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인천 유나이티드 FC)] [include(틀:인천 유나이티드 FC 관련 문서)]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유소년 시스템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 [목차] == 개요 == ||<-2> {{{#white '''인천 유나이티드 유소년 시스템 구성'''}}} || || {{{#white '''연령'''}}} || {{{#white '''소속'''}}} || || {{{#white '''U-18'''}}} || [[인천대건고등학교 축구부]] || || {{{#white '''U-15'''}}} || [[http://iks.icems.kr/main.do | 인천광성중학교]] 축구부 || || {{{#white '''U-12'''}}} || [[인천 유나이티드 아카데미|인천 유나이티드 U-12]] || ||<-7> '''{{{#ffffff 인천 유나이티드 2021 시즌 유소년 코칭스태프 명단 }}}''' || || {{{#ffffff 직책}}} || {{{#ffffff 이름}}} || {{{#ffffff 영문 이름}}} || {{{#ffffff 국적}}} || {{{#ffffff 생년월일}}} || || U-18 감독 || [[최재영(1983)|최재영]] || Choi, Jae You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9월 22일 || || U-18 코치 || 노영래 || Noh young r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6년 2월 8일 || || U-18 GK 코치 || [[윤진호(축구인)|윤진호]] || Yun, Jin H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8년 7월 4일 || || U-15 감독 || [[이성규(축구인)|이성규]] || Lee, Sung Kyu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2년 4월 13일 || || U-15 코치 || 안준혁 || Ahn, Jun Hyeo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7년 2월 2일 || || U-15 GK 코치 || 최승주 || Choi, Seung Ju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0년 4월 6일 || || U-12 감독 || 이재홍 || Lee, Jae Ho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2년 3월 13일 || || U-12 코치 || 조동욱 || Cho, Dong Woo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5년 5월 21일 || || U-12 코치 || 조재환 || Cho, Jae Hwa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6년 9월 17일 || || 유소년 트레이너 || 이동원 || Lee, Dong W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5년 11월 25일 || 인천 유나이티드의 유스 시스템은 크게 U-12, U-15(인천[[http://iks.icems.kr/main.do | 인천광성중학교]] ), U-18([[인천대건고등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2006년에 가장 먼저 U-12팀이 창단됐다. 이후 2007년 4월 [[인천대건고등학교]]와 축구부 창단 협약을 맺고[* [[http://www.incheonutd.com/news/news_view.asp?tgbn=BBS_NEWS&idx_key=1381|인천 UTD-대건고 축구부 창단 협약]]], 2008년 4월 U-18 팀이 공식 창단했다.[* [[http://www.incheonutd.com/news/news_view.asp?tgbn=BBS_NEWS&idx_key=1715|인천UTD 유소년팀 대건고 11일 창단식]]] 이어서 2009년 12월 U-15 광성중이 창단[* [[http://www.incheonutd.com/news/news_view.asp?tgbn=BBS_NEWS&idx_key=2233|인천UTD 유소년 U-15팀 광성중 29일 창단]]]하면서 인천 유나이티드는 '''U-12, U-15 광성중, U-18 대건고'''로 이어지는 유소년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 더 넓은 대상으로는 인천유나이티드 아카데미 어린이 축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6세부터 13세까지 참여할 수 있으며 서구지부, 연수지부, 동구/남부/중부지부, 부평/계양지부, 남동지부 등 지역별로 운영 중이다. ~~답답해서 직접 뛰어야겠다는~~ 성인들을 위한 성인축구클리닉도 있으니 직접 하는 축구에도 관심있는 팬이라면 참여해보자. 대건고 축구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천대건고등학교 축구부]] 문서 참고. == 역사 == 유스 시스템이 완전히 구축한 역사가 굉장히 짧고, 자금력 또한 기업구단에 밀리지만, 단기간에 굉장한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대건고가 인천 산하 유스로 자리잡은 뒤 들어온 첫 1기에서는 [[문상윤]]을 제외하면 특별히 두각을 드러내는 선수가 없었다. 이 당시 박효상이라는 선수가 러시아 [[톰 톰스크]]로 진출하여 잠시 주목을 받기도 하였으나 선수 경력을 오래 이어가지는 못했다. 때문에 초창기 대건고의 성적은 그렇게 좋지 않았다. 그래도 인천은 [[김시석]] 전 인천 코치[* 2019년 기준 [[인천대학교]]의 감독으로, 인천대를 상위권에 올려놓고 많은 선수들을 프로로 올려놓으면서 능력이 어느 정도 검증받은 인물이다. 여담으로 인천대는 인천 창단 당시부터 인천으로 많은 선수를 보내는 데 성공해서 사실상 [[울산 현대]]와 [[울산대]]의 관계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대건고 졸업 선수들이 인천대로 진학하는 경우도 꽤 많았다.]을 초기에 유소년 시스템 총괄로 임명하였고 김시석은 [[인천대학교]] 감독직으로 복귀하기 이전 인천에서 활동한 기간동안 인천에 많은 유망주들을 데려오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김시석이 데려온 대표적인 유망주가 바로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 체질 개선을 지속적으로 시도한 덕분에 인천 팀에도 서서히 괜찮은 선수들이 배출되기 시작했다. 1993년 세대인 [[김용환(축구선수)|김용환]], [[진성욱]]이 인천 팀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고, 이 중 진성욱은 '''인천 유스 역사 상 첫 프로 직행 사례'''가 되었다. 이어서 1994년 세대에서는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가 청소년 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하는 등 기대주로 평가받았고, 2013년 대건고를 이끌던 3학년 라인업은 '''축구천재''' [[이정빈(축구선수)|이정빈]]을 중심으로 [[함부르크 SV]]로 이적한 권로안, [[김봉길]] 감독이 이정빈 이상으로 기대감을 표시했던 이준용, 당시 청대 주전 골키퍼 [[이태희(1995)|이태희]] 등이 포진해 있었다. 2013년에는 처음으로 전국체전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성과가 드디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렇게 괜찮은 선수가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적 변화가 완전히 오지는 않았다. 그러나 광성중-대건고 체제가 잘 자리를 잡으면서 광성중에서 활약하던 선수들 대부분이 대건고로 진학해 팀워크 면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때마침 구단의 레전드 '''[[임중용]]'''이 코치를 거쳐 성공적으로 대건고 감독직을 수행하며 대건고는 유스 무대의 강호로 떠올랐다. 구체적인 성과가 처름 나온 시기가 바로 2015년. 2015년에 대건고는 전성기를 맞았고[* [[김보섭]], [[김진야]], [[명성준]], [[박명수(축구선수)|박명수]], [[최범경]], [[김동헌(축구선수)|김동헌]], [[이제호]], [[민성준]], [[구본철(축구선수)|구본철]],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 등 개개인으로 높은 평가를 받던 유망주들이 한 시기에 몰려있었다. 특히 박명수와 김진야가 청소년 대표팀에서의 활약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U-18 리그 준우승을 달성하는 데 이른다. 광성중도 U-15 리그 우승을 이 때 차지했으며[* 당시 광성중을 이끌던 주축 멤버가 바로 이후 [[FC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적한 [[천성훈]]. 이밖에도 [[김채운]] 등도 광성중에서부터 합을 맞추어 대건고로 진학한 유스이다.], 광성중은 2016년 전국체전 우승까지 달성했다. 대건고는 2016년에 U-17, U-18 챔피언십을 '''동시에 [[콩|준우승]]'''했다.[* 97년생 세대([[최범경]], [[김동헌(축구선수)|김동헌]], [[박명수(축구선수)|박명수]], [[이제호]], 유수현, 표건희, 박형민)이 졸업하면서 전력 누수가 예상됐으나, [[김진야]]-[[김보섭]]-[[명성준]]이 건재했고 골키퍼로는 민성준이 새로 떠올랐으며,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이나 구본철이 2학년임에도 큰 존재감을 보였다. 거기에 새로 온 2000년생 세대도 [[천성훈]],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 [[김채운]], 손재혁, [[이준석(축구선수)|이준석]] 등의 유망주가 빠르게 자리를 잡는 모습이 보였다.] 2017 시즌에는 특별한 성적을 내지 못해서 아쉬웠지만, 2018년 초에 열린 대한축구협회장배 대회에서 결승까지 무실점으로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을 중심으로 한 3학년들이 모두 졸업으로 빠져나갔음에도 팀이 유지된다는 점이 희망적인 미래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번 대회도 또 '''준우승.''' 2018년에 대건고는 [[천성훈]]을 중심으로 훌륭한 기량을 지닌 3학년들이 많았는데 10명이나 되는 3학년이 한번에 졸업하면서 전력 누수가 우려되기도 했다. 이전 해는 비록 정우영, 구본철, 민성준이라는 핵심 선수가 빠져나가기는 했어도 3학년이 불과 4명[* 정우영, 안해성, 구본철, 민성준. 이 네 선수는 전원이 청소년 대표팀에 소집된 적이 있다.]에 불과해서 금방 그 자리를 메울 수 있었지만 2019년에는 10명이나 사라진 점이 큰 문제로 작용할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김민석, 최세윤, 최원창, 강지훈, 박형빈, 김채웅, 정성원, 김병현 등이 곧바로 주전급으로 적응에 성공하면서 2019년을 시작하는 첫 대회인 문체부배 고교 대회에서 결승 진출을 이뤄냈다. 결승전에는 대구 현풍고와 맞붙게 되는데 이번에는 준우승 징크스를 탈피할 수 있을지가 주목. 그리고 현풍고를 상대로 최세윤의 결승 골로 1 : 0 승리를 거두면서 '''마침내 징크스를 이겨내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어서 10월에는 [[전국체전]] 우승까지 성공하면서 준우승의 이미지를 탈피했다. 이 해 5월에는 광성중도 소년체전에서 우승하며 U-15, U-18 팀이 나란히 우승을 하기도 했다. 2019년 1월 프로 선수단 기준, [[이태희(1995)|이태희]], [[이정빈(축구선수)|이정빈]], [[김진야]], [[김보섭]], [[임은수(축구선수)|임은수]], [[최범경]], [[김동헌(축구선수)|김동헌]], [[이제호]], [[황정욱]], [[김채운]], [[이준석(축구선수)|이준석]]이 U-18 대건고 출신 선수이다. [[노성민]], [[김용환(축구선수)|김용환]]이 떠났으나 5명이 콜업되면서 유스 출신이 오히려 11명으로 늘었다. 이 밖에도 K리그에서 뛰는 대건고 출신 선수로는 2019 시즌 기준 [[진성욱]]([[상주 상무]]), [[장현수(1993)|장현수]]([[부천 FC 1995]]), [[문상윤]]([[성남 FC]]),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경남 FC]]), [[최문수]]([[수원 FC]]), [[김용환(축구선수)|김용환]]([[포항 스틸러스]]), 최영훈([[아산 무궁화]]) 등이 있다. 또 국대 출신 수비수 [[이주용(축구선수)|이주용]]도 본래 대건고 소속이었다가 전북 유스팀인 [[영생고등학교]]가 창단하면서 그 쪽으로 옮겼다. 또한 해외에도 인천 유스 출신 선수들이 있는데 [[엘라스 베로나 FC]] 소속의 [[이승우]]와 [[발렌시아 CF]] 유스팀 소속의 [[이강인]] 역시 인천 유스 출신이다. 이승우는 바르셀로나 이적이 확정된 상황에서 잠시 광성중 소속으로 지낸 것이라 인천 유스의 정체성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이강인의 경우 '''U-12 시스템에 꽤 오랜 기간을 머물렀다.''' 아직도 구단 관계자들과 친분을 유지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2017년 여름에는 대건고에서 10번을 달고 에이스로 활약하던 미드필더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이 [[FC 바이에른 뮌헨]]에 2018년 1월에 합류한다는 이야기가 들려오면서 인천의 유스 시스템이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그 이전의 박명수같은 경우에도 [[FC 뉘른베르크]]로의 임대 이적을 앞두고 있다가 건강 문제로 돌아온 케이스임을 보면 인천의 유스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실패하기는 했지만 [[함부르크 SV]]에 입단했던 [[권로안]]도 있었는데, 권로안은 고교 졸업 이후 인천이 아닌 함부르크를 택했으나 유스에만 머물렀고 이후 일본을 거쳐 K3리그로 오게 됐다. ~~한국 축구의 미래, [[인천 유나이티드]]~~ [[김정민(1999)|김정민]]도 18세 미만팀은 광주였지만, 12세 미만 팀에서 정우영과 발을 맞춘 전력이 있다. 2018년 12월 6일에는 새롭게 [[우선지명]]을 받았던 [[천성훈]]이 '''[[FC 아우크스부르크]] 입단에 가까워졌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번 계약도 정우영과 마찬가지로 이적료를 지불하는 건으로 알려져 있다. 성사된다면 2년 연속으로 구단에서 독일로 선수를 보내는 케이스가 된다. == 주요 성적 == ||<-3> {{{#white '''인천대건고등학교 주요 우승 기록'''}}} || || {{{#white '''연도'''}}} || {{{#white '''우승 대회'''}}} || {{{#white '''준우승 대회'''}}} || || {{{#white '''2013'''}}} || - || 전국체전 || || {{{#white '''2015'''}}} || K리그 주니어 전, 후기리그 || 금석배[br]후반기 왕중왕전 || || {{{#white '''2016'''}}} || - || K리그 U17 챔피언십[br]K리그 U18 챔피언십 || || {{{#white '''2018'''}}} || - || 대한축구협회장배[br]전반기 왕중왕전 || || {{{#white '''2019'''}}} || 문체부장관배[br][[전국체전]] || - || == 출신 선수 == === [[인천대건고등학교]] 출신 선수 === ==== [[우선지명]] 후 인천 입단자 ==== * 90 : '''[[문상윤]]'''[*빠른년생] * 93 : '''[[진성욱]]'''[* 중도에 전학을 간 이주용을 제외하고 인천 유스 최초로 성인 대표팀에 발탁된 선수.], [[김용환(축구선수)|김용환]] * 94 :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 프로 입단 직후 1년만에 방출되었고 이 때 느낀 절망감 등으로 인해 구단에 대해 애증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 [[한남규]] * 95 : [[이태희(1995)|이태희]], [[이정빈(축구선수)|이정빈]] * 96 : [[임은수(축구선수)|임은수]] * 97 : [[최범경]], [[박명수(축구선수)|박명수]][*빠른년생], [[김동헌(축구선수)|김동헌]], [[이제호]] * 98 : '''[[김진야]]''', [[김보섭]], [[명성준]] * 99 :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 지명 이후 [[바이에른 뮌헨]]의 이적료 지불 과정으로 인해 형식 상 인천으로 바로 콜업된 이후 이적하는 형태로 계약 체결.], [[구본철(축구선수)|구본철]][* 입단 후 [[부천 FC 1995]] 재임대.], [[민성준]][* 입단 후 [[몬테디오 야마가타]] 재임대.] * 00 : '''[[천성훈]]'''[* 정우영과 비슷한 케이스. [[FC 아우크스부르크]] 입단 과정에서 이적료가 발생했다.], [[김채운]], [[이준석(축구선수)|이준석]], [[황정욱]] * 01 : [[최세윤]][* 입단 후 믈라디 볼레슬라프 재임대.], [[정성원]][* 입단 후 [[비토리아 SC]] 재임대.], [[최원창(2001)|최원창]] * 02 : [[김민석(2002)|김민석]] * 03 : [[박현빈(2003)|박현빈]] * 04 : [[김세훈(2004)|김세훈]] ==== 우선지명을 받지 못하거나 취소된 선수 중 프로 입단 선수 ==== * 90 : 박효상[* 러시아 톰 톰스크로 이적하였으나, 오래 가지 못해 팀을 떠났고 프로 커리어도 길게 이어가지 못했다.] - 톰 톰스크 * 91 : 고보연 - [[부천 FC 1995]] * 92 : [[장현수(1993)|장현수]][*빠른년생][* 부상으로 인해 지명을 받지 못했는데, 때문에 구단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감정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93 : 최영훈 - [[FC 안양]], 지구민 - [[고양 자이크로 FC]], 김종원 - [[고양 자이크로 FC]] * 95 : [[노성민]] - '''[[인천 유나이티드]]'''[* 최초로 우선지명을 받지 않은 대건고 출신 선수 중 인천에 입단하여 프로에 입성한 선수.], 이준용[* 한때 김봉길 감독이 기대감을 표시한 유망주였으나 우선지명을 받고 대구대를 다니던 도중 브라질 리그로 이적했다. 그러나 성공적으로 풀리지 않으면서 K3리그를 떠돌게 되었다.] - 오에스테, 권로안[* 대건고 3학년 당시 [[함부르크 SV]]에게 제의를 받은 유망주였으나 독일에서 부상이 반복되면서 적응에 실패했다. 결국 일본을 거쳐 K3리그와 내셔널리그를 전전하는 중.] - [[파지아노 오카야마]] * 96 : 배준렬[* 고교 졸업 직후 부천에 입단했다가, 크로아티아 2부 NK 루츠코로 이적하였다. 2018년 여름에는 3부 NK 오파티야로 이적.] - [[부천 FC 1995]] * 97 : [[표건희]] - '''[[인천 유나이티드]]'''[* 우선지명을 받았다가 취소된 선수로는 최초로 인천에서 프로 데뷔를 한 선수.] * 99 : 안해성 - [[포항 스틸러스]] * 00 :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 [[이기형]] 前 인천 감독의 아들이다.] - [[포항 스틸러스]], [[최문수]][* 본래 우선지명을 받았으나 대학 진학이 아닌 미정으로 분류되었고, 얼마 안 가서 우선지명이 취소되었다. 이후 대학으로 가지 않고 바로 프로로 올라왔다.] - [[수원 FC]] * 01 : [[김유성(2001)|김유성]] - '''[[인천 유나이티드]]'''[* 고등학교 졸업 후 우선지명을 받지 못했음에도 자유선발로 입단한 특이 케이스.] ==== 중도에 전학을 간 선수 ==== * 92 : '''[[이주용(축구선수)|이주용]]'''[* 본래 대건고 축구부 창단 멤버였으나 영생고가 창단하면서 전북 유스로 옮겨갔다.], 심규동, 차우현, 이정수, 한기원, 박승모, 이명준, 김대현 * 93 : 전원석[* 포항 유스인 포철공고로 옮겨갔으나 지명을 못 받았다. 우석대를 거쳐 [[울산 현대]]에 입단했으나 이후 K3리그로 떠났다.], 장태용, 장민혁, 이승현, 최진규, 김세일, 이경호, 이종혁, 김솔민 * 94 : [[이지노]], 고상권, 김주연, 김우람 * 95 : 한상빈, 유대희, 정다훈, 김찬빈, 서형대, 백민우, 이상국, 임준규 * 96 : 한상민, 신건호, 김승민, 서수원 * 97 : 전석훈[* 삼일공고로 전학갔고, 영남대를 거쳐 [[서울 이랜드 FC]]에 입단했다.], 송준호[* 여의도고와 장훈고를 거쳐 중앙대에 입학했다. 이후 2019년 [[대구 FC]]에 신인으로 합류.], 손동협, 최종훈, 전우진, 박보한 * 98 : 김도윤[* 2학년 시절 부상으로 고생하다가 전학을 선택했으며, 이후 고교 졸업 직후 [[부천 FC 1995]]에 입단했다.], 추민열[* [[라요 바예카노]] 유스로 들어갔다가 국내 복귀 이후 [[부천 FC 1995]]의 유스팀으로 들어가 고교 졸업 후 프로로 직행했다. 원래는 빠른 99년생이었으나 이 과정에서 학년이 밀려 이후 원래 나이와 맞게 학교를 다녔다.], 강창민, 권순우, 노승윤, 권재훈, 김봄찬, 선정하, 임서균, 최성규, 김성환 * 99 : 이원준[* 인창고로 전학. 가톨릭관동대를 거쳐 [[서울중랑축구단]]에 입단했다.], 장정준, 양철순, 이민수, 허성훈, 정연찬, 최현석, 김재완, 박윤호, 박상혁 * 00 : 진호승, 이상현, 김영훈, 이동준, 김주완 * 01 : 고병범, 박현빈, 서지환[* 세 선수가 함께 [[수원 FC]] 유스로 옮겨갔다.], 고동영[* 동래고.], 황영준, 황동휘, 김동민, 김민수, 권민서 * 02 : 최명재[* 대전시티즌 유스], 김동훈, 노승준, 김재범, 이건웅, 정민, 이주영, 김무진 ==== 2020년 기준 우선지명 선수 ==== * 00 : 김성민([[용인대]]), 김현수([[시흥시민축구단]]), 손재혁([[동국대]]), 하정우([[건국대]]) * 01 : 최준호, 박형빈([[아주대]]), 강지훈([[중앙대]]) === U-12 / U-15 (광성중) 시스템만 경험한 선수 === * '''[[이강인]]''', [[김정민(1999)|김정민]][* 흔히 [[광주 FC]]의 유스로 유명하지만, 광주 유스로 들어가기 이전 U-12 시절은 인천의 유스로 보냈다. 이 시기에 정우영과 함께 합을 맞추기도 했지만 집이 인천이 아니라는 결정적인 문제로 인해 결국 인천 유스 팀을 떠났다.], [[김주성(2000)|김주성]] (U-12) * '''[[이승우]]''', [[설태수]][* 청소년 대표팀 시절 이정빈과 더불어 인천 유스 출신으로 꽤나 곽광받았던 미드필더. 중학교 졸업 이후에는 용호고로 진학해 인천 유스 시스템을 벗어났고, 울산대를 거쳐 [[울산 현대]]에 입단하였으나 이후 3부 축구리그인 [[K3리그]]의 [[천안시 축구단]]에 합류했다.], [[장민규]], 박민수 (U-15) [각주] [[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