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제국 버그나라크]][[분류:슈퍼전대 시리즈의 악의 조직 간부]] [include(틀:지제국 버그나라크)]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신규 악역)] ||<-2>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격장군 다이고그.png|width=100%]]}}} || || '''이름''' || 一撃将軍ダイゴーグ[br]Deathblow Shogun Daigorg[br]일격장군 다이고그 || || '''성별''' || 남성 || || '''키''' || 198cm [br] (이상 성충시 : 215.9m) || || '''몸무게''' || 158kg [br] (이상 성충시 : 1,722.2t) || || '''BNA''' || 뿔소똥구리 || || '''분포''' || [[슈갓덤]](아침, 낮, 저녁, 밤) || || '''좋아하는 것''' || [[슈갓 소울]] || || '''소속''' || [[지제국 버그나라크]] || || '''직위''' || 장군 || || '''이명''' || 일격장군, 옛 영웅 || || '''주요 출연작''' || [[임금님전대 킹오저]] || || '''인물 유형''' || [[악역]], [[간부]] || || '''첫 등장''' || 왕은 도망치지 않는다[br]{{{-2 (임금님전대 킹오저 에피소드 17)}}} || || '''성우''' || [[타카구치 코스케]][* [[천장전대 고세이저]]의 [[빅풋의 킹곤]], [[가면라이더 고스트]]의 [[창 안마]]를 담당했다.] || || '''슈트 액터''' || [[후지타 요헤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는 장군 다이고그! 강력의 화신이자, 날뛰는 사신! 죽어서도 [[데즈나라크 8세|왕]]을 위해 나의 일격으로 목숨을 베어내겠다!"''' [[임금님전대 킹오저]] 1장의 [[중간 보스]]. [[재상 카메짐]]에 이어서 두번째로 등장한 [[지제국 버그나라크]]의 간부로, 옛 영웅이라는 칭호와 일격장군이라는 이명을 가진 장군이다. 모티브는 뿔소똥구리. 이름의 어원은 뿔소똥구리의 일본어인 다이코쿠 코가네(ダイコクコガネ)에서 다이코쿠 부분을 변형시킨 것. == 능력 == * 전용 무기 - 다이코 크러셔 낫처럼 생긴 곡괭이. 곡괭이로 내려치면 주변에 있는 땅이 박살나버린다. * 공격력 일격장군답게 수령인 데즈나라크보다도 더욱 강력한 파워랑 공격력을 지녔다. 곡괭이만 휘둘렸을뿐인데 휘둘러서 생겨난 강풍만으로 사람을 벽에 쳐박혀버리게 만들 정도로 강력하며 거대화했을 때 곡괭이로 땅을 내려치니 슈갓덤 주변을 완전히 황폐화시켜버릴 정도로 어마무시한 위력을 보여준다. * 방어력 데즈나라크처럼 강력한 방어력을 자랑한다. 얀마와 제라미의 필살기를 받아도 멀쩡하고 쿠와가타 오저의 참격들을 맞아도 미동도 없으며 무려 킹 오오쿠와가타 오저의 필살기를 조금 타격 입은 걸로 넘기는 수준이다. * 곤충 최종 오의 - 대호군 군격 기를 모아서 일격을 날린다. == 작중 행적 == === 과거 === 대략 100년 ~ 1000년전 쯤 버그나라크에서 세대교체를 위해 왕을 정하기 위한 내란이 발발했는데, 이때 데즈나라크 8세를 지지했다. 언제나 최전방에 서서 데즈나라크를 왕으로 만들기 위해 분투했지만[* 이 때 일격장군이란 이명대로 [[지고쿠짐]]과 [[나가바짐]]을 비롯한 수많은 사나기무들을 일격에 날려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열된 내란을 멈추고자 개입한 [[네필라]]에게 패배한다. || [[파일:다이고그 리타이어.gif|width=100%]] || || '''[ruby(다이고그,ruby=일격장군)] 리타이어''' ||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네필라에게 크게 당한것으로 인해 서로 싸우기 바빴던 버그나라크는 네필라를 타도한다는 목적 하나만으로 연합하였고, 그가 지지하던 데즈나라크 또한 왕위에 올랐다. 하지만 다이고그는 이 전투로 식물인간 혹은 전신마비라는 중상[* 네필라의 빠른 속도를 살린 격투기로 얻어맞다가 하이드로 베놈을 영거리 [[헤드샷]]으로 맞았다.]을 입어 사망을 위장한 은퇴를 할 수 밖에 없었고, 데즈나라크는 그를 칭송하는 의미로 '옛 영웅'으로 칭하며 그의 상태를 안타까워했다. === 본편 === || [[파일:회복 중인 다이고그.png|width=100%]] || || '''회복 중인 다이고그''' || 17화 - 네필라의 전투에 의한 몸 상태 악화로 일선에서 활약할 수 없을 정도로 약화된 탓에 이때껏 은거하며 요양하고 있었다.[* 31화의 과거 회상에서 네필라에게 영거리 헤드샷을 맞고 뻗은 것을 보면 정황상 [[식물인간]] 혹은 [[전신마비]] 상태로 연명하고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라클레스와의 거래로 그로부터 회복 캡슐을 건네받은 데즈나라크 8세가 다이고그를 회복 캡슐에 넣고 자신의 힘까지 주입해주면서 그를 회복시키는데 성공한다. || [[파일:버그나라크의 영웅의 일출씬.png|width=100%]] || || '''다이고그의 귀환''' || >'''"사랑하는 이에게 감사를 바쳐라! 미련이 있다면 포기하라! 자! 죽을 각오는 되었는가?"''' [[겐지 보다루짐]]를 물리친 [[얀마 가스토]] 일행 앞에 '''일출을 등지고'''[* 보통 영상매체에서 주인공급 인물의 등장에 사용하는 클리셰가 바로 일출인데, 일출과 함께 악역인 다이고그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클리셰를 파괴해 강렬함이 배가 된다.] [[라클레스 하스티]]와 같이 등장. 얀마와 제라미의 공격을 받고도 멀쩡했으며, 오히려 곡괭이를 휘둘러 만들어낸 강풍으로 얀마와 제라미를 벽에 박아버려 변신을 풀어버리고,[* 얀마는 이 공격으로 치명상을 입는다.] 곡괭이를 내려쳐 얀마를 처형하려 하나, [[기라]]가 얀마를 구해주면서 실패한다. ---- 18화 - 기라를 공격하려고 하지만 라클레스 하스티가 오오쿠와가타 오저로 변신하여 저지한다. 안 그래도 얀마를 죽이려다 실패한 것 때문에 화가 나있는데 동맹국이긴 하지만 타국의 왕이 자기에게 명령하는게 자존심이 상했는지 자신의 체면과 명예를 빼앗기지 않겠다며 기라를 공격하던 라클레스를 공격한다.[* 이때 라클레스가 피해서 빗나간 공격의 풍압만으로도 근처의 벽이 부셔지는 엄청난 파워를 보여준다.] 그래서 라클레스가 오저 크라운으로 킹 오오쿠와가타 오저로 강화해 자신의 공격을 받아치자 어디 한번 공격해보라는 식으로 공격을 양보한다. 이후, 버그나라크 지하 궁전으로 돌아가서 데즈나라크에게 라클레스의 패배 소식을 보고한다. ---- 19화 - 라클레스가 화상으로 슈갓덤에 버그나라크의 백성을 수용하는 것을 치큐 전체에 선언할 때 옆에 있었다. 이후 임금님전대 킹오저가 자신들이 점거한 코카서스 카부토 성에 들어오자 그들에게 슈갓덤 국민들을 자신의 일격으로 날려버릴수 있다며 협박한다. 그러나 그들이 아랑곳하지 않고 전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왕개무장하자, 그들 중 기라와 전투를 벌인다. 처음에는 기라에게 연속으로 참격을 맞아도 전혀 미동도 없이 끄떡없는 모습을 보여주며 역으로 풍압만으로 날려버리고 필살기로 기라를 벽에 쳐박아 압도하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킹 쿠와가타 오저로 강화한 기라의 필살기에 밀려 주저앉아버린다. 설상가상으로 데즈나라크랑 카메짐도 밀리니 거대화한 [[다이아몬드 단짐]]에게 맡기고 퇴각한다. ---- || [[파일:1689469229.jpg|width=100%]] || 21화 - 비중 있는 버그나라크 일원들이 등장한 특별 오프닝에선 혼자 등장하지 않았지만 막바지에 슈갓덤에 쳐들어온다. 킹 쿠와가타 오저에 의해 동행한 사나기무들이 전멸하자 얀마와 제라미를 쓰러뜨린 필살 일격을 준비하고, 이에 기라가 등을 돌려 도망치자 왕이라는 작자가 도망을 치다니 한심하다는 말과 함께 필살기를 날린다. 하지만 기라가 도망친 이유는 때마침 건물 잔해 뒤에 숨어있던 분을 지키기 위해 방패가 되려고 한 것이었고, 다이고그의 일격은 킹 쿠와가타 오저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때마침 두가가 도착해 분을 데려간 후 나머지 5명의 킹오저가 합류하였고 이에 분노하여 다시 한번 필살기를 날리지만 킹 쿠와가타 오저의 크라운 랜스에 간단히 막혀버린다. ---- >'''"저항을 하든, 도망을 치든 소용없는 짓이다! 이 일격장군 다이고그가 땅끝까지 다 쓸어버릴 뿐!"''' 22화 - 아무리 강력한 다이고그라도 6인의 연계 공격에 밀려 불리한 상황에 놓인다. 결국 다이고그는 최후의 수단으로 갓 타란튤라와 3대 비보들의 슈갓 소울을 먹어 이전 카이짐들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거대화한다.[* 카메짐이 슈갓 헌터인 [[이라가짐]]을 고용해서 이 4대를 제압해 슈갓 소울을 빼앗아 다이고그에게 주었다고 한다.] 이 탓에 킹오저 일행은 [[익스트림 킹오저]]로 합체하는 게 불가능해져 [[킹오저]]로 맞서지만, 타란튤라와 3대 비보같은 강력한 슈갓들의 소울 4개를 먹은 영향으로 킹오저를 내려다볼 정도로 거대화한 상태. 이 경악스러운 모습을 본 멤버들 사이에서 퇴각 여부를 두고 의견 통합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모자라, 아예 킹오저를 구성하는 슈갓들이 '''매우 공포에 질려'''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게 된다. || [[파일:지렁이를 뛰어넘는 쇠똥구리의 일격.gif|width=100%]] || || '''슈갓덤 일대를 초토화시키는 다이고그''' || 이를 놓치지 않고 곧바로 곡괭이로 땅을 내려쳐 엄청난 충격파를 발산했으며, 그 여파로 킹오저 합체가 해제된 것은 물론 슈갓덤 근처의 땅까지 황폐화되었다.[* 피해 면적만 보자면 슈갓덤 수도 면적 크기와 비슷하거나 더 크다.] 심지어 거기에 그치지 않고 거대화를 '''이어가는데''',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공격 한 방만으로도 슈갓덤을 파멸시킨다는 모양. 그리고 버그나라크는 해가 떠오르면 일격장군이 공격하여 슈갓덤을 재로 만들 거라고 위협한다. ==== 최후 ==== 23화 - 동이 틀 때까지 거대화를 계속 진행하다가 코카서스 카부토 성이 [[킹 코카서스 카부토]]로 변형하는 것을 막지 못한 카메짐의 지시대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유언/동양 창작물/특촬물|죽을 각오는 되었는가!?]]"''' 시작하자마자 자신의 일격을 막은 킹 코카서스 카부토의 오른팔을 박살내 너덜너덜거리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강함을 보여주지만, 킹 코카서스 카부토는 아랑곳하지 않았고 킹 코카서스 카부토의 강력한 왼팔 펀치 한방에 맞아 넘어지고 만다. 거기에다가 킹 코카서스 카부토는 다이고그가 기껏 박살낸 오른팔을 자가수복 능력으로 복구시켜버린다. || [[파일:다이고그 패배 고화질.gif|width=100%]] || || '''일격에 전사하는 [ruby(다이고그,ruby=일격장군)]''' || 킹 코카서스 카부토와의 힘싸움에서 밀려버린 다이고그는 가디언 헤라클레스에 포박된 뒤, 헤라클레스 엑스로 머리를 내려찍는 필살기 "킹 코카서스 카부토 피니시"로 인해 [[반갈죽|몸이 정확히 반으로 갈라져서]] 유언도 못 남기고 그 자리에서 전사한다. 그리고 킹오저 일행은 다이고그가 흡수한 3대 수호신 & 갓 타란툴라의 소울을 되찾았다. ==== 이후 ==== 31화 - 과거회상에 등장해 네필라에 의해서 패배해 전신 마비 상태가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41화 - [[우충왕 다그데드 두쟈르단]]에 의해 좀비가 되어 거대화한 상태로 부활하여 재등장. || [[파일:다이고그 부활.gif|width=100%]] || || '''[ruby(좀비 다이고그,ruby=일격장군)] 부활''' || 좀비상태임에도 슈갓들의 의지로 자동 조종되는 [[익스트림 킹오저]]를 몰아붙이는 강함을 보여주지만 [[킹 코카서스 카부토]]가 등장하면서 23화때처럼 또다시 밀리고 그보다 더욱 강한 [[갓 킹오저]]가 등장해 전세가 역전된다.[* 이때의 전투신은 전부 23화의 뱅크신을 화면 처리만 다르게 한채 재활용했다. 이 때문에 킹 코카서스 카부토의 오른팔이 박살나 있는 [[옥의 티]]가 있다.] 당연히 킹 코카서스 카부토도 못 이기는 다이고그가 갓 킹오저의 상대가 될리 없었고[* 킹 코카서스 카부토를 상대했을때는 오른팔을 부수기라도 했지만 갓 킹오저 상대로는 공격해도 오히려 곡괭이가 부셔질 정도로 격차가 심하게 났다.] 시종일간 압도당하면서 결국 갓 킹오저의 피니시에 당해 폭사한다. || [[파일:다이고그 소멸.gif|width=100%]] || || '''[ruby(좀비 다이고그,ruby=일격장군)] 소멸''' || == 대인 관계 == * [[지제국 버그나라크]] * [[데즈나라크 8세]] : 자신이 속한 버그나라크의 황제이자, 목숨을 바쳐서라도 충성하는 군주. * [[카메짐]] : 큰 접점은 없지만, 뜻이 같은 동료.[* 후에 카메짐이 버그나라크의 멸망을 바래왔다는 것이 밝혀지고 실제로 버그나라크를 멸망시켰다, 사실상 다이고그 입장에서는 자기가 섬기던 왕을 죽이고 나라도 멸망시킨 불구대천지원수지만 다이고그는 전사할 때 까지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 [[라클레스 하스티]] : 은퇴한 자신을 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줬으나, 이후 데즈나라크의 계획에 따라 그를 홀대한다. * [[네필라]] : 과거 다이고그가 한 번 패배하게 만든 장본인. 그녀 때문에 사망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은퇴할 수 밖에 없었다. == 평가 == == 기타 == || [[파일:다이고그 설정화.png|width=100%]] || || {{{#6f4069 '''설정화'''}}} || * 제작진 코멘터리에 따르면 프로그램 방영 전부터 구상해 놓은 대간부 캐릭터라고 한다. * 버그나라크의 대영웅이라 칭해진 존재답게 굉장히 강력한데, '''일격'''장군이라는 이명에 걸맞게 곡괭이로 휘두르는 강풍만으로도 톰보 오저와 스파이더 쿠모노스를 변신 해제시키고 제대로 일어서지도 못할 정도의 치명상을 입혔다. 수령인 데즈나라크는 스파이더 쿠모노스를 전혀 못 이기기에, '''간부가 수령보다 훨씬 강하다는''' [[슈퍼전대 시리즈]]에서는 매우 특이한 사례를 남기게 되었다.[* [[데즈나라크 8세]]가 슈갓 소울을 잔뜩 먹고 [[갓 킹오저]]랑 싸울 수 있거나, 제라미와 대등하게 결투를 벌일 정도로 강해진 25~26화를 제외하고는 다이고그가 더 강했다.] * 일격장군이라는 이명답게 대화에 일격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아이러니하게도 본인 역시 킹 코카서스 카부토의 '''일격'''에 당해 사망했다. * 그의 사망은 데즈나라크가 미련과 이성을 놓아버리고 치큐를 파괴하려는 무리수적인 작전을 감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만큼 다이고그는 워낙에 운이 따라주지 않았던 비운의 지도자인 데즈나라크에게 있어 한줄기 희망과도 같았던 유일한 최측근이였다. * 간부 캐릭터치고는 비중은 그렇게 많지 않다. 고작 6회밖에 출연하지 못했으며 그마저도 실질적으로 활약한 건 17, 19, 22~23화 뿐이다. 그래도 활약할 때마다 강력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기 때문에 간부급 설정을 지녔음에도 1회용 괴인으로만 소모된 [[아멘짐]]만큼 아쉬움을 사지는 않으며, 단역 간부로도 분류되지 않는다. * 킹 쿠와가타나 킹 오오쿠와가타의 필살기에도 밀리기만 할 뿐 넘어지지조차 않았을 정도로, 강력한 활약 덕분에 2장의 간부들인 글로디를 제외한 우충오도화들이랑 다이고그 중 누가 더 킹오저를 압도하는 악역인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