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1 '''인천 요금소'''}}}[br]{{{-2 '''仁川 料金所'''}}}[br]{{{-2 '''Incheon Tollgate'''}}}}}}}}} || || [[서인천IC|{{{#!html
인천 방면}}}]][[부평IC]][br]← 2.3 km || [[경인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20.svg|width=20px]][br]{{{#!html
경인선}}}]]{{{#ffffff '''{{{+1 TG}}}'''}}} || [[신월IC|{{{#!html
서울 방면}}}]][[서운JC]][br] 0.8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인천TG, 너비=100%, 높이=225px)]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heontg.jpg|width=100%]]}}}|| ||<-3> {{{#fff '''주소'''}}} || ||<-3>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인고속도로 17[br]([[서운동(계양구)|서운동]] 55-76) || ||<-3> {{{#fff '''관리기관'''}}} || || [[경인고속도로|{{{#fff 경인선}}}]] ||<-2>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인천지사 || ||<-3> {{{#fff '''개통'''}}} || ||<-3> [[1991년]] [[12월 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영업소_1997년_8월.png|width=400px]]}}} || || {{{#ffffff ▲ 1997년 8월 당시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 [[계양구]] 서운동에 걸쳐 있는[* 북쪽 도로인 [[서인천IC|서인천]] 방향 도로 부분이 계양구 서운동, 남쪽 도로인 [[신월IC|신월]] 방향 도로 부분이 부평구 삼산동이다.] [[경인고속도로]] 본선 상의 [[요금소#s-3.1|개방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인천광역시에서 유래하였다. 고속도로 개통 당시엔 [[가좌IC]] 및 목동에 톨게이트가 위치했고, 1978년 [[부천IC|내리]], [[부평IC|부평]] 등에 폐쇄식 요금소가 설치되었으나 교통량 폭증에 따라 1991년에 현재의 위치로 확장 이전하면서 개방식 요금소로 전환되었다. 2022년 11월 3일에 1,2차로가 다차로 하이패스, 3차로가 확장된 하이패스로 변경되었다. == 구조 == === [[서인천IC|인천]]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1, 2, 3, 6, 7, 9차로 * 일반 진출차로: 4, 5, 8, 10~12차로 === [[신월IC|서울]]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1, 2, 3, 6, 7, 9차로 * 일반 진출차로: 4, 5, 8, 10~12차로 == 일평균 통행량 == || 2015년 || 145,586대 || || 2016년 || 151,294대 || || 2017년 || 151,192대 || || 2018년 || 150,891대 || || 2019년 || 155,802대 || || 2020년 || 153,069대 || || 2021년 || 158,298대 || || 2022년 || 152,690대 || ||<-2> 출처 : 한국도로공사 || == 요금 == || 종별 || 요금 || || 1종 || 900원 || || 2종 || 900원 || || 3종 || 900원 || || 4종 || 1,000원 || || 5종 || 1,000원 || || 경차 || 450원 || 이 요금소 통과 후 [[서운JC]]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 방향으로 진입 후 [[계양IC]]에서 진출하지 않으면 [[김포TG]]에서 요금을 다시 내야 하는데, 이 때 1종 차량은 300원, 2·3·4종 차량은 200원, 5종 차량은 100원이 할인된다. 하이패스는 자동 정산되나, 현금 정산 시 영수증을 챙겨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역방향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 통행료 문제 === 톨게이트 위치가 [[서운JC]] 보다 서쪽에 위치하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서 넘어온 차량이 서울 방향으로 갈 때는 통행료를 내지 않는다. 반대로 서울에서 온 차량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할 때도 마찬가지.[* 이 때문에 계양IC, 중동IC, 송내IC, 장수IC를 이용하는 차량들은 통행료를 내지 않는 혜택을 입는다.] 안 그래도 통행료 징수 논란이 있는 고속도로인데, 정작 정체를 유발하는 [[서운JC]] 진출입 차량들은 돈을 안 내니 [[인천]] 시민에게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다른 길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 그렇다고 [[안현JC]]까지 돌 필요는 없고 [[장수IC(인천)|장수IC]]와 [[서창JC]]가 있다.] == 기타 == 막장유튜버 [[신태일(인터넷 방송인)|신태일]]이 2016년 9월 1일에 쌍욕과 패드립이 담긴 랩을 하면서 현금을 지불해야 하는 곳에 가서 [[하이패스요]]라고 한 곳이기도 하다. 게다가 이걸 2021년 6월 경에 또 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경인고속도로의 구간)] [[분류:경인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요금소]][[분류:계양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