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항진}}}'''[br]'''李恒鎭'''}}}}}} || || '''자''' ||유중(侑仲, 有仲) || || '''호''' ||소암(素巖) || || '''본관''' ||[[광주 이씨]] (廣州 李氏)[*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칠곡파)-첨정공파 22세 '''진(鎭)''' 석(錫) 항렬.] || ||<|2> '''출생''' ||[[1916년]] [[2월 8일]]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왜관면]] 석전리 귀바위마을[* 인근의 매원리와 함께 [[광주 이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이수택]]도 이 마을 출신이며, [[이수일]]은 관터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2008년]] [[8월 25일]] (향년 92세)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93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이수택]]은 그의 작은아버지이다. == 생애 == 이항진은 1916년 2월 8일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바위마을에서 아버지 이수익(李壽翼)과 어머니 [[창녕 조씨]][* 조병서(曺秉舒)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왜관면 왜관리로 이주하였다. 1930년 왜관공립보통학교(현 왜관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931년에 [[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대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32년, 일제의 황국신민화 교육을 거부하는 동맹휴학을 주도하다 학교 당국으로부터 [[http://chilgok.grandculture.net/chilgok/toc/GC02302002|퇴학 처분을 받았다]]. 그후 귀향하였으며, 같은 해부터 고향 칠곡군에서 [[이석(1910)|이석]]·[[정칠성]]·최소복(崔小福) 등 동지 35명과 함께 독서회 및 노동자야학회를 조직하여 조선의 독립과 [[공산주의]] 사상을 선전·고취하는 등 지하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1937년 12월 이영석(李寗錫)과 함께 농촌진흥조합과 농촌적색농민조합을 조직하여 활동하던 중 1938년 2월 체포되었다가, 1939년 11월 4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공소권 없음]]으로 [[불기소처분]]이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0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00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내려져]]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2008년 8월 25일 칠곡군 [[왜관읍]]에서 별세하였다. 201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그리고 그의 유해는 2010년 10월 11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항진(독립운동가), version=4)]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칠곡군 출신 인물]][[분류:광주 이씨]][[분류:1916년 출생]][[분류:2008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