021 || [[이강철]][br][[kt wiz]] 감독 || [[이영복(야구)|이영복]][br][[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감독 || [[박근영]] || 조은성[br]영화 [[1984 최동원]] 감독 || 안우준[br]KBSA 기록위원 || [[두산 베어스]] 운영 2팀 || || 2022 || [[박치왕]][br][[상무 피닉스 야구단]] 감독 || 김의수[br][[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등학교]] 감독 || [[오훈규]] ||<-2> [[박노준]][br][[안양대학교]] 총장 || [[류선규]][br][[SSG 랜더스]] 단장 || || 2023 || [[이호준]][br][[LG 트윈스]] 타격코치 || 박건수[br]성남 대원중학교 감독 || [[김성철(야구)|김성철]] ||<-2> [[김하성]][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LG 트윈스]][br]마케팅팀 || }}} == 여담 == * 수상자를 그냥 나눠먹는다는 비판도 많다. 특히 최고투수 부문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020년 136.1이닝 ERA 5.02의 유희관이 2020년 최고 투수에 이름을 올렸다 * 대부분의 시상식에서 제일 권위있는 상이 대상이지만 일구상에서는 제일 권위가 없다는 의견이 많다. * 2022년 일구상에서는 [[키움 히어로즈]] 투수 [[안우진]]이 유력한 최고 투수상의 수상 후보였으나, 비슷한 시기에 안우진의 과거 학교폭력 전적을 문제삼아 시상을 패싱했던 [[최동원 상]]과 동일하게 일구상 역시 안우진이 패싱되었고, LG 트윈스의 마무리 투수인 [[고우석]]이 수상하게 됐다. [[분류:대한민국의 야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