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유물.jpg]] [목차] == 개요 == 仁王護國般若經疏法衡抄. [[고려]] 초기의 고승 중 한 명인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1090년에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을 제작할 때 수록한 불경. 현재 [[조선]] [[세조(조선)|세조]]가 1460년대에 복원한 책이 [[송광사]]에서 발견된 다른 서적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1468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8577|서지학회의 연구]]에 따르면 인왕호국반야경소법형초는 의천이 속장경을 발행하기 이전에 소현대사가 의천을 돕기위해 금산사 광교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교장에 수록된 불경의 명칭을 정리한 목록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하 교장총록)에 수록되어 있는 불경이다. 현재 [[한국]]에 전해지는 인왕호국반야경소법형초는 조선의 7대왕 세조가 1460년대에 고려불경을 복원하여 송광사에 보존한 것으로, 고려 초기의 고승인 의천이 1095년에 [[개성시|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하여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에 수록하였던 불경이다. 1090년에 의천이 제작했던 총 4,800여권에 이르는 교장들은 훗날 [[몽골]]군의 방화로 인해 모두 소실되었는데 그 중 인왕호국반야경소법형초 2권을 1460년대에 다시 복원한 것이다. 1460년대에 왕의 명으로 복원된 고려속장경의 일부로, 고려와 조선시대 인쇄술 및 불교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분류: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유물]] [[분류: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품]] [[분류:순천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