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簡易融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인스턴트 퓨전, 일어판명칭=簡易融合(インスタント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Instant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 5 이하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으로 취급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고 마법 카드 인스턴트 퓨전 발동!''' >---- >유희왕 듀얼링크스 세레나 대사 >[[파일:유희왕 마듀 인스턴트 퓨전 메이트.jpg|width=100%]] >'''융합 소환을 가능하게 해줄 것만 같은 컵.''' >'''간편하다고 해서, 그게 다른 것만 못하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 텍스트 '간이융합'이라 쓰고 '인스턴트 퓨전'이라 읽는 카드. 이름에 맞게 일러스트엔 [[인스턴트]] [[컵라면]]이 나와있으며, 이 때문에 컵라면이 별명처럼 각인됐다. LP 코스트 1000이 라면 가격마냥 적힌 걸 보면 기분이 묘하다. 한국은 1000의 화폐가치가 진짜로 컵라면 가격대인지라 더더욱 와닿는 점은 덤. 일러스트대로 LP 1000만 지불하면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몬스터 1장이 그냥 튀어나오는 편리한 카드. 대신 공격도 못하고 엔드 페이즈엔 파괴된다는 걸 디메리트랍시고 달아놨지만, '''효과는 멀쩡하게 살아있어'''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융합 몬스터를 쓰기 위해 쓰는 카드라기보단 특수 소환 소재나 코스트 등을 마련하기 위한 키 카드로, 융합 소환과의 관련성은 좀 떨어진다. 그러나 일부 히어로나 고레벨 몬스터가 필요한 종족 서포트 카드와의 궁합은 매우 좋다. 보기와 달리 융합 소환으로 취급되기에, 일단 꺼낸 몬스터는 이후 마음대로 소생시켜 써먹을 수 있다. 이 카드로 꺼낼 수 있는 대부분의 몬스터들은 필드에서의 효용성이 낮아 별 의미 없지만,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 덕분에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있다. 인스턴트 퓨전으로 [[드래곤을 탄 와이반]]을 소환하고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소환에 쓸 수 있단 점이 조명받기도 했다. 그래서 셋 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에서 복각됐다. 사실 [[일반 몬스터|바닐라]] 융합 몬스터 중에도 레벨 5 이하가 있지만, 드래곤을 탄 와이반은 드래곤 튜너들과의 콤보도 좋고,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효과로 소생시켜도 어느 정도 활약할 수 있어서 그나마 우월하다.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랑도 궁합이 좋다.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다는 특성 덕분에 상대 몬스터를 빼앗아온 후 그대로 디메리트로 파괴시키거나 다른 소재로 사용해버리면 장착되어 있는 상대 몬스터도 그대로 터진다. [[싱크로 소환]]과 극한의 상성을 자랑한다. 이 카드 1장만으로 레벨 1~5의 싱크로 소재를 메인 덱에 안 넣고도 골라서 끄집어낼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소재 제한이 달린 싱크로 몬스터를 아무 관련 없는 덱에서 뽑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융합 소환 취급이라 소생 제한도 만족하니 [[싱크로 캔슬]]과의 연계도 아무 문제가 없다. [[긴급텔레포트]]와도 궁합이 좋다. 덱에 사이킥족 튜너를 레벨별로 넣고 긴텔레와 조합하면 패 2장과 1000Lp만으로 통상 소환권을 남긴 채 2~8레벨의 싱크로 몬스터를 자유자재로 뽑아올 수 있다. 이 카드로 뽑을 수 있는 튜너 몬스터인 [[테세우스의 마서물]]의 경우 언데드족이라서 [[명계룡 드래고네크로]]의 융합 소재로 쓸 수 있고, 싱크로 주축의 덱에 들어가는 필수 카드인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의 링크 소재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초월융합]]을 이용하면 다양한 전개가 가능하다. [[쿠로시프]]가 등장한 이후 가치가 더욱 증가했다. 쿠로시프의 묘지 소생 효과의 트리거가 되거나, 융합 덱은 이 카드로 소환한 융합 몬스터를 링크 소재로 써버리고 다른 융합 몬스터를 불러 필드에 남기는 식의 활용이 가능하다. [[엑시즈 소환]] 용도로도 쓸 수 있으나, 엑시즈 소환을 위해선 더 편한 방법도 있으니 덱의 특성을 고려해가며 채용하자. 사실 이 카드로 소환 가능한 융합 몬스터의 절반은 이미 절판된 초창기 부스터팩에 많이 등장했기에, 이제 와서 모셔가려 해도 구하기 힘든 편이다. 특히 한국에선 초창기 융합 몬스터들 몇몇이 수록조차 안 돼서 이 카드를 중심으로 한 몇몇 전술이 막혔다. 근데 몇몇 카드들만 해도 쓸만한 편. 그외에도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라이딘]]으로 상대 몬스터를 뒤집어버리거나, [[프랭키즈]] 로켓을 불러 프랭키즈를 대량 전개할 수도 있고, [[엘섀도르 미도라시]]로 마함 샐비지도 가능하다. 심지어 티아라멘츠에서 키토칼로스를 뽑는 용도로 썼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72화에서 X와의 듀얼에서 [[순간융합]]이라 쓰고 '인스턴트 퓨전'이라 읽는 카드를 썼고 당시에는 '''속공마법'''카드였다. 본편에서도 몇 번 등장하다가 이후 독음까지 [[순간융합]]이라 그대로 읽는 카드로 OCG화 됐다. [[유희왕 ARC-V]]에선 [[시운인 소라]]를 비롯한 [[아카데미아]] 출신이나 [[레오 코퍼레이션|LDS]]의 융합 코스 학생들의 덱에 있는 것으로 나왔으나, 직접 쓰인 적은 없다. 이외에, [[이빌트윈#Live☆Twin 트러블상|라이브트윈 트러블상]] 카드의 일러스트에서 스트리머 랭킹 3위로 등장하는 [[카르보나라 전사#s-2.1|마그넷 1&2호]]가 광고하는 물품으로 등장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이벤트인 2022년 융합 페스티벌에서 5500 메달을 모으면 '인스턴트 퓨전' 메이트를 보상으로 제공했다. 메이트의 설명 문구를 보면 ''''융합 소환을 가능하게 해줄 것만 같은 컵. 간편하다고 해서, 그게 다른 것만 못하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라고 쓰여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인스턴트 퓨전 발동 연출.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339191 유희왕 마스터 듀얼}}}]] 인스턴트 퓨전 {{{#339191 사용 연출}}}'''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발동 연출이 존재한다. 전용 연출은 아니고, [[레토르트 퓨전]] 등 융합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융합 마법들과 동일. === 역사 === 본래 몬스터를 꺼내도 큰 의미는 없었기에 딱히 주목받지 못하는 카드였지만, 싱크로 소환이 나온 이후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싱크로 소환에 관련해 자주 쓰인 용도는 [[음악의 제왕]] 또는 [[카오스 위저드]]를 불러내 각각 레벨 2, 레벨 3 튜너와 같이 [[아캐나이트 매지션]] 싱크로 소환에 자주 쓰였다. [[나이트메어를 쫓는 사령]]은 어둠 속성 레벨 5 융합 몬스터여서 인스턴트 퓨전 등장시부터 각광받던 카드였으며, [[엘리멘틀 히어로#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은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의 등장과 동시에 물 속성 + 히어로란 엡제 융합 소재 조건 2가지 모두를 충족하면서 당시 유행하던 [[나락의 함정 속으로]]의 대상이 안 된다는 이점을 가져 [[디바제로]] 덱에 투입됐다. 또한 [[자동기계(유희왕)|자동기계]] 덱에서 속성과 종족을 공유하며 [[자동기계장군 00 "무령"]]과 [[자동기계대장군 무령노]]의 소재가 된 [[메카 사우루스]]가 있다. 코나미도 현 환경에서 이 카드의 효용성을 인정하는지, 대놓고 이 카드와의 연계를 위해 만들어진 [[중장기갑 팬저드래곤]]이 나왔다. 그리고 [[프라이멀 오리진]]의 한글판 월드 프리미어에서 '''[[구신 노덴]]'''의 출현으로 다시 한번 미친 듯이 상향됐다. 기존 쓰이던 저레벨 융합 몬스터를 완전히 엿먹이는 능력치를 가진 데다, 바로 레벨 4 몬스터를 건져 엑시즈 소환으로 연계할 수도 있고, 튜너를 소생시켜 싱크로 소환도 가능했다. 거기다 상대의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를 [[초융합]]으로 잡아먹을 수도 있는 구신 노덴은 그야말로 컵라면의 신이라 불리며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는데, 결국 노덴과의 악랄한 연계플레이 때문에 2015년 1월에 제한이 됐다. 2015년 10월엔 구신 노덴이 금지되고 인스턴트 퓨전은 다시 무제한이 됐다. 그런데 [[LL|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과 [[The tyrant NEPTUNE]]과의 조합으로 공격력 6000에 상대에게 5000 데미지를 주는 조합이 발견되면서 이 카드로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을 뽑는 용도로 쓰였다. 그래서 2017년 4월엔 The tyrant NEPTUNE이 금지 카드가 됐다. 이후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의 시동이 풀린 신규 [[마스터 룰]]이 적용되는 것에 맞춰, 2020년 4월에 다시 제한 카드가 됐다. 이후에는 인스턴트 퓨전의 효율성과 위험성을 함께 감안하여 효과를 조정한 대용품인 [[레토르트 퓨전]]이 발매되었다. 2022년 4월 [[티아라멘츠]]가 공개된 이후 주목을 받고 있는데,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를 소환하면 '''덱을 8장이나 덤핑할 수 있다'''. [[부유벚꽃]]에 맞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이 때문에 다음 금제 때 이 카드의 금지를 점치는 의견도 나오고 있었지만, 2023년 1월 금제에서는 '''키토칼로스가 금지되면서''' 어찌어찌 살아남았다.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비틀트루퍼]] 지원이 인스턴트 퓨전을 권장하듯 5레벨로 나오면서 당분간 인퓨 자체를 금지시킬 가능성은 낮아졌다. 다만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사정이 달랐는데, 키토칼로스가 생존한 채로 [[티아라멘츠]]가 상륙하여 0티어가 되었고, 마침 막 발매된 티아라멘츠를 직접 제재하기는 좀 그랬는지 이 카드가 대신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 === ☆ : 튜너 몬스터, --취소선--: OCG 금지 카드. * 레벨 1 * 어둠 속성 *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마법사족) *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마법사족) * 바람 속성 * [[LL#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 (비행야수족) * 화염 속성 * [[메탈포제#풀메탈포제 알카에스트|풀메탈포제 알카에스트]] (사이킥족) * [[인페르노이드#인페르노이드 이빌|인페르노이드 이빌]](악마족) * 레벨 2 * 어둠 속성 * [[무의 필경 올베인]] (천사족) ☆ * 빛 속성 * [[루닉#루닉의 날개 후긴|루닉의 날개 후긴]] (천사족) * 레벨 3 * 어둠 속성 * [[언데드 워리어]] (언데드족) * [[프레임 고스트]] (언데드족) * 빛 속성 * [[루닉#루닉의 날개 무닌|루닉의 날개 무닌]] (천사족) * 바람 속성 * [[악의 기사 드라고네스]] (전사족) * 땅 속성 * [[퓨저니스트]] (야수족) * 화염 속성 * [[화염의 기사]] (화염족) * 레벨 4 * 어둠 속성 * [[마건#마건소수-안샤라볼라스|마건소수-안샤라볼라스]] (야수족) ☆ * [[소환수(유희왕)#소환수 칼리굴라|소환수 칼리굴라]] (야수족) * [[루닉#루닉의 이빨 게리|루닉의 이빨 게리]] (야수족) * [[암흑의 화염룡]] (드래곤족) * [[카오스 위저드]] (마법사족) * 빛 속성 * [[쌍천#쌍천의 사사-아훔|쌍천의 사사-아훔]] (전사족) * 바람 속성 * [[마브러스]] (비행야수족) * 땅 속성 * [[카르보나라 전사]] (전사족) * 물 속성 * [[늪지의 도로곤]] (환룡족) * --[[구신 노덴]]-- (천사족) * [[레어 피시]] (어류족) * 레벨 5 * 어둠 속성 *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물족) * [[엘섀도르 미도라시]] (마법사족) * [[마방 기룡 커스 오브 드래곤]] (드래곤족) * [[데스완구#데스완구 체인 시프|데스완구 체인 시프]] (악마족) * [[바록스]] (악마족) * [[파티시엘 쿠베르]] (천사족) (융합/펜듈럼) * [[프레데터 플랜츠#프레데터 플랜츠 암블로메리두스|프레데터 플랜츠 암블로메리두스]] (식물족) * [[나이트메어를 쫓는 사령]] (언데드족) * [[루닉#루닉의 이빨 프레키|루닉의 이빨 프레키]] (야수족) * [[비틀트루퍼#비틀트루퍼 크루엘 새턴|비틀트루퍼 크루엘 새턴]] (곤충족) * 빛 속성 * [[다이플렉서 키메라]] (사이버스족) * [[시간의 마도사]] (마법사족) * [[음악의 제왕]] (마법사족) * [[마법 기사 길티어]] (전사족) * [[쌍천#쌍천각 개훔|쌍천각 개훔]] (전사족) * [[중장기갑 팬저드래곤]] (기계족) * [[방해꾼#방해꾼 나이트|방해꾼 나이트]] (야수족) * 바람 속성 *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라이딘|소환수 라이딘]] (전사족) * [[번개신의 분노]] (번개족) * [[드래곤을 탄 와이반]] (드래곤족) * 땅 속성 * [[프래그티컬]] (공룡족) * [[플라워 울프]] (야수족) * [[메카 사우루스]] (기계족) * [[비크로이드#페어싸이크로이드|페어싸이크로이드]] (기계족) * 화염 속성 * [[메탈포제#메탈포제 아다만테|메탈포제 아다만테]] (사이킥족) * [[프랭키즈#프랭키즈 로켓|프랭키즈 로켓]] (화염족) * [[주작(유희왕)|주작]] (화염족) * [[화염의 검사]] (전사족) * [[마스터 오브 HAM]] (야수족) * 물 속성 * [[테세우스의 마서물]] (언데드족) ☆ * [[검은 식인 상어]] (어류족) * [[심해 상어(유희왕)|심해 상어]] (어류족) * [[마린 비스트]] (어류족) * [[프랭키즈#프랭키즈 웨더|프랭키즈 웨더]] (물족) * [[수륙양용 버그로스]] (물족)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전사족) *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전사족)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사이버 다크의 격돌|CYBERDARK IMPACT]] || CDIP-JP04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トリシューラの鼓動!!-]] || DT08-JP043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1]] || TP17-JP009 || [[노멀]] || 일본 || || || DUELIST EDITION Volume 1 || DE01-JP062 || [[슈퍼 레어]]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THE RARITY COLLECTION]] || TRC1-JP04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퓨전 엔포서즈|ブースターSP-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 SPFE-JP042 || [[노멀]][br][[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2-]] || DP19-JP048 || [[노멀]] || 일본 ||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90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리버스 오브 섀도르|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リバース・オブ・シャドール-]] || SD37-JP027 || [[노멀]] || 일본 || || || [[사이버 다크의 격돌|Cyberdark Impact]] || CDIP-EN04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Champion Pack: Game Seven || CP07-EN017 || [[노멀]] || 미국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4]] || DT04-EN093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 LCGX-EN09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Ra Yellow Mega Pack || RYMP-EN028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Astral Pack Two || AP02-EN020 || [[노멀]] || 미국 || || || Astral Pack Eight || AP08-EN010 || [[슈퍼 레어]] || 미국 || || || [[퓨전 엔포서즈|Fusion Enforcers]] || FUEN-EN042 || [[슈퍼 레어]] || 미국 || || || OTS Tournament Pack 4 || OP04-EN002 || [[얼티밋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Ancient Millennium]] || LED2-EN048 || [[노멀]] || 미국 || || || [[리버스 오브 섀도르|Structure Deck: Shaddoll Showdown]] || SDSH-EN027 || [[노멀]] || 미국 || || || [[사이버 다크의 격돌]] || CDIP-KR04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프로모션 팩|프로모션 팩 Vol.1]] || PR01-KR019 || [[노멀]] || 한국 || || || [[프레셔스 팩|프레셔스 팩 Vol.1]] || PC01-KR064 || [[슈퍼 레어]] || 한국 ||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4]] || AE06-KR003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퓨전 엔포서즈|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 SPFE-KR042 || [[노멀]][br][[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2 -]] || DP19-KR048 || [[노멀]] || 한국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 || TRC1-KR04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 LEC1-KR090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한국 || || || [[리버스 오브 섀도르|스트럭처 덱 - 리버스 오브 섀도르 -]] || SD37-KR027 || [[노멀]] || 한국 || || || [[시크릿 샤이니 박스|"시크릿 샤이니 세트" 스페셜 팩]] || SSB1-KR034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의식 소환#한정해제|한정해제]] === === [[레토르트 퓨전]] === === [[인스턴트 콘택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