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천의 교량)] ||<-5> '''[[교량/목록|중랑천의 교량]]''' || || 상류 방면 ||<|3> {{{+1 ← }}} || 이름 ||<|3> {{{+1 → }}} || 하류 방면 || ||<|2> [[월릉교]] || '''이화교''' ||<|2> [[이문철교]] || [[파일:external/www.freyssinet.co.kr/20130806_840466301.jpg]] {{{+1 里和橋 / Ihwagyo }}} ||<-2> {{{+2 '''이화교'''}}} || ||<-2> '''다국어 표기''' || || [[영어]] || Ihwagyo || || [[한자]] || 里和橋 || ||<-2> '''관리기관''' || || 이화교 || [[서울특별시]] || ||<-2> '''접속도로''' || ||<-2> 한천로58길, [[봉화산로]]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과 [[중랑구]] [[중화동]]에 있는 [[중랑천]]의 교량. 해당 교량 밑으로 [[동부간선도로]]가 통과한다. 이름은 이 교량의 양측 지명동인 [[이문동]]과 [[중화동]]의 각각 첫글자와 두번째 글자를 따왔다. == 특징 == 이 교량의 중화동쪽 진입로는 현재 꽤 노후됐으며, 교각의 위치가 [[중랑천로]] 진입/진출구간에 있다보니 전고가 높은 차량(특히 [[저상버스]]. 차량 특성상 연료통이 지붕에 있다.)이 지나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것도 중랑천로에서 이 이화교 밑으로 진입시(이화교 밑에서의 진출은 그나마 가능). 그 탓에 중랑구에서는 버스가 다닐만한 구간 중 드물게 저상버스가 제대로 다니지 못한다.[* 이화교 외에는 중랑역에서 상봉역으로 가는 선로가 고가 형태로 되어 있어 해당 선로 아래쪽(도로명: 중랑역로)은 그나마 지대를 낮췄지만, 전고가 높은 차량에겐 아슬아슬한 상황.] == 역사 == 1986년 12월 31일 [[남한건설]]이 준공하였으며, 2010년 9월 1일 [[벽산건설]]이 아치교량으로 재건축을 통해 폭이 9.5m 늘어났다. == 교통 == * [[서울 버스 273]] * [[서울 버스 1122]] * [[서울 버스 2236]] * [[서울 버스 중랑01]] [[분류:대한민국의 나들목]][[분류:중랑천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