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하대학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인하대학교)] [include(틀:인하대학교)] [목차] == 개요 == [[인하대학교]]로 접근할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 버스 == * 2021년 9월 1일 이후 기준 || 기준 || 정류장명 || 경유노선 || ||<|7> 정문[br]([[인하대역]] 주변) || 인하대정문(37104)<서> || [[인천 버스 5|{{{#blue 5}}}]], [[인천 버스 5-1|{{{#blue 5-1}}}]], [[인천 버스 8|{{{#blue 8}}}]], [[인천 버스 46|{{{#blue 46}}}]], [[인천 버스 111-2|{{{#blue 111-2}}}]], [[인천 버스 515|{{{#green 515}}}]], [[인천 버스 516|{{{#green 516}}}]], [[인천 버스 517|{{{#green 517}}}]], [[인천 버스 519|{{{#green 519}}}]], [[인천 버스 1601|{{{#red 1601}}}]], [[광명 버스 3001|{{{#red 3001(경기)}}}]], [[인천 버스 9200|{{{#red 9200}}}]] || || 인하대정문(37099)<동> || [[인천 버스 5|{{{#blue 5}}}]], [[인천 버스 5-1|{{{#blue 5-1}}}]], [[인천 버스 8|{{{#blue 8}}}]], [[인천 버스 46|{{{#blue 46}}}]], [[인천 버스 111-2|{{{#blue 111-2}}}]], [[인천 버스 516|{{{#green 516}}}]], [[인천 버스 517|{{{#green 517}}}]], [[인천 버스 518|{{{#green 518}}}]], [[인천 버스 519|{{{#green 519}}}]], [[광명 버스 3001|{{{#red 3001(경기)}}}]], [[인천 버스 9200|{{{#red 9200}}}]] || || 인하대역4번출구(37122)<북> || [[인천 버스 9|{{{#blue 9}}}]],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38|{{{#blue 38}}}]], [[인천 버스 72|{{{#blue 72}}}]], [[인천 버스 112|{{{#blue 112}}}]], [[인천 버스 517|{{{#green 517}}}]], [[인천 버스 519|{{{#green 519}}}]], [[인천 버스 인천e음31|{{{#bfbf2d 인천e음31}}}]] || || 인하대역3번출구(37127)<남> || [[인천 버스 9|{{{#blue 9}}}]],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38|{{{#blue 38}}}]], [[인천 버스 72|{{{#blue 72}}}]], [[인천 버스 112|{{{#blue 112}}}]], [[인천 버스 511|{{{#green 511}}}]], [[인천 버스 517|{{{#green 517}}}]], [[인천 버스 519|{{{#green 519}}}]], [[인천 버스 인천e음31|{{{#bfbf2d 인천e음31}}}]] || || 인하대역(7번출구)(37091)<북> || [[인천 버스 5|{{{#blue 5}}}]], [[인천 버스 5-1|{{{#blue 5-1}}}]], [[인천 버스 8|{{{#blue 8}}}]], [[인천 버스 9|{{{#blue 9}}}]],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38|{{{#blue 38}}}]], [[인천 버스 46|{{{#blue 46}}}]], [[인천 버스 72|{{{#blue 72}}}]], [[인천 버스 111-2|{{{#blue 111-2}}}]], [[인천 버스 112|{{{#blue 112}}}]], [[인천 버스 330|{{{#3d5bab 330}}}]], [[인천 버스 516|{{{#green 516}}}]], [[인천 버스 518|{{{#green 518}}}]], [[광명 버스 3001|{{{#red 3001(경기)}}}]], [[인천 버스 9200|{{{#red 9200}}}]] || || 인하대역(1번출구)(37066)<남> || [[인천 버스 5|{{{#blue 5}}}]], [[인천 버스 5-1|{{{#blue 5-1}}}]], [[인천 버스 8|{{{#blue 8}}}]], [[인천 버스 9|{{{#blue 9}}}]],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38|{{{#blue 38}}}]], [[인천 버스 46|{{{#blue 46}}}]], [[인천 버스 72|{{{#blue 72}}}]], [[인천 버스 111-2|{{{#blue 111-2}}}]], [[인천 버스 112|{{{#blue 112}}}]], [[인천 버스 330|{{{#3d5bab 330}}}]], [[인천 버스 515|{{{#green 515}}}]], [[인천 버스 516|{{{#green 516}}}]], [[광명 버스 3001|{{{#red 3001(경기)}}}]], [[인천 버스 9200|{{{#red 9200}}}]], [[인천 버스 인천e음31|{{{#bfbf2d 인천e음31}}}]] || || 인하대역(37596) || [[인천 버스 511|{{{#green 511}}}]] || ||<|3> 후문 || 인하대후문(37165)<동> || [[인천 버스 511|{{{#green 511}}}]] || || 인하대후문(37166)<동> ||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1601|{{{#red 1601}}}]] || || 인하대후문(37167)<서> || [[인천 버스 13|{{{#blue 13}}}]], [[인천 버스 27|{{{#blue 27}}}]], [[인천 버스 511|{{{#green 511}}}]], [[인천 버스 512|{{{#green 512}}}]] || 후문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환승역인 [[주안역]]을 잇는 [[인천 버스 511|인천 511번 버스]]는 자타공인 '''비공식 유료 셔틀버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주안역과 인하대 캠퍼스 내부를 잇는 '''무료''' 셔틀버스도 있다. 게다가 후문까지 쭉 무정차라 511보다 5~10분 가까이 빠르다. 하지만 주안역에서 탑승하는 위치가 [[영 좋지 않은 곳]]에 있어서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 심지어 이 셔틀의 존재를 모르는 학생들도 많다. 그에 비해서 511은 지상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이는 환승센터에서 출발하고 반대편에선 인하대의 최대 상권 '''인하대후문'''을 경유하기 때문에 마르지 않는 샘물과 같은 존재이다. 다만 요즘엔 무료셔틀의 존재가 많이 알려져서 511이나 셔틀이나 피크타임에는 사람구경 제대로 할 수 있다. 셔틀 줄이 더 긴 경우도 있다. 셔틀 최대 피크타임인 오전 9시 반~10시에는 45인승 버스로 3분배차를 시전하는 비범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511번이나 터미널로 가는 [[인천 버스 27|27번]]을 제외하면 후문가 교통은 생각보다 좋은 편이 아니다. 이유는 인하로 기점 부근의 도로 구조 특수성 때문인데, 인하로가 교차하는 사거리가 좌회전이나 직진이 되지 않고 우회전만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들이 양방향 운행을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나마 2015년부터는 [[인천 버스 1601|1601]]이 후문을 편도 경유하면서 서울행 선택지가 조금은 넓어지기도 했고, 인천 SK 스카이뷰 아파트 입주 후 인하로 시점부 개선을 통해 511, 512, 27, 1601 이외에도 후문가를 일방향으로 통행하는 [[인천 버스 13|13]]번이 다시 들어왔고 27번 역시 양방향 경유로 바뀌면서 소폭 개선되었다. 정문 쪽은 후문과 달리 도로 상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버스가 많이 다니고, 정문 근처에 [[수인·분당선]] [[인하대역]]이 개통된 이후 [[미추홀구]] 경유 지선버스들이 인하대역 중심으로 개편되어 교통이 좋은 편이다. 거기에 인하대역 7번 출구(홈플러스 인하점 앞) 혹은 인하대역 4번 출구로 버스 접근 범위를 넓힌다면 선택의 폭이 훨씬 더 넓어진다. 그래서 버스로 서울을 왕래하기에 나쁜 편은 아니다. * 강남으로 갈 때 정문에서 [[인천 버스 9200|9200번]]을 타면 된다. [[강남역]] 기준 소요시간은 대략 1시간 전후인데, 차가 막히지 않을 때는 1시간 만에 도착하지만 출퇴근 시간이 겹친다면 1시간 30분은 기본이다. 따라서 시간 여유를 두고 탑승하는 것이 좋다.[* 선바위~강남역 구간은 막힐 경우 인천에서 선바위까지 올 때 걸린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 홍대/신촌으로 갈 때 환승 없이 편하게 가고자 한다면 후문에서 1601번 버스를 시간 맞춰 이용하면 된다. 약 1시간~1시간 20분 정도 소요. 그러나 이 버스가 '''배차간격이 60분 정도'''로 상당히 길고 광역버스치고 표정속도가 영 좋지 않은 편이라[* 경인고속도로를 5km 정도밖에 안 탄다.][* 이건 인천-서울역 간 광역버스 대부분의 문제이기는 하다. 재수없으면 홍대까지 2시간 넘게 걸릴 수도 있다. 참고로 인하대에서 전철로 2시간이면 도봉산역 정도까지도 갈 수 있다.] 2회 환승을 하더라도 홍대를 빠르게 가고 싶다면 [[주안역]]에서 1호선 급행을 타는 게 더 속 편하다.[* 주안역까지의 버스 이동시간과 각종 대기시간을 감안하더라도 어지간해선 1시간 20분 내로는 간다.] 주안역에서도 대부분의 경우 착석이 보장되기도 한다. 만일 [[서울역]]으로 간다면 시간대 상관없이 무조건 지하철 타는 게 낫다. * 수원/안양/광명으로 갈 때 1호선 [[석수역]]을 경유하는 [[광명 버스 3001|3001번]], 혹은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등을 이용하면 된다. * [[일산신도시|일산]]으로 갈 때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50분만에 일산에 도착할 수 있다. [[일산신도시]] 기준으로 웬만한 대학 중에서는 매우 가까운 편.[* 더 가까운 곳은 연세대, 이화여대, 홍익대, 서강대 정도다. 이 학교들은 경의선이나 광역버스 1방에 간다.] 게다가 지하철을 타거나, 수도권 버스를 탈 때 처럼 서서 가지 않아도 되기에 편하다.[* 다만 새벽에 일찍 일어나야하기에 몸은 좀 피곤하다.][* 사실 인천이 그렇게 멀지는 않다. 서울과 일산, 인천을 이어보면 거의 정삼각형이 되는데, 웬만하면 1시간 반이면 도착한다. [[경영학과]] 모 교수님이 인천이 먼 줄알고 유명인사들을 초청하려고 해도 안 오려한다고 투덜댔다.]. 일산 내에서도 [[대화역]]이나 [[주엽역]], [[백석역]], [[마두역]]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고양 버스 1001|1001번]] - [[송내역]] 탑승 - [[주안역]] 하차 - 511번 루트를 애용하자. [[시외버스 3000]]번이 운행되는 구간은 차가 자주막히고, 승하차 시간과 배차간격이 길고 환승이 안된다. 1601 - 1001 루트도 배차간격이 길고 신호등이 많아 저렇게 가는게 훨씬 빠르다. 3000번이 운행거리가 더 짧긴 하다. 따라서 차가 막히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고 비싼 요금을 내도 상관 없는 상황이라면 3000번이나 5000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 출근 러시아워 전이나 점심시간, 퇴근시간 후에는 일산-부평을 40분 만에 끊어내기도 한다. 막히면응 총 합쳐서 3시간 걸린다. 반면 1001번을 타면 막히든 안막히든 무조건 2시간.[* 가끔 재수가 없으면 백석역-송내역만 거의 두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또 하나의 루트가 있는데 511번-주안역 승차-신도림-당산-1500번 루트를 타면 빠르다. * [[분당신도시|분당]], [[판교신도시|판교]] 등 [[성남시]]로 갈 때 [[수인·분당선]]을 이용하거나 "인하대역7번출구", 또는 "인하대정문" 정류장에서 [[인천 버스 9200|9200번 버스]]를 타고 "하늘휴게소" 정류장에서 내린 뒤 [[성남 버스 8106|8106번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이 가격(3450원)과 시간(서현역까지 60분, 카카오맵 기준) 면에서 가장 적절하다. == 철도 == [[파일:DSC01187.jpg|width=500]] 정문 근처에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인·분당선]] [[인하대역]]이 있고, 후문에서는 [[인천 버스 511|511번]] 지선 버스를 이용하면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1호선]],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2호선]]의 환승역인 [[주안역]]에 닿을 수 있다.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인하대역]]에서는 인천 중구, 연수구, 남동구 또는 안산, 수원, 용인 등 경기 남부 방면으로 효율적으로 갈 수 있다. 인하대역에서도 인천역 방면으로 가면 1호선으로 환승하여 서울로 가는 것이 가능하나, 이렇게 가면 인천 원도심으로 크게 우회하기도 하고, 1호선 급행열차를 타기도 번거롭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러시아워에 완행열차를 편하게 앉아 가고 싶은 날에만 추천.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주안역]]에서는 인천 서구, 남동구 혹은 부천, 서울 방면으로 효율적으로 갈 수 있다. 학교에서 운행하는 무료 셔틀버스[* 보통 511번 루트를 그대로 쫒아가는데. 주안역 방향 한정으로 가끔씩 요상한 길로 빙글빙글 돌아서 가시는 기사님들이 있다.] 및 '''[[인천 버스 511|511번]]''' 지선 버스를 이용하면 주안역을 오갈 수 있다. 511번 버스의 경우 학교에서 주안역 방면 한정으로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2호선]] [[시민공원역]]에 먼저 정차하니, 인천 서구 혹은 남동구 방면으로 가는 경우 시민공원역에서 환승하는게 낫다. 서구 방면으로 가는 경우 대부분 주안역에서 승객이 물갈이되므로 앉아갈 수 있는 확률이 크기도 하고 시민공원역에서 주안역 방면 도로가 항상 막히기 때문. [[인하대역]]과 한 정거장 거리에 있는 [[송도역]]에 [[인천발 KTX]]가 개통되면 [[천안아산역|천안·아산]]을 거쳐 [[부산역|부산]], [[목포역|목포]] 방면으로 고속열차가 다니게 될 전망이다. 2020년 12월 21일에 착공하였으며, 2025년 개통 예정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하대학교, version=2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