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 추존왕 및 추존령)] ---- [include(틀:선원선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조선 추존 존령[br]{{{+1 시조고 | 始祖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경단.jpg|width=100%]]}}} || ||<-2> {{{#ffd400 {{{-2 이한의 묘 조경단(肇慶壇)}}} }}} || ||<|2> '''출생''' ||[[713년]] 추정[* [[통일신라]] 중대의 최전성기였던 제33대 [[성덕왕]] 12년 추정. 조선 왕조의 가계 중 생년이 알려져 있는 시조 21세 [[이자춘]]부터 30세 [[정원군]]까지 10명의 생년을 가지고, 추세선을 구해서 추정한 이한의 출생연도이다.] || ||장소 미상|| ||<|2> '''사망''' ||[[754년]] 추정[* [[통일신라]] 중대 말기인 제35대 [[경덕왕]] 13년 추정.] (향년 41세 추정) || ||장소 미상 || || '''능묘''' ||조경묘(肇慶廟)[* [[조선]] [[영조]] 47년.] → 대한조경단(大韓肇慶壇)[* [[대한제국]] [[광무]] 3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한(翰) || || '''호''' ||견성(甄城) || || '''국적''' ||[[신라]] || || '''부친''' ||불명 || || '''배우자''' ||[[시조비]] || || '''자녀''' ||[[이자연(신라)|이자연]] || || '''22대손''' ||[[태조(조선)|태조]] || || '''시호''' ||시조고선공존령[br](始祖考先公尊靈) || || '''관직''' ||사공(司空)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국성]] [[전주 이씨]]의 [[시조]]. 또한 대흥 이씨, 영해 이씨의 원시조이기도 하다. 생년은 미상[* 조선 왕조의 가계 중 생년이 알려져 있는 시조 21세 [[이자춘]]부터 30세 [[정원군]]까지 10명의 생년을 가지고 추세선을 구하면, 시조 이한의 출생년을 약 [[713년]](신라 제33대 [[성덕왕]] 12년)으로 추산할 수 있다.], [[754년]]([[신라]] 제35대 [[경덕왕]] 13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상세 == [[통일신라]] 중대 말기인 제35대 [[경덕왕]] 연간([[742년]]~[[765년]])에 [[사공#s-3.1]](司空) 벼슬을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29대 [[태종 무열왕]] 김춘추의 10세손 김은의(金殷義)의 딸과 결혼해 [[이자연(신라)|이자연]]을 낳았다고 한다.[* 다만 '사공'(司空)은 중국의 관직으로, 한국사에는 고려에 있었지만 통일신라에는 사공 벼슬이 없었다. 신라에는 대신 한자가 다른 '사공'(司功) 관직이 있었는데, 도성의 토목건축사업을 담당하던 전혀 다른 관직이다. ] [* 이 기록도 믿기 어렵다. 태종 무열왕 김춘추의 생년은 [[603년]]이므로, 이한이 제35대 경덕왕 연간에 활동한 인물이라면 기껏해야 4~5세손이 최대이다. 게다가 경덕왕 시대의 사람의 아들이 170년 후인 제56대 [[경순왕]] 시대의 사람이다.] 《태조대왕실록》, 《[[증보문헌비고]]》 등의 기록에 따르면 [[태조(조선)|조선 태조 이성계]]는 이한의 22세손이다. [[이의방]]의 선조이기도 하며, 이성계는 이의방의 동생인 [[이린(고려)|이린]]의 직계 후손이다. [[전주 이씨]] 시조 이한의 선대 조상들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설[* 연대, 작자 미상의 《완산실록》에 중국 기원설이 등장하는데,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보인다.]과 [[신라]]의 토착 성씨인 [[경주 이씨]]에서 분적(分籍)했다는 설 등이 있다.[* 실제로 《경주 이씨 대종보》를 보면, 시조 이알평에서 중시조인 소판공 이거명 사이의 실전 세계를 부록으로 수록하면서, 중간에 전주 이씨 시조인 이한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실전 세계는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합천 이씨]]의 조선 말기에 발견된 족보를 근거로 한 것이다. 다만, 경주 이씨 대종회에서는 신뢰성 문제로 실전 세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즉, 실전 세계는 조선 말기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이알평에서부터 이거명까지의 36대에 이르는 경주 이씨 계보가 어느 날 갑자기 무더기로 발견된 점, 이희두(李禧斗)의 동생으로 '이진두'를 거명하며 '두'(斗)라는 동일 항렬자를 쓰고 있는 점, 동일 항렬자를 쓰는 것은 조선 말기 당시 족보 제작이 유행하면서 정착되었다는 점 등에서 신뢰받지 못하고 있다.] '''《태조실록》 5권(태조 3년 2월 19일 기축 1번째 기사)'''에서는 >'신의 선대는 본디 조선의 유종(遺種)인데, 신의 22대 조상 이한에 이르러 신라에 벼슬하여 사공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이 돌아갈 때 쥐어 보낸 문서 속 내용. 그러니까 중국 황제에게 보낸 서찰의 일종이며, 따라서 화자 신(臣, 신하)은 [[태조(조선)|조선 태조]]가 스스로 낮추어 부른 것이다. [[https://sillok.history.go.kr/id/kaa_10302019_001|참조]]] 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전주부-'''에 >'토성(土姓)이 9이니, 이(李)•최(崔)•유(柳)•박(朴)•전(全)•유(庾)•한(韓)•백(白)이요...'[* '토성'(土姓)이라는 것이 그 지역에 뿌리내린 성씨라는 의미일 뿐 그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라고 되어 있다. 한편 [[1388년]] [[위화도 회군]] 이전에 세워진 이자춘신도비에서는 전주 이씨의 역사를 고려시대 초기의 [[아찬|아간(6등급)]] '''[[이광희(고려)|이광희]]'''(李光禧)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고려시대 초기에는 태조 왕건이 신라 및 태봉의 제도를 섞어서 사용했다.] 이에 따르면 '''이광희 이하로는 실존인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나중에 이광희의 위로 이한-이자연-이천상의 3대가 추가되는데, 《[[인천 이씨]] 족보》에서 퍼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자연(신라)|이자연]]은 이한의 아들이자 시중을 지냈다는 기록, 이자연의 동생으로 '이자상'(李子祥)이 있는데 《전주 이씨 족보》에 이자연의 아들로 이천상(李天祥)이 있으며, 이름은 다르지만 복야를 지냈다는 기록이 같다. 고려 제25대 [[충렬왕]]이 익조 [[이행리]]에게 사족(士族) 가문 출신이라고 언급한 점이나 예전부터 전주 이씨 가문이 계속해서 고려 조정에 [[음서]]로 출사한 점, 그리고 [[고려]]라는 나라가 철저하게 [[세습]] [[문벌귀족]]들이 주도하는 나라였으며, 그들끼리의 이너서클 내에서만 끼리끼리 혼사가 이루어진 점 등을 보면 고려 [[태조(고려)|태조 왕건]]의 증조모 집안이기도 한 [[강(성씨)|곡산 강씨]]([[신덕왕후]]), 고려 왕조 창건때 삼한벽상공신 한란을 배출하기도 한 [[청주 한씨]]([[신의왕후]]) 그리고 [[경주 김씨]]([[정안왕후]]), [[여흥 민씨]]([[원경왕후]]), [[개성 왕씨]]([[무안대군|이방번]]의 처) 등 명문 귀족 가문들과 개경 왕씨 왕가까지 모두 포함한 유수한 기득권 가문들과 지속적으로 혼인해온 [[전주 이씨]] 가문도 신원은 확실하게 보증된 기존 귀족 가문이었고, 더 나아가 고려 왕조의 혈통을 문제삼아 '''폐가입진(廢假立眞)'''이라는 명분으로 왕씨의 고려를 무너뜨리며 일어섰으니 더 말할 건 없지만 왕가로 일어서자 그 격을 더 높이기 위해 당시 최대 명문가인 [[인천 이씨]] 가계를 일부 도용한 걸로 추정된다. == 묘소 조경단 ==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조경단'(肇慶壇)이 바로 이한의 위패를 모신 장소이다. '조경단'(肇慶壇)은 '''조선 왕조가 시작(肇)되는 경사(慶)스러운 곳(壇)'''이라는 뜻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한, version=252, paragraph=1)] [[분류:신라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전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