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도의 재난]][[분류:교량 사고]][[분류:2022년 재난]][[분류:붕괴 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3> {{{#fff {{{+1 '''인도 구자라트 다리 붕괴 사고 [br] 2022 मोरबी केबल-रुके हुए पुल दुर्घटना[* 2022년 모르비 현수교 붕괴 사고] [br] 2022 Morbi bridge collapse'''}}}}}} || ||<-3> [[파일:인도 사고.webp|width=100%]] || ||<-3> '''▲ 인도 구조대원들의 수색 현장''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Julto pul, 너비=100%, 높이=100%)]}}} || ||<-3> {{{-1 '''▲ 지도'''}}} || ||<-2> '''발생일시''' ||[[2022년]] [[10월 30일]] 18시 40분{{{-3 ([[UTC]]+05:30)}}} [br][* 한국 시간으로는 22시 10분이다.] 사고일로부터 '''[dday(2022-10-30)]일''' || ||<-2> '''발생 위치''' ||인도 구자라트 모르비 || ||<-2> '''유형''' ||'''[[교량]] [[붕괴]]''' || ||<-2> '''원인''' ||부실 공사 || ||<|3> '''인명 피해''' || '''사망''' ||'''141명''' || || '''실종''' ||'''-''' || || '''부상''' ||'''100명 이상''' || ||<-2> '''재산 피해''' ||'''집계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힌디어]] 2022 मोरबी केबल-रुके हुए पुल दुर्घटना [[구자라트어]] 2022 મોરબી કેબલ-સ્ટેડ બ્રિજ અકસ્માત [[영어]] 2022 Morbi bridge collapse [[2022년]] [[10월 30일]] 저녁 무렵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 기간 중 [[인도]] [[구자라트|구자라트 주]]의 마추강에 놓인 보행자 전용 현수교가 갑자기 붕괴된 사고로, 사상자 및 재산 피해가 현재 집계 중에 있다. == 사고 현장 및 원인 == [[파일:인도 줄토폴.jpg|width=500]] 붕괴 이전의 줄토 폴 (다리) 이 사건이 일어난 모르비는 [[라지코트]]에서 북쪽으로 50km 떨어진 인구 약 20만의 도시다. 사고 교량인 줄토 풀[* 풀은 현지어로 다리라는 뜻이다.]은 영국 지배기인 1880년경에 건설된 길이 233m의 현수교로 7개월간의 보수 공사 후 재개장하였으나 디왈리 축제를 즐기 위해 많은 인원이 몰리면서 5일만에 붕괴하였다. 동시 수용 인원이 150명인 폭 1.5m의 다리에 순식간에 500명의 인파가 몰리면서 벌어진 참사이기 때문에 현지 언론에서는 '인재'라고 표현했다. 해당 다리는 길이 233m, 폭 1.5m의 보행자 전용 [[현수교]]로,[* 폭이 좁고 긴 다리가 케이블에 의존하여 매달린 구조로 되어있어 평소에도 여러 사람이 올라가 있을 경우 쉽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인도가 영국 식민지였던 시절인 1880년에 개통됐다. 그동안 계속해서 오래 버텨 왔으나 사고 7개월 전 보수공사를 한 번 거친 뒤 10월 26일 재개장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심하게 다리가 흔들리는 등 불안한 조짐을 보이더니 30일 결국 500여명의 사람의 무게를 못 버티고 무너져내렸다. 적정 인원의 3배를 넘는 사람들이 몰리자 하중을 견디지 못한 다리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순식간에 무너져내렸고 수 초만에 다리 위에 있던 사람들은 강으로 추락하고 말았다. 당시 CCTV [[https://youtu.be/SVj08KTOMCQ|영상]]을 보면 위의 사진 기준으로 왼쪽 케이블이 먼저 끊어졌고 이어 오른쪽도 끊어지면서 무너져내렸다. 구조활동이 진행되었지만 최소 130명의 사망자가 예상되었다고 한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90102|#1]],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53426|#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1040|#3]] 인도 당국의 사고 조사가 이어지던 가운데 움직이면 흔들리는 형태의 사실상 흔들다리인 해당 현수교에서 일부가 방방 뛰거나 난간을 흔드는 등의 장난을 쳤다는 증언이 나왔다. 실제로 공개된 CCTV 영상에는 흰 옷을 입은 남성이 다리를 좌우로 흔드는 모습이 뚜렷하게 찍혀 있다.[[https://youtu.be/Jptea_VLNXY|보도영상]] 사고 현장에 있던 비자이 고스와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부 젊은이들이 일부러 다리를 흔들었고, 이 행동이 위험하게 느껴져 더 나아가지 않고 돌아갔다'며 '이런 상황에 대해 관리인에게 말했지만 무관심하였다'고 말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한 NDTV는 수리 후 다리의 재개장 과정에서 수리 업체가 정부 승인 없이 디왈리 대목에 맞춰 재개장을 강행했다고 주장하였다. 모르비 시의 관리 산디프신 잘라는 '수리 업체가 제대로 된 품질 검사를 행하지 않았고, 당국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10/966716/|#1]], [[https://v.daum.net/v/20221031151445589|#2]] 보수업체는 다리의 바닥만 바꿨을 뿐 현수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케이블은 교체하지 않았으며 공사 현장에서는 전문가의 감독도 이뤄지지 않았고 비상 대피나 구조 계획도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애초에 보수공사는 오는 12월까지로 예정됐으나 디왈리 등 축제 기간에 맞춰 서둘러 개장했다고 한다.[[https://m.yna.co.kr/view/AKR20221102077900077?section=international/all|#]] 결과적으로 수리업체, 시당국, 관리인, 일부 방문객 전부에게 책임이 있는 인재로 결론이 도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경과 == 10월 30일 밤 11시에 전해진 뉴스1 속보[[https://www.news1.kr/amp/articles/?4848886|#]] 10월 31일 새벽 기준으로 60명의 사망자가 확인되었다. [[https://www.indiatoday.in/india/story/cable-bridge-collapses-in-gujarats-morbi-several-injured-2291205-2022-10-30l|인디아투데이]] 31일 오전 기준으로 사망자는 130여명으로 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42468?sid=104|#]] 31일 정오 기준으로 사망자는 141명으로 늘었다. 구출된 인원은 177명. 다만 실종자가 많았기 때문에 사망자 수가 200명 전후까지 늘어날 가능성도 있었다. [[https://www.bbc.com/news/world-asia-india-63445154|BBC]] 11월 1일 인도 당국은 현수교 관리 관계자 9명을 과실치사 혐의로 체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1101077800077?section=international/all|#]] 조사 결과 새로 오픈한 다리의 케이블 49개 중 절반에 가까운 22개가 녹이 슬어 있었을 정도로 관리를 대충 하고 다시 오픈한 것으로 드러났다.[[https://m.economictimes.com/news/india/morbi-bridge-collapse-22-out-of-49-cables-rusted-already-broken-sit-reports/videoshow/98081810.cms|#]] == 반응 == * 인도 정계 각지에서 애도를 표했다. 구자라트 출신[* 다만 [[인도 아대륙|아대륙]]으로도 불리는 인도인 만큼 같은 구자라트주이긴 해도 모디의 고향인 반드나가르와 모르비는 약 200km 가량 떨어져 있다.]이기도 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유족들에게 20만 루피, 부상자들에게 5만 루피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인도의 국회의원이자 [[인디라 간디]]의 손자인 라훌 간디는 당원들에게 사고 현장에서 힘을 보탤 것을 요청하였다. * 모디 총리가 11월 1일 모르비 현장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jagran.com/news/national-gujarat-bridge-collapse-live-updates-bridge-collapses-in-morbi-latest-news-updates-in-hindi-lb-23172700.html|#]] * [[아랍에미리트]] 외교부에서 참사에 대한 애도를 표하였다. [[https://www.khaleejtimes.com/uae/uae-offers-condolences-to-indias-bridge-collapse-victims|#]]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애도를 표했다.[[https://twitter.com/POTUS/status/1587144857730314240?t=4idwQBd_GMbr0Z7ESCJ4Ug&s=19|#]] * 하필이면 [[이태원 압사 사고]]의 바로 다음날에 발생한지라, 워낙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이태원 압사 사고를 다룬 뉴스에 묻혔다. 물론 일부 언론은 보도했으며 사고 당일에 발생하여 완전히 묻힌 [[2022년 10월 모가디슈 테러]]에 비하면 기사가 훨씬 많은 편에 속한다. == 여담 == * 10월 29일 [[한국]]에서 벌어진 대형 참사인 [[이태원 압사 사고]]의 바로 다음날에 벌어진 대규모 인원의 군집에 의한 사고이기 때문에 원인과 대처 등이 비교되었다. 두 사고 모두 사망자 수가 150명 전후로 비슷하다. * 본 사고가 일어난 지 반 년이 조금 넘어서 '''본 사고보다 최소 2배 많은 사망자인 288명이 사망한''' [[오디샤 열차 충돌 사고]] 및 북부 [[비하르주]]의 [[갠지스강]]에서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18189|신축 중이던 3km 길이의 다리가 무너지는 사고]]가 일어나면서 인도에는 초비상이 걸렸다고 봐도 무방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추강 현수교 붕괴사고, version=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