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용인시의 중학교]][[분류:200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중학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800_1209116030311714.jpg|width=100%]]}}}|| || 학교 전경 || ||||
'''{{{+1 이현중학교}}}[br]''' || |||| [[파일:images7ESK9FGT.jpg|width=200]] || || 교훈 || 성실 || || 개교 || [[2002년]] [[6월 7일]] || || 설립형태 || [[공립]] || || 교목 || [[소나무]] || || 교화 || 자귀꽃 || || 학생 수 || 1,009명[*기준 2023년] ||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진산로34번길 39 || || 홈페이지 || [[https://www.goeyi.kr/e-hyun-m/main.d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 학교연혁 == || 2002.01.14 ||이현중학교 설치 (30학급) || || 2002.03.02 ||초대 장금산 교장 취임 || || ||제 1회 입학식 245명 및 개교 || || 2007 ||경기도 학생예능경연대회 최우수학교 표창 || || 2008 ||창의적 학교 교육과정 우수교 교육장 표창 || || ||제5회 용인시 학생예능경연대회 관현악합주 · 합창 · 서양음악부분 교육장 표창 || || 2009 ||과학교육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0.03.01 ||제4대 신영숙 교장 취임 || || 2010 ||정보교육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사이버 청정학교) || || 2010 ||학교교육연차보고서 교육감 표창 || || 2011 ||경기도 중학교 과학실험탐구토론대회 학교 표창장 || || 2011.07.14 ||경기도교육감 학교표창 || || 2011 ||제19회 경기도학생과학탐구올림픽 과학동아리활동 발표 전국대회 최우수상 || || 2011 ||녹색성장교육프로그램 운영교 우수상 수상 || || 2012.09.01 ||제5대 여운혜 교장 취임 || || 2013.12.20 ||경기도교육청 선정 영어독서교육으뜸학교 표창(경기도교육감) || || 2015.03.01 ||제6대 김경희 교장 취임 || || 2020.01.07 ||제18회 졸업식 343명 || || 2020.03.02 ||제19회 입학식 385명 || || 2021.01.07 ||제19회 졸업식 356명 || || 2021.03.02 ||제20회 입학식 352명 || || 2021.09.01 ||제7대 윤병찬 교장 부임 || || 2022.01.11 ||제20회 졸업식 341명 || || 2022.03.02 ||제21회 입학식 330명 || || 2023.01.05 ||제21회 졸업식 370명 || || 2023.03.02 ||제22회 입학식 335명 || == 학교상징 == === 교목 === 소나무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를 의미하여 초목의 군자로서 늘 푸른 기상은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상징함. === 교화 === 자귀꽃 화사한 연분홍색이 공작처럼 피어 여름나무의 여왕으로 불리는 꽃으로 화목, 합환, 사랑을 상징함. == 학교 시설 == * 기본적으로 [[크고 아름다운]] 벽돌구조의 ㄱ자 건물이지만,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과학실과 2, 3학년 일부 교실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 특이하게 독서실이 많다. 5층은 책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한 도서실이 있고, 3층~5층에서 자율적으로 자습을 하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열린 독서실 I, II, III 가 위치하지만, 모범생을 제외한 학생은 거의 쓰지 않는편. 점심시간에만 이용가능하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해서인지 거의 열어두지 않아 가고 싶어도 못 가는 경우가 많다--[* 2022년부터는 점심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 [[급식실]]은 신식당과 구식당 총 2개로 이루어져 있다. 1학년 절반과 3학년[* 남녀가 나눠 앉는다]은 신식당, 나머지 1학년 절반과 2학년은 구식당에서 배식한다.[* 2021년까지는 방역지침으로 인해 학생들이 먹는 급식실 위치가 자주 바뀌었지만, 2022년부터는 상술한대로 고정된 상태이다.] * 2020년에는 코로나 19여파로 아예 1칸을 띄우고 앉았지만 이제는 다닥다닥 붙어 앉아서 먹는다. * 2016년 여름방학 중에 급식실 테이블[* 의자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을 교체하였는데, 손으로 위아래로 내리는 기존의 방식에서 손으로 눌러 좌우로 꺼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믿기지 않겠지만, 학교 설립 이후 [[2015년]] 여름방학 이전까지만 해도 '''[[에어컨]]이 없었다!''' 물론 [[급식실]], [[기술실]], [[교무실]]등 다목적실이나 [[교직원]]시설에는 있었지만, 교실에는 '''전혀'''없었다.[* 다만, 2014년 빈 공간에 1학년 2반 교실이 신설되었을때는 [[에어컨]]이 설치되어있었다. --신형 벽걸이 TV는 덤--][* 이런 이유로 교장실 주변을 청소하던 학생이 교장실에서 찬 바람이 새어나온다고 증언할 정도.] 이유는 예산부족. 현재는 모든 교실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여름방학]]이 끝나고 2주 정도는 작동하지 않았다. --한번죽고 또 죽고--] 물론 제어는 교실에서 하지 못한다(...) 히터도 라디에이터뿐이었다 * 2018년 여름 화장실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현중학교에는 각 층마다 화장실이 2개씩 있다. 서편화장실, 그리고 동편(중앙)화장실. 서편화장실은 2018년 8월 말부터 공사를 시작해 2018년 9월 21일 공사가 완료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이며, 동편화장실은 2018년 9월 21일부터 공사가 시작되었다. 한편, 이 화장실공사로 인해서 이현중학교의 2018년 여름방학이 거의 5주에 달했는데, 이로 인해 2학기 1차 지필평가일이 용인시 관내 타 학교보다 약 10~20일 늦어지면서 학생들의 불만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비가 올 시 등교길이 열악하다. 이현중으로 등교하는 방법은 진산로 → 진산로34번길을 경유하는 방법과, 삼성 래미안 아파트를 경유하는 방법이 있는데, 삼성 래미안 5차 아파트 혹은 진산로34번길을 경유하여 학교에 등교할 경우 정문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후문을 이용해야 하는데, 비가 오는 날이면 후문 앞 길이 거의 침수 상태에 이른다. [* 비가오면 돌 타일로 징검다리를 만든다] 단, 이 후문 앞 길이 행정구역상 삼성7차아파트의 사유지라 학교측에서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라 한다. * [[2019년]]~[[2020년]]에 걸쳐 TV, 칠판, 벽 페인트, 사물함을 새것으로 교체하였다 == 기타 == * 축제(이현제)를 실시 중이다. 이전에는 2년마다 개최했지만, 2018년부터는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고, 2021년에는 1,2학년은 교실내 TV로 실시간 시청하였고, 3학년은 유튜브로 시청하였으며, 2022년에 들어 드디어 제대로 축제를 진행하였다! [* 슬픈 점으로는 이현중학교의 3학년생들도 제대로 된 축제를 경험한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 2017학년도 신입생부터 [[자유학년제]]를 실시한다. 또한 2018학년도 이후 경기도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지필고사 실시 학년도 수행평가 비율이 증가했다. * 2019년에 제35회 한국정보올림피아드에 대상1,동상1이 나왔다. * 2019년 12월에는 [[메이즈러너]]로 유명한 할리우드 배우 [[이기홍(배우)|이기홍]]이 진로 강의를 했다. * 옛 체육복 디자인이 굉장히 구리다. 이후 2019년에 디자인 공모전을 하였고, 2021년에 [[아디다스]]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 [[풍천초등학교(경기)|풍천초등학교]] 등의 학교에서 이 학교로 진학하기 빡센 편이다. 이현중에서 특정 초등학교[* 예를 들면 상술한 풍천초.]에서 몇 학년 부터 다닌 사람만 학교로 받아주기 때문.[* 예를 들면, 이현중에 진학하는 학생이 많은 초등학교에서 3학년 이전부터 다닌 사람들만 와라, 이런 식이다. 만약에 3학년 전으로 규정하면 1,2,3학년 때부터 다닌 학생은 전부 올라갈 수 있지만 4학년 부턴 짤리는, 그런 식인데, 문제는 해마다 그 정해놓은 학년이 다르다. 예시로 4학년 때 전학 와서 4학년까지 받아주겠지 하고 신청 넣었다가 3학년 이전부터 다닌 학생만 오라고 하면 이름도 처음 듣는 학교나 '''[[소현중학교]]'''에 진학하게 되는데, 문제는 다른 학교는 고사하고 그나마 가까운 소현중도 이현중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많은 아파트 중 그나마 가까운 곳이 [[수지 진산마을 푸르지오]]라서--진산래미안6차는 어떻게 가-- 온종일 걷거나 차 타고서 가야하는데 심지어 산으로 쌓여 있어서 학교 가는 길 자체가 고역이다.--등교할 때마다 친구들과 강제산악동호회-- 그래서 자기가 짤릴 거라고 예상하는 학생들은 이현중 말고 그나마 가까운 학교에 지원한다.] 대체로 2008년생들이 진학하는 2021년엔 '''1학년 때부터 다닌 학생들만''' 받아준다고 해서 수많은 학생이 낭패를 봤다.[* 한마디로, 자신이 다닌 초등학교를 정식 입학을 했거나 2학년 되기 전에 전학 온 학생들만 갈 수 있는 것. 여태까지 보통 5학년 때부터 다닌 학생들까지만 자르고 4학년 때부터 자르는 것도 가끔이었으니, 2학년 개학 후에 전학 와서 안전빵이겠지 하고 지원 넣은 학생들은 뒷통수 후려 맞은 것이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전체적으로 [[소현중학교]] 와 비슷하게 언덕에 위치하여 학교 코앞까지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수단은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한다. * [[용인 마을버스 11]]: 수지구청역이나 수지1지구(풍덕천1동) 방면에서 등교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청소년 운임은 다른 용인 관내 마을버스와 동일한 740원이다. 배차간격이 다른 마을버스에 비해 짧은 편이며 성원아파트 정류장에서 학교 정문까지 3분 정도의 짧은 거리이므로 이현중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버스이다. * [[용인 버스 5(상현운수)]], [[용인 마을버스 82-1]]: 상현동 방면에서 등교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버스로, 풍덕고 정류장에서 학교 정문까지 도보 6~7분 정도 걸린다. * [[용인 버스 58-2]]: 이현마을 방면에서 등교할 수 있는 버스이나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다. 풍덕고 정류장에서 학교 정문까지 도보 6~7분 정도 걸린다. [[수지구청역]]에서는 버스와 도보시 소요되는 시간이 비슷하다. 진산로를 따라 쭉 걸으면 약 15분 정도 걸린다. 자전거도 학교에서 허가를 받은 후 이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