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북도의 버스 터미널)] [include(틀:남원시의 버스 터미널)] [[파일:인월터미널.png]]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XvyIHH8aC5M)]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에 있는 공용버스터미널로, 옛 운봉현 지역인 운봉읍, 아영면, 인월면 등 남원 동부 지역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인구가 얼마 안 되는 면 지역에 있지만 전주, 오수, 진주, 임실, 함양, 마산 등 여러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시외버스들이 다수 정차한다. 즉, 여기서 삼남지방은 거의 다 갈 수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영남권인 진주, 함양, 마산, 창원, 호남권인 전주, 오수, 임실 행 버스가 모두 정차하고 동서울 행까지 있으면 강원도 빼고 거의 다 갈 수 있다 봐도 된다.) 매출이 거의 나오지 않아 사업자가 폐업신고를 냈고 2023년 3월까지 운영한 후 폐쇄할 예정이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02103&ref=A|#]] 그러나 4월 폐업 신청을 했던 애초 방침을 철회하고 운영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https://www.news1.kr/articles/?5005724|#]] * 1번: 산내, 상황, 백일, 아영, 함양 * 2번: 산내, 실상사, 마천, 등구, 추성, 도마, 삼정, 백무동 * 3번: 남원, 운봉, 오수, 임실, 전주 * 4번: 마산, 창원, 원지, 산청, 생초, 수동, 함양, 진주, 부산 * 5번: 동서울, 서울남부, 부천, 안양 * 6번: 산내, 뱀사골, 달궁, 운봉, 남원, 노고단 == 노선 == === 호남권 === || 권역 || 도착지 || 경유지 || 운행횟수 || 운행회사 || 기타 || ||<|5> 호남권 || 전주(남원경유) || 남원 || 1일 4회 ||<|2> [[대한여객]], [[전북여객]], [[호남고속]] || 막차 오후 3:00분 || || 전주(남원, 오수, 임실경유) || 남원, 오수, 임실 || 1일 2회 || 막차 오후 2시 10분 || || 광주(남원경유) || 남원 || 1일 1회 || [[동광고속]] || || 노고단 || [[뱀사골공용버스터미널|뱀사골]] || 1일 1회 || [[함양지리산고속]] || === 영남권 === || 권역 || 도착지 || 경유지 || 운행횟수 || 운행회사 || 기타 || ||<|6> 영남권 || 마산 || 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진주 || 1일 1회 || [[전북여객]] || 막차 오후 16시 23분 || || 진주 || 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 1일 3회 || [[대한여객]], [[전북여객]] || 막차 오후 16시 23분 || || 부산서부 || 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진주 || 1일 1회 || [[대한여객]] || 막차 오후 14시 50분 || || 대구서부 || 함양, 거창 || 1일 1회 || [[동광고속]] || || || 백무동 || 마천(경남) || 수시운행 || [[함양지리산고속]] || || === 수도권 === || 권역 || 도착지 || 경유지 || 운행횟수 || 운행회사 || 기타 || ||<|4> 수도권 || [[시외버스 동서울-지리산|동서울]] || 함양 || 1일 8회 ||<|3> [[함양지리산고속]] || 함양 백무동, 노고단[* 매년 11월~4월 까지는 노고단 출발 1회 중단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자연스럽게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버스가 1회 감회된다.] 기점 || || 서울남부 || 함양, 서상 || 1일 3회 ||<|2> 함양 백무동 기점 || || 부천 || 함양, 서상, 안양 || 1일 2회 || [[분류:남원시의 교통]][[분류:지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