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歆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나라의 장수로 진태전에서는 이흠으로 나오지만 후주전에서는 이소(李韶)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아문장으로 249년에 [[강유]]가 병사들을 이끌고 국산에 의지해 두 개의 성을 쌓으면서 [[구안#s-1]]과 함께 그 성을 지켰는데, [[곽회]]와 [[진태]]가 [[서질#s-1]], [[등애]]를 시켜 국산을 포위하면서 식량 수송을 끊었다. 강유가 구원하러 오기 위해 우두산에서 나왔다가 곽회가 진태의 계책에 따라 주소로 진군하면서 강유가 두려워 해 군사를 이끌고 도주하면서 고립된 상황에서 원조가 없었기 때문에 위나라에 투항했다. == [[삼국지연의]] == 상황 자체는 같지만 구안에게 목숨을 걸고 나가서 구원을 청하겠다고 하면서 기병 수십 명을 이끌고 성문을 열고 나가면서 죽기를 무릅쓰고 싸워 홀로 간신히 몸을 뺐지만 심한 상처를 입었으며, 서산의 오솔길로 이틀 간 달려다가 마주 오는 강유의 인마와 만나 국산의 두 성이 위군에 포위되어 물길이 끊긴 상황을 보고했다. 강유는 강병이 모이지 않아 날짜가 늦어졌다고 말하고 이흠을 서천으로 들여보내 상처를 치료하게 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lixin.jpg]] || || [[삼국지 9]] 일러스트 || || [[파일:이흠.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8]]과 [[삼국지 9]]에서 등장했는데 [[삼국지 9]]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8/지력 49/정치력 43의 별 볼일 없는 장수다. 분전, 돌파, 정란을 가지고 있다. 그 이후로 쭉 등장하지 않았다가 [[삼국지 14]]에서 17년만에 재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5, 지력 45, 정치 44, 매력 54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7,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3, 지력이 5 하락했다. 동료인 구안은 삼국지 9 시절 일러로 나온 것과 달리 이흠의 일러는 9 시절과 완전히 다르다. 자세히 보면 전작과는 달리 연두색 두건을 상태에서 두 손으로 창을 든 채 위군과 분투하고 있다. 개성은 축성, 산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구안]],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215년, 몰년은 250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내정용으로 쓰이나 그 대신 축성 개성이 있어서 건설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기가 장점이다. [[파일:전략이흠.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도 등장한다. 단역임에도 꽤 인상깊은 장면으로 나온다. [[분류:촉한의 인물]][[분류:조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