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 rd1=이학주(동명이인))]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808071622333359_1.jpg|width=100%]]}}} || || '''이름''' || 이학주 || || '''생년월일''' || [[1986년]] [[10월 26일]] ([age(1986-10-26)]세) || || '''출신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 || '''혈액형''' || [[A형]] || || '''가족''' || 2남 중 둘째 || || '''소속''' || [[화승 오즈|화승 OZ]] → 은퇴 || || '''종족''' || [[테란]] || || '''ID''' || dOnGraE[S.G] || || '''별명''' || PC방의 최연성, 피중이[* PC방+최연성의 별명인 '이중이'에서 온 듯하다.], 자동문테란[* [[2006년]] [[12월 2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11|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르까프 VS Pantech 1세트 [[손영훈]]과의 [[http://blog.naver.com/changhan1110/140210529810|경기]]에서 정찰을 하기 위해 [[병영(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배럭]]을 띄우고 [[건설로봇|SCV]]를 정찰 보내려는 순간에 절묘하게 적 병력이 본진에 난입하게 된다. 이 [[실수]]로 인하여 이학주는 큰 피해를 입으며 패배하였으며 마치 [[병영(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배럭]]이 적 병력이 오면 자동으로 열리는 [[자동문]]과 비슷하다고 하여 이학주를 자동문 테란으로 부르게 된다. 이후에도 같은 상황을 자주 허용하면서 별명을 굳히게 되었다.] || || '''팬카페''' || [[http://cafe.daum.net/dOnGraESG|참조]] || || '''방송국''' || [[http://afreeca.com/dongrae|참조]] || || '''종교''' || [[불교]] || [목차] == 주요 성적 == * [[2004년]] 제2회 경남신문배 게임대전 우승 * [[2005년]] 제9회 커리지 매치 입상 *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24강 * [[2007년]]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256강전 16강 * [[2008년]]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 * [[2008년]] [[Clubday Online MSL 2008]] 32강 == 전적 == ||<-4> '''{{{#ffffff 이학주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8전 4승 4패 (50.0%) || 3전 0승 3패 (0.0%) || 11전 4승 7패 (36.4%) || || vs 저그 || 3전 0승 3패 (0.0%) || 8전 3승 5패 (37.5%) || 11전 3승 8패 (27.3%) || || vs 프로토스 || 9전 4승 5패 (44.4%) || 7전 2승 5패 (28.6%) || 16전 6승 10패 (37.5%) || || 총 전적 || 20전 8승 12패 (40.0%) || 18전 5승 13패 (27.8%) || 38전 13승 25패 (34.2%) || == 소개 == [[2004년]] [[11월 11일]], Plus에서 데뷔해 [[화승 오즈]] 때까지 선수 및 코치로 활약한 [[테란]] [[프로게이머]]이다. [[안기효]], [[주영달]]과 함께 각 종족을 책임지는 [[PC방]]의 본좌로 유명했다. [[스갤]]에서는 '''PC방의 [[최연성]]''' 혹은 [[최연성]]의 별명을 따서 '''피중이'''라고 불렸고, [[파이터포럼]]에서는 이를 "연못 속의 괴물"로 옮겼다. [[2005년]]부터 허구한 날 [[PSL|예선]]은 잘 뚫어내면서 막상 방송경기에만 나갔다 하면 맥없는 경기로도 유명했다. [[연습실 본좌]]로 유명한 선수 중 하나. 어떻게 보면 [[고인규]]의 다운그레이드라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 단, [[고인규]]는 이학주와는 다르게 [[MSL]] 본선 진출도 꽤 많이 한 데다 8강에 딱 1번 진출한 적이 있었고,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도 MSL만큼 본선에 진출을 많이 하지는 못했지만 역시 8강에 딱 1번 진출하였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도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부터는 개인전에서도 포텐이 터져서 소속팀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의 새로운 테란 에이스로 등극하였고, 결승전 MVP도 한 번 차지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학주와는 다르게 개인전 방송경기에서도 꽤 잘 했다고 볼 수도 있다. 단지 기존 T1의 S급 테란들이었던 [[임요환]], [[최연성]]의 계보를 이을만한 유망주 시절의 높은 기대치와 비교하면 그 정도의 선수로는 등극하지 못했을 뿐이다.] 하지만 [[2007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에 진출했는데, 하필이면 전 시즌 챔피언 [[이윤열]], 원조 괴물 [[최연성]], [[테란]] 킬러로 이름을 날리던 [[박영민(1984)|박영민]]과 같은 조. 그래도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이 준수한 선수였기에 [[이윤열]]과 [[알카노이드(스타크래프트)|네오 알카노이드]]전에서 희대의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 싸움을 보여주기도 하는 등 나름대로 대등한 싸움을 펼치면서 각성하는 듯 했으나... 결국 재경기 끝에 조3위에 주어지는 [[와일드카드(스포츠)|와일드카드]]조차 얻지 못하고 탈락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는 [[김성곤(프로게이머)|김성곤]] 아니면 [[최가람|최땡땡]]과 함께 [[SKT T1/스타크래프트|SKT T1]]의 [[윤종민]] - [[고인규]]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 조합에 견줄 만한 또 하나의 강력 팀플을 보여주면서 줄곧 [[꼴찌]]만 하곤 하였던 팀을 프로리그 우승까지 이끌었고, 프로리그에서는 개인전보다 팀플전에서 더 많이 활동을 하였다.[* 그래도 한때는 Plus의 유일하다시피 한 테란 선수였던 적도 있다.] 팀플레이가 폐지된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08-09 시즌]]부터는 개인전도 치르게 되었으나, 워낙 팀플을 많이 해 온데다 나이 문제도 있었고, 또한 그 사이 이미 후배 테란 선수들인 [[구성훈]],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시즌 도중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로 이적.], [[손주흥]] 등이 자리들을 차지해 버려서 그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기도 어려워져서 자리를 잡기는 어려워졌다.[* 이 시즌 이학주의 출전 경기는 단 2경기에 불과했는데, 2008년 12월 1일의 [[MBC GAME HERO]]의 [[김동현(스타크래프트)|김동현]]과의 승리 경기, 2009년 2월 17일의 [[하이트 스파키즈]]의 [[김창희(1989)|김벌레]]와의 패배 경기.] 그 대신 주장으로써 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맡았다.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09-10 시즌]]을 앞둔 [[2009년]] [[9월 28일]] 부로 플레잉코치로 보직을 이동, 팀의 [[코치(스포츠)|코치]]로 활동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36/0000016213?sid=144|#]] [[2010년]] [[6월]], 프로리그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사실상 [[은퇴]]하며 팀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언젠가부터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했고, [[제8차 아이템베이 소닉 스타리그]]에 출전함이 확인되었다. 2013년 3월엔 [[아프리카TV]]에서 [[시청자]]를 상대로 사기를 쳤다는 의혹이 나왔다. [[http://www.fishbattle.net/index.php?mid=cm_free&document_srl=13723115|#]] 후배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가 팀플 썰을 언급할 때마다 항상 까인다. 자꾸 "너(김경모) 때문에 팀플 진다"는 식으로 까이는데, 오죽했으면 김경모가 왜 방송에서 그런 이야기를 하냐는 말을 듣게 되면 사과는 하겠지만 왜 없는 사실을 지어내냐는 말을 들으면 사실이라고 반박할 것이라고 할 정도. == 관련 문서 == * [[불교/인물]]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동래구 출신 인물]][[분류:1986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