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인페르니티, top2=데몬(유희왕))]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InfernityArchfiend-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데몬,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ーモン, 영어판명칭=Infernity Archfiend,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때\, 이 카드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드로우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드로우했을 경우\, 이 턴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인페르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부터 [[다크 시그너]]가 된 [[키류 쿄스케]]가 사용한 [[인페르니티]] 카드 중 하나. 어태커보다는 주로 싱크로 소재로 사용된다. 공격명은 '헬 프레셔(ヘル・プレッシャー / Hell Pressure)'. 하늘에서 마법진이 그려지더니 중심에서 거대한 손이 튀어나와서 짓누르는 연출이 하급 몬스터답지 않게 박력이 넘친다.--연출만 보면 무슨 공격력 3000 이상 몬스터가 공격하는것만 같다-- 원작에서는 서치 효과가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될 때에만 발동했기 때문에 효과가 발동된 건 1번 뿐이다. 그외에는 거의 일반 소환 후의 릴리스나 패 코스트로 버려지는 신세. 묘지로 가서도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으로 베낄 수 없어서 혼자 잉여처럼 남는다. [[로튼]]과의 듀얼에서 드디어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서치 효과를 사용했다. 이 때의 발언에 따르면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고 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7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인페르니티 데몬, 일어판 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ーモン, 영어판 명칭=Infernity Archfiend,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①: 패가 0장일 경우에 이 카드를 드로우했을 때\,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공허에서 갑자기 나타난 연옥의 악마. 불꽃에 휩싸인 거대한 손바닥으로 무한한 고통을 가져다준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인페르니티]]의 [[알파]]이자 [[오메가]]'''라 불릴 만큼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데몬이 없는 인페르니티 덱은 인페르니티 덱이 아닌 한낱 종이뭉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페르니티 덱의 키 카드다. 어태커 역할도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전개에서는 이 악마가 구심점 역을 도맡는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발동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데미지 스탭에 발동할 수 있으며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없고 타이밍을 놓칠 수 있으므로 만약 [[갑부 고블린]] 등 드로우 후에 다른 처리가 있을 경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카드 파괴]], [[리로드(유희왕)|리로드]], [[요술망치]] 등의 효과로 이 카드를 드로우했다면 패를 버리거나 덱에 넣은 시점에서 패가 0장인 것으로 간주되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을 공개하는 것이 코스트이므로 [[정정 당당(유희왕)|정정 당당]] 등의 효과로 패를 공개하고 있는 상태라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패 유발 효과이므로, 여러 장의 인페르니티 데몬이 발동 조건을 만족해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것은 1장 뿐이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발동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마찬가지로 데미지 스탭에 발동할 수 있으며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없고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 효과 발동시 뿐만 아니라 효과 처리시에도 패가 0장이어야 하므로 효과 발동에 체인한 다른 카드의 효과에 의해 패가 1장 이상이 되면 효과는 불발된다. 즉 인페르니티 데몬 2장을 특수 소환하면 효과는 2장 다 발동할 수 있으나 나중에 발동한 데몬의 서치 효과가 먼저 처리되면 인페르니티 카드가 패에 1장 있기 때문에 나머지 1장의 효과는 처리되지 않는다. 공격력도, 종족도 더할 나위 없이 좋으며 효과도 뛰어나다. 손에 잡혔을 때 특수소환할 수 있는 효과도 강하지만, 두 번째 효과가 핵심이다. 말 그대로 특수 소환에만 성공하면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를 1장 패로 견인해 올 수 있다. 직접 드로우해서 특수 소환하는 경우보단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나 [[인페르니티 미라지]], [[헬 웨이 패트롤]] 같은 부차적인 수단으로 특수 소환되어 효과를 발동하는 경우가 많다. 막강한 서치효과임에도 1턴에 한번이란 제약이 없다. 그렇기에 여러번 소환해 어드밴티지를 다량 확보해야 하는 것이 인페르니티 덱의 핵심 운영. 가져올 수 있는 것은 몬스터에 한정되지 않고 마법이건 함정이건 다 오케이. 옛날에는 기껏해야 인페르니티 포스 같은 카드 말곤 가져올 게 없었으나 인페르니티 서포트 카드가 늘어나면서 압도적인 위력을 얻었다. 이 중에서도 [[인페르니티 건]]과의 콤보는 가히 사기적. 계속해서 특수 소환해야 제 성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이 카드를 특수 소환시키고 필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플레이를 반복하는 것이 인페르니티 덱의 핵심. 소환법이 늘어날 때마다 필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법은 계속해서 변화해왔으며 싱크로, 엑시즈, 링크 모두 쉽게 데몬을 묘지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소환법을 활용하는 것이 인페르니티의 주된 전략이다. 레벨이 4며 인페르니티는 묘지 활용이 중요한 덱인 만큼 과거 [[라바르바르 체인]]과의 궁합은 최고였으며 현재는 바운스와 지속적으로 패 소환을 하게 해주는 [[파이어월 드래곤]] 덕분에 전개가 어렵지 않다. 베리어 3장을 죄다 서치해서 필드에 까는 것은 물론 [[M.X-세이버 인보커]]-[[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명사수]]를 통해 선공 원턴킬을 할 수도 있다. [[싱크로 캔슬]]과도 궁합이 좋은 편이다.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의 파괴 효과,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의 제외효과 등을 사용한 후 싱크로 캔슬을 써서 데몬의 서치 효과를 발동하고, 아마 함께 싱크로했을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의 효과를 쓴 후 다시 싱크로하면 저 둘의 효과를 다시 쓰면서 미친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데몬(유희왕)|데몬]] 카드군 소속이므로 그쪽 관련 서포트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이 카드를 쉽게 서치할 수 있는 [[트릭 데몬]]은 자주 사용되고, 트릭 데몬으로 서치할 수 있으며 자체적인 성능도 괜찮고 펜듈럼 스케일도 확보할 수 있는 [[익센트릭 데몬]]도 같이 채용된다. 과거에는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이나 [[데몬의 포효]]도 쓰이기도 했다. 반면 데몬덱에서는 따로노는 효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다. 게임 동봉 이후 오랜기간 재록되지 않은 카드였던 만큼, 한때는 구하기가 정말 어려웠다. 그나마 일본에서는 [[듀얼 터미널]]에서 복각되었지만 이마저도 국내에 발매되지 않는 제품이었기에 온전히 한글판 카드로만 인페르니티 덱을 구축하기는 힘든 일이었다. 그러다 2009~10년쯤 매장 대회를 통해 추첨 및 우승 상품으로 유희왕 닌텐도 게임인 2009 엑셀러레이터를 상품으로 주게 되며 유희왕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새 제품을 약 5000원 돈으로 구매 할 수 있던 시절이 있었다. 이 때가 아마 제일 싸게 구할 수 있는 시점으로 보이며, 추가로 구하기 힘든 싱크로 몬스터인 [[다크 엔드 드래곤]]도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이후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해당 팩 최저 레어도인 [[슈퍼 레어]]로 재록되며 입수 난이도가 크게 떨어지며 가격 또한 안정화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遊☆戯☆王 5D's STARDUST ACCELERATOR]] || WC09-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破滅の邪龍ウロボロス!!」]] || DT14-JP010 || [[듀얼 터미널]][br][[레어]]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THE RARITY COLLECTION]] || TRC1-JP01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Yu-Gi-Oh! 5D's Stardust Accelerator]] || WC09-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Gold Series 3 || GLD3-EN027 || [[골드 레어|골드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 || WC09-KR00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WINTER FESTIVAL 2011 특전 카드 || EV11-KR012 || [[시크릿 레어]] || 한국 || 절판 || || [[더 레어리티 컬렉션]] || TRC1-KR01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파일:인페르니티 데몬(듀얼링크스).jpg]] 2019년 6월 말 "지박신 Ccapac Apu" 이벤트에서 다그너 키류의 덱에서 NPC 전용으로 첫 등장. 이후 2020년 7월 크래시 타운 이벤트에서 일반 키류가 등장하며, 메인 상자 [[INFERNITY DESTRUCTION]]에서 인페르니티 카드군을 푸시해주면서 플레이어블 카드가 되었다. == 관련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헬 데몬|인페르니티 헬 데몬]] === [[팬텀 레이지]]에 수록된, 인페르니티 데몬의 리메이크 싱크로 몬스터. [[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