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5_1109.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65_인천_0116기준.pn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무지개아파트(동남아파트)) ||<-2> 종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주안역환승정류장) || ||<|2> 종점행 || 첫차 || 04:20 ||<|2> 기점행 || 첫차 || 05:10 || || 막차 || 22:50 || 막차 || 23:40 || ||<-2> 평일배차 || 18~2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20~25분 / 공휴일 24~30분 || ||<-2> 운수사명 || [[도영운수]] ||<-2> 인가대수 || 7대[* 토요일 6대 / 공휴일 5대 운행] || ||<-2> 노선 ||<-4> 무지개아파트(동남아파트) -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 [[동막역]] - 유수지근린공원 - 남동국가산업단지(기신정기) - 남동대교 - 솔안공원 - 가천대학교 - 동남스포피아 - 청학중학교 - 청학사거리 - {{{#aaa 문학터널}}} - 신기.남부종합시장 - 힐스테이트푸르지오주안 - 교보생명 - [[주안역]]환승정류장 || == 개요 == [[도영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2km다. [[http://map.naver.com/?busId=2111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1년에 현재 노선과 무관한 노선이 있었다. 그 노선은 귤현동 이북의 교통 편의를 위해서 '장기동~부평역'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이후 1992년 대개편때 장기동에서 검단으로 연장되었다가 1998년에 박촌동으로 단축되었다. 1999년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면서 적자로 폐선되었다. * 2002년 4월 1일에 문학터널이 개통되면서 주민들이 문학터널을 거쳐 주안역으로 가는 노선을 신설해달라고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817|요구한다.]] 하지만 조합에서는 적자를 핑계로 계속 개통을 미루다가 2003년 9월 1일에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에는 '동춘동 - 동막역 - 유수지 - 소망화장품 - 동춘역 - 동아금호아파트 - 연수성당 - 청학공고 - 문학터널 - 신동아3차 - 신기시장 - 시민공원 - 주안역' 구간으로 선정되고 당시에는 [[인천여객]]에서 운행하였다. * 2004년 6월 3일에 도영운수로 매각되었다. 증차를 거쳐서 60분이던 배차간격을 20~30분으로 줄여 조금씩 인지도를 올리기 시작한다. 이후 문학터널을 경유하여 주안역으로 가는 경로(동춘동 - 동막역 - 유수지 - 소망화장품 - 동춘역 - 적십자병원 - 가천대 - 동남스포피아 - 청학공고 - 문학터널 - 신동아3차 - 신기시장 - 시민공원 - 주안역)로 변경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문학터널 경유 노선들이 서서히 수요가 늘어나고 인지도가 쌓여 주안역 직통 노선의 메리트로 수요가 더 늘어나게 된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당시에는 수요에 비해 차가 너무 작다는 민원이 들어왔었다. 이후에도 증차가 진행되었지만 이 차량도 출퇴근 수요를 모두 감당할 수 없어 결국 빗발치는 민원으로 인해 2010년에 모든 차량이 대형버스가 되었다. [[http://www.incheonbus.or.kr/bus_run/map/65_map.gif|당시 노선도]] * 주안역 환승센터 완공 이후 주안역 일대 루프회차에서 환승센터 종착으로 노선이 변경된다. * 2011년 12월 22일에 논현지구(청능로사거리 - 인천논현역 - 논현고잔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논현지구 기점으로 노선이 변경된다. 이로 인해 동춘동 출발 후 남동공단을 경유하여 다시 연수구로 들어오는 굴곡노선의 형태가 사라지게 되었으며, 연수동~논현지구 구간의 신규 수요 또한 생기게 된다. * [[인천 버스 38|38번]]의 종점이 서창2지구로 변경되면서 2012년 3월 28일에 '논현고잔동행정복지센터 - 에코메트로5단지 - 논현13단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2년 4월 17일에 1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개선되었다. * 2012년 12월 28일에 '청능로사거리 - 논현동힐스테이트 - 에코메트로506동 - 소래포구역 - 소래마을 - 한라아파트 - 논현12단지' 구간이 '청능로사거리 - 논현9단지 - 논현14단지 - 소래풍림아파트 - 한라아파트 - 소래포구역'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4월 23일에 1대가 감차되었다. * 2014년 6월 25일에 소래포구역에서 4시 45분, 동춘역에서 4시 50분에 출발하는 차량이 생겼다. || [[파일:인천!65 변경.png|width=100%]] ||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논현지구 - 남동공단 구간이 단축되고 동춘공영차고지로 입주하였다. 논현지구 구간은 새로 신설된 [[인천 버스 68|68번]]에게 넘기고 연수지구에서 바로 주안역으로 향한다. 또한 기존에 경유하던 용담마을 대신 [[인천 버스 6|6번]], [[인천 버스 6-1|6-1번]]을 대신하여 청학중학교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배차간격은 16~21분으로 조정되었다. 이 노선 조정으로 인해 재개통 초기의 노선과 유사해지게 되었다. == 특징 == * 현금 승차 불가능한 노선이다. * 인천 시내버스 노선 최초로 문학터널을 이용하는 노선으로, 연수구 - 주안역을 직통으로 이어주고 있다. 문학터널을 경유하는 65번이 신설된 덕분에 학익동이나 문학동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연수구로 더 빨리 갈 수 있게 되었고, 이 노선의 개통으로 같은 역할을 하는 [[인천 버스 58|58번]], [[인천 버스 65-1|65-1번]], [[인천 버스 81|81번]]이 운행을 시작한 계기가 되어 연수구 주민들의 이동 편의가 더 좋아지게 되었다. 문학터널을 통해 연수구 - 주안역을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노선 중 선구자인 셈. * 연수동에서 주안역까지는 굴곡 없이 직선인 노선이나, 중간에 남동공단을 거쳐 동춘동으로 들어가므로 동춘동에서 주안역으로 가기에는 추천하지 않는다. 남동공단, 연수동, 청학동에서 주안역을 가는 거라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게 빠르지만, 동춘동/동막역에서 주안역을 가려면 58번, [[인천 버스 63|63번]], 81번이나 전철을 타는게 더 빠르다. * 이러한 노선 선형은 2016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로 인해 개편 후 평가가 안 좋은 노선이다. 차고지 시종착을 위해 65번과 68번으로 노선을 분할하였는데 이 분할로 인해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다. 연수동~논현지구 수요가 줄어들었으며, 동춘동에서 주안역을 가고자 할 경우 남동공단으로 우회하는 선형이 되어 시간 소요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 * 수요에 비해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최단 배차간격은 16분이나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20분을 넘긴다. 주말에는 최대 30~35분까지 기다려야하므로 포털을 활용하여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 공단지역 리프트사용불가, 과속방지턱, 급한 도로경사 사유로 저상버스 투입 의무화 예외 노선이 되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9년 || 2,607명 || - || || 2020년 || 2,107명 || {{{#blue ▽ 500}}} || || 2021년 || 2,501명 || {{{#red △ 394}}} || || 2022년 || 2,398명 || {{{#blue ▽ 103}}}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주안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역]], [[신연수역]],[* 연수3동행정복지센터 하차 후 도보.] [[원인재역]][*A 연수1차아파트나 솔안공원 하차 후 도보]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시민공원역]], 주안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원인재역[*A] == 둘러보기 == [include(틀:주안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include(틀:인천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분류: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분류:200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