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익산시의 시내버스)] ||<-3> [[파일:익산시 CI.svg|width=50]][br]{{{+2 '''익산시 시내버스'''}}}[br]'''Iksan City Bus''' || ||<-2> '''노선 수''' ||119개 || ||<-2> '''정류장 수'''[* 2023년 11월 기준, 교통행정과] ||1,556개[* 유개승강장 756개소, 무개승강장 800개소] || ||<-2> '''업체 수''' ||3개[* [[익산여객]], [[신흥여객(익산)|신흥여객]], [[광일여객]] ] || ||<|3> '''차량 수'''[* 2023년 11월 기준, 교통행정과] || '''총량''' ||'''168대''' || || '''정규''' ||'''161대''' || || '''예비''' ||'''7대''' || ||<-2> '''운행 시간''' ||06:00 ~ 22:40 || ||<-2> '''운임 제도''' ||단일요금제(시내)[br]구간요금제(시외)[br]환승할인제 || ||<-2> '''운영 제도''' ||[[준공영제]] || ||<-2> '''홈페이지''' ||[[https://www.iksan.go.kr/index.iksan?menuCd=DOM_000002004001001000|홈페이지]] || ||<|3><-2> '''전화번호''' || 익산시내버스공동관리위원회[br]063-851-3633 || || || || 지.간선제 콜센터[br]1533-3421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익산시]]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이다. [[익산시]] 전역, [[전주시]] (조촌동, 여의동), [[군산시]] (대야면, 임피면, 서수면), [[김제시]] (백구면, 공덕면, 백산면, 용지면, 청하면), [[완주군]] (봉동읍, 삼례읍),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등 여러 지역으로 운행한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부여군]] 양화면 일부를 운행한다고 했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며 웅포대교 개통 이후에도 익산시와 부여군 사이에 시내버스가 운행된 적이 없다.] * 현재 [[광일여객]], [[신흥여객(익산)|신흥여객]], [[익산여객]]이 익산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현재 [[저상버스]]는 [[익산 버스 100|100번]], [[익산 버스 101|101번]], [[익산 버스 104|104번]], [[익산 버스 108|108번]], [[익산 버스 300|300번]]만 운영하고 있다. * [[전라북도]]에서 [[부안군]]과 함께 좌석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다. == 요금 == ||<-2>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익산시 시내버스 요금표''' || ||<-2> 시내전지역 || || '''성인''' || 현금 1,600원 / 카드 1,550원 || || '''청소년''' || 현금 1,300원 / 카드 1,250원 || || '''어린이''' || 현금 800원 / 카드 750원 || ||<-2>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익산시 수요응답형 시내버스 요금표''' || || '''단일요금'''[* 익산시 내부를 카운티 EV로 돌아다니는 노선들] || 300원 || ||<-2>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익산시 일반버스 시계외 구간별 요금표'''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요금[* 위에서부터 성인, 청소년, 어린이 순] || 김제(만경)방향 || 전주(조촌동)방향 || 군산(개정)방향 || 군산(대야)방향 || 완주(봉동)방향 || 논산(강경)방향 || || 1,600원 ||<|3> 유강리, 수룡귀지, 농장촌, 서리, 마현정미소, 서원, 송정 ||<|3> 석담, 백구정 ||<|3> 외일, 염통 ||<|3> 접산, 신석 ||<|3> 통정교, 왕궁온천(온수리), 사천, 원해전, [[호남고속도로|고속도로]], 제촌, [[삼례읍|삼례]] ||<|3> [[망성면|망성]](도계) || || 1,300원 || || 800원 || || 1,650원 ||<|3> 환경, 송산, 지수, 회룡 ||<|3> 농민교육원, 농원 ||<|3> [[임피면|임피]], 보고리, 다리, 술산 ||<|3> 신동 ||<|3> 전경대 ||<|3> [[강경읍|강경]] || || 1,300원 || || 800원 || || 1,700원 ||<|3> 조종리입구, 상정, 소음방, 상조, 척산 ||<|3> 영상리, 강흥리, 창산, 송정 ||<|3> 구절리, 마룡 ||<|3> ↓ ||<|3> 은하리 || || 1,350원 || || 850원 || || 1,800원 ||<|3> 조종리, 요교, 과덕, 신창 ||<|3> [[도도동|도도리]], 철탑, 고잔, [[전주비행장|비행장]], 예촌, ||<|3> 대덕정미소, 하장곤 ||<|3> [[대야면|대야]], 대동사거리, 발산 ||<|3> [[봉동읍|봉동]] || || 1,450원 || || 900원 || || 1,950원 ||<|3> 산치, 수월초교, 대청리 ||<|3> [[조촌동(전주)|성덕]][* [[김제시]] [[성덕면]]이 아니라 [[전주시]] 성덕동이다.], [[조촌동(전주)|남정리]], 묘동, 비룡초교, 모산 ||<|3> [[개정면|개정]] || || 1,550원 || || 950원 || || 2,150원 ||<|3> [[만경읍|만경]], 월현리, 관상리 ||<|3> 애통리, 마다리, 불노리 || || 1,700원 || || 1,050원 || }}} || * 교통카드 사용시 50원이 할인된다. * [[시계외요금]]은 거리별로 늘어나지 않고, 구간별로 정해진다. 일반버스는 구간에 따라 최대 2,150원을 받으며, 좌석버스는 구간에 관계없이 1,750원만 받았었다. 따라서 봉동방향 시외로 멀리 나갈 경우 555번 좌석버스가 쌌었다.[* 다른 노선은 일반버스로 따지면 2구간 요금인지라 강경이나 삼례 같은 곳은 웬만해서는 일반버스가 더 싼 경우도 있다.] 그러나 완주군, 논산시로 향하는 노선은 기사에 따라 시계외요금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어떤 기사들은 삼례나 강경 간다고 하면 그냥 대라고도 하며 또 어떤 기사들은 말 안하고 탔다고 '여기는 익산도 아닌데 왜 말 안 하고 탔냐, 구간요금 왜 안 내냐!'라며 뭐라 하는 기사들도 있다.-- 솔직히 50원가지고 너무 심한 거 같다--] 다만 일반 노선에 한해서 그렇지 좌석 노선은 무조건 지불해야 했었다. ~~사실 대부분 그렇다. 삼례, 강경도 그렇고 봉동도 제내리 가는 73번이 구간요금을 받지 않는다. 아마 왕궁면, 망성면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 2022년 11월 15일, 일부 지역에 시내버스 지간선제 도입 및 일부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좌석버스 요금이 일반버스 요금으로 통폐합되었고, 지선버스로 개편된 노선은 시계외 구간요금을 받지 않는다. 다만 지선버스에 한해서이며, 일반버스는 그대로 시계외요금을 적용한다.[* 다만 강경, 봉동, 삼례 구간은 기본요금을 받는다.] * 사용 할 수 있는 교통카드로는 선불식은 [[MYbi]],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하나로]], [[레일플러스]]가 있고, 후불식으로는 [[국민은행]], [[농협카드]], [[롯데카드]](M형 및 MT형),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M형)가 있다. * 환승은 1시간 이내로 2회 가능하며,[* 2018년 5월 1일부터 환승시간이 30분에서 60분으로 늘었다.] 같은 노선으로는 환승할 수 없다. * 2017년 7월 말부터 [[삼원FA]] 신형 LCD단말기로 교체했다. * 요금이 굉장히 비싼 축에 속한다. [[천안시 시내버스]]와 비슷한 정도. 청소년 현금 요금은 천안보다 싸지만 카드 요금은 천안보다 비싸다. 2021년 7월 1일부터 버스요금이 군산, 전주와 동시에 인상되면서 버스요금이 충남처럼 비싼 축에 속해졌다. == 2022년 대개편 == 2022년 11월 15일부터 지간선제가 도입되면서 시내버스 노선의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되었다. 시 외곽 노선이 함열 기점 노선과 금마, 여산 기점 노선으로 분리되면서 함열 경유 노선인 42번에서 54번까지의 노선 및 금마 경유 노선인 60번에서 63번,65번 노선과 222번, 333번, 555번 좌석버스 노선이 폐선되었다. 실질적으로 보면, [[함열읍]], [[금마면]], [[여산면]]에 환승장을 신설하고, 여기를 지나가는 노선 대부분에 대해 시내~환승정류장 구간을 단축하여 이를 [[틀:익산시의 간선버스|간선버스]] 노선으로 대체하고, 나머지 구간을 새로운 노선번호 규칙에 따라 [[틀:익산시의 지선버스|지선버스]]로 개편한 것이다. [[군산시]], [[김제시]], [[전주시]] 방향은 환승장을 설치할 만한 지역 거점이 없어서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선버스 중 일부는 수요응답형으로 운영된다. 평일 10시~16시에는 1533-3421에 전화해서 호출해야 한다. 평일 출퇴근시간대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시간표대로 운행한다. 익산 시내에서 각 환승장까지는 기존 좌석버스 도색을 한 차량들이 투입되며[* [[익산 버스 2200|2200]]번은 일반버스 차량이 들어간다.], 익산시 내부로만 다니는 5000번대 노선은 카운티 EV로 운행된다. 기존 일반버스 도색을 한 차량들은 시외 노선에 투입된다. 강경으로 들어가는 모든 노선에 대해 대흥시장[* 대흥로에 있는 정류소]은 일부만 경유하고, 강경터미널에서 바로 회차해 강경법원으로 가도록 바뀌었다. 대흥시장 경유 여부는 시간표에 적혀있으니 잘 확인하자. [[파일:2022년 익산시내버스 개편.jpg]] 2022년 12월 기준 시간표 확인 결과, 개편 당시 폐지된 노선들이 첫차 혹은 막차시간대에만 1회 운행하는 형태로 부활한 것으로 보인다. == 노선 == * 하위 문서 : [[익산시 시내버스/목록]] 아래의 체계는 공인된 정보가 아니며, 현존하는 노선 정보들을 토대로 추정한 체계이다. || {{{#ffffff '''첫째자리'''}}} || {{{#ffffff '''둘째자리'''}}} || {{{#ffffff '''부번호'''}}} || || 권역번호 || 일련번호[* [[익산 버스 1]]처럼 없는 경우도 있다.] || 부번호[* 있을 경우에만 붙이며, 앞에 [[하이픈]]이 표기된다.] || ||<-3> || ||<-3> {{{#ffffff '''적용예시'''}}} || ||<-3> {{{#ffffff '''일반버스'''}}} || || 4 || 0 || (없음) || ||<-3> [[삼성동]] ('''4''') 방면으로 운행하는 '''0'''번 일반버스 || || 3 || 5 || - 1 || ||<-3> [[웅포면]] ('''3''') 방면으로 운행하는 '''5-1'''번 일반버스 || ||<-3> {{{#ffffff '''일반버스 권역번호'''}}} || || {{{#ffffff '''권역번호'''}}} || {{{#ffffff '''시내지역'''}}} || {{{#ffffff '''시외지역'''}}} || || 1권역 ||[[익산시]] 동지역 ||[[김제시]], [[전주시]] || || 2권역 ||[[오산면]] ||[[군산시]] || || 3권역 ||<|2>[[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2>[[논산시]] || || 4권역 || || 4권역 ||<|3>삼기면, [[금마면]], 팔봉동, 삼성동 ||<|3> || || 5권역 || || 6권역 || || 6권역 ||<|2>[[춘포면]], [[왕궁면]] ||<|2>[[완주군]] || || 7권역 || || 8권역 ||[[익산시]] 동지역 ||[[김제시]], [[전주시]] || ---- || {{{#ffffff '''첫째자리'''}}} || {{{#ffffff '''둘째자리'''}}} || {{{#ffffff '''셋째자리'''}}} || {{{#ffffff '''넷째자리'''}}} || || 권역번호 || 일련번호 || 0 || 0 || ||<-4> || ||<-4> {{{#ffffff '''적용예시'''}}} || ||<-4> {{{#ffffff '''간선버스'''}}} || || 2 || 2 || 0 || 0 || ||<-4> [[금마면]] ('''2''') 방면으로 운행하는 '''2'''번 간선버스 || || {{{#ffffff '''첫째자리'''}}} || {{{#ffffff '''둘째자리'''}}} || {{{#ffffff '''셋째자리'''}}} || {{{#ffffff '''넷째자리'''}}} || || 권역번호 ||<-2> 일련번호 || 부번호[* 일반버스와 달리 없을 경우에도 0을 붙인다.] || ||<-4> || ||<-4> {{{#ffffff '''적용예시'''}}} || ||<-4> {{{#ffffff '''지선버스'''}}} || || 2 || 6 || 1 || 0 || ||<-4> [[여산면]] (2) 에서 출발하는 61번 지선버스 || || 3 || 3 || 3 || 1 || ||<-4> [[함열읍]] (3) 에서 출발하는 33-1번 지선버스 || ||<-2> {{{#ffffff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권역번호'''}}} || || {{{#ffffff '''권역번호'''}}} || {{{#ffffff '''지역'''}}} || || 1 ||[[익산시]] 동지역 || || 2 ||[[여산면]], [[금마면]] || || 3 ||[[함열읍]] || || 5 ||익산시 시내노선 || * 노선들의 배차간격은 제일 많이 다닌다는 노선은 배차간격이 9분밖에 안될정도로 잘 되어있지만 읍면지역 노선은 보통 1~2시간에 1대 수준이고 아직도 아침, 점심, 저녁 하루 세 번 운행하는 곳이 존재한다. 또한 과거에 비해 설치된 정류소가 많아졌지만 아직 [[BIS]]가 설치되지 않은 정류소가 많고 시간표는 정확하지 않아 주의해야 한다.[* 어느 지역이나 그렇듯이 기점이나 종점에 가까울 수록 시간표에 맞춰 오는 경우가 많으며 정해진 시간을 지키기 위해 주요 정류소 ([[익산역]], [[익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익산터미널]], 북부시장, [[원광대학교병원]], 동익산)에서 정해진 통과 시간이 지날 때까지 정차한 다음 출발한다.] * [[2017년]] [[12월 29일]], 버스정보시스템이 구축되었다. * [[2018년]] [[1월]] BIS를 시범 운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7604&page=2|링크]] * [[2018년]] [[4월]] 신형 BIS기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도착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정식운행한다. * [[2018년]] [[7월 15일]]부터 평화육교 개량공사로 해당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들에 대해 개편을 실시하였다. == 시간표 및 노선 정보 == * [[https://www.iksan.go.kr/index.iksan?menuCd=DOM_000002004001001000|전체 시간표]]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61618|노선별 정류장 목록]] === 초정밀 버스 위치 제공 서비스 === * [[https://bis.iksan.go.kr/#/main/rbs-main|실시간 버스 위치 및 노선]] 2023년 10월부터 BIS 개편 작업으로 카카오버스 등의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제공이 어려워졌으며, 익산시에서 익산시 고유의 버스 위치제공 서비스 누리집을 개설하였다. == 차량 == * 현대자동차 차량 * [[현대 쏠라티|현대 쏠라티 디젤]] * [[현대 카운티|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전기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뉴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디젤]] * [[뉴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뉴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뉴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초저상버스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차량 * [[BS090|자일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BS090|자일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BS090|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BS090|자일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디젤]] * [[BC211|자일대우 NEW BC211 뉴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 우진산전버스 차량 *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 효성에서 개발한 탄소섬유 천연가스버스통을 부착한 버스이다. 이 버스는 익산뿐만 아니라 [[군산시 시내버스|군산시]], [[전주시 시내버스|전주시]]에서도 볼 수 있다. 참고로 익산시내버스는 전주, 군산과는 다르게 [[현대 블루시티]]를 출고하지 않으며, [[저상버스]]의 [[자동변속기]]는 전북답게 100% [[ZF]]다. 그러나 [[현대 일렉시티]]는 출고하지 않는다. 지붕과 지하도와 굴다리 들어갈 때 규격이 맞지 않는다고 한다. 2023년에 대형 전기버스를 대량 도입할 예정이다. 좌석버스에도 중형차가 들어간다. 저상버스는 전부 현대차다. 다만 2009년에 저상버스 도입할 때 신흥여객에서 대우 저상버스를 출고하려고 했던 계획은 있었다. [[행선판]]의 경우 예전에는 전면 상단에 도시 슬로건만 붙여놓고 앞유리 우측 하단에 행선지를 써붙이는 방식이었다가 이 부분에 작은 전광판을 설치하는 형태로 변경됐다. 이후 2020년쯤 도시 슬로건이 있던 상단에 시트지를 제거하고 풀컬러 LED 전광판을 설치해 현재는 대부분의 차량이 이러한 풀컬러 [[행선기|행선 전광판]]을 달고 다니고 있다. == 기타 == 익산시 BIS에 더미 노선이 존재한다. 번호는 5000~5002번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익산시/교통, version=22)][[분류:익산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