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이하라 마사미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s-9.1|{{{#ffffff '''1995 AFC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J1리그|[[파일:J1리그 엠블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9em" [[J1리그|{{{#fff '''J1리그 베스트 11'''}}}]]}}} ||<-3>[[틀:1993 J1리그 베스트 XI|1993]] · [[틀:1994 J1리그 베스트 XI|1994]] · [[틀:1995 J1리그 베스트 XI|1995]] · [[틀:1996 J1리그 베스트 XI|1996]] · [[틀:1997 J1리그 베스트 XI|1997]]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이하라 마사미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일본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J리그 20주년 베스트 XI)] ---- [include(틀:J리그 30주년 베스트 XI)] }}} || ||<-3> {{{+1 [[가시와 레이솔|{{{#231815 '''가시와 레이솔'''}}}]]}}} || ||<-3> {{{#fff100 '''柏レイソル'''}}}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sami_National_1.jpg|width=100%]]}}} || ||<-2> {{{#231815 ''' 이름 ''' }}} || {{{+1 '''이하라 마사미'''}}}[br]'''井原 正巳|Ihara Masami''' || ||<|2><-2> {{{#231815 ''' 출생 ''' }}} ||[[1967년]] [[9월 18일]] ([age(1967-09-18)]세) || ||[[시가현]] [[코카시]] || ||<-2> {{{#23181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 {{{#231815 ''' 신체 ''' }}} ||[[키(신체)|키]] 182cm | [[체중]] 74kg || ||<-2> {{{#231815 ''' 직업 ''' }}} ||[[축구 선수]]([[수비수(축구)|수비수]][* [[센터백]]] / ^^은퇴^^)[br][[축구 감독]] || ||<-2> {{{#231815 ''' 학력 ''' }}} ||[[쓰쿠바대학]] (1986~1989) || ||<|2> {{{#231815 ''' 소속 ''' }}} || {{{#231815 ''' 선수 ''' }}} ||'''[[요코하마 F. 마리노스|닛산자동차/요코하마 F. 마리노스]] (1990~1999)'''[br][[주빌로 이와타]] (2000)[br][[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1~2002) || || {{{#231815 ''' 감독 ''' }}} ||{{{-1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23 대표팀]] (2006~2008 / ^^수석 코치^^)}}} [br] [[가시와 레이솔]] (2009~2015 / ^^수석 코치^^) [br] [[가시와 레이솔]] (2009 / ^^감독대행^^) [br] [[가시와 레이솔]] (2013 / ^^감독대행^^)[br][[아비스파 후쿠오카]] (2015~2018) [br] [[가시와 레이솔]] (2019~ / ^^수석 코치^^) || ||<-2> {{{#231815 ''' 국가대표 '''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width=20]]]] 122경기 5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988~1999)^^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현재는 [[J1리그]] [[가시와 레이솔]]에서 [[코치(스포츠)|수석 코치]]로 활동 중이다. 통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출장 122경기로 일본 최초의 [[FIFA 센추리 클럽]] 멤버이며, [[엔도 야스히토]]가 2012년 추월하기 전까지는 일본 축구 대표 역대 A매치 최다 출장자였다. 현재는 엔도, [[나가토모 유토]]에 이어 3위. == 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sami_Nissan_1.jpg|width=100%]]}}} || 고향인 [[시가현]] 고카시에서 소학교 시절부터 축구부에 소속되었으며, 고등학교까지는 공격수였다. 명문 [[쓰쿠바대학]]에 입학한 후 수비수로 전향하여 대학 2학년 때부터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첫 A매치 출전은 1998년 1월의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UAE]] 친선 경기였다. 대학 동기로 [[나카야마 마사시]]가 있었는데, 이때는 나카야마가 수비수로 활약하던 시기여서 센터백 콤비를 이루었다.[* 여담으로 이 둘은 유스 대표팀에서도 센터백 콤비를 이뤘지만 이때는 일본 축구가 그야말로 바닥을 기던 시기로, 이들이 출전한 1986년 AFC 유스 선수권 예선에는 한국에게 지고 아시아 본선조차 못나갔다.] 이하라는 대학 졸업 후 당시 실업팀이던 [[닛산자동차]]에 입단하여 첫해부터 수비수로 주전을 꿰찼으며, 프로화 후에도 계속 후신인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활약했다. 불명예스러운 기록 한 가지는 1993년 5월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제프]]전에서 [[J리그]] 통산 1호 [[자책골]]을 기록한 것이다.[* [[https://youtu.be/0Hw61URRnEo|영상]](3:50부터)] 그러나 1995년에는 시즌 챔피언전에서 [[도쿄 베르디|베르디 가와사키]] 상대로 골을 넣어 마리노스의 연간 우승을 이끌었다. 대표팀에서는 1989년부터 부동의 주전 센터백으로 기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나름 장신 센터백으로서 빼놓을 수 없는 선수였으며, 슈팅도 좋은 편이어서 1993년 월드컵 예선에는 UAE 상대로 2골, 1994년에는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8강전 한국 상대로 [[https://youtu.be/gLPigsNM4M8|중거리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다만 한국전에서는 경기 막판에 [[황선홍]]에게 페널티킥을 내주어 패배의 원흉이 되기도 하였다. 대표팀에서는 1998년 일본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까지 주전 자리를 지켰다. 이후에는 새로 대표팀을 맡은 [[필립 트루시에]]가 강력한 세대교체 드라이브를 걸면서 자국에서의 월드컵까지 가지는 못하였다. 2002 시즌에는 친정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상대로 프로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 지도자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sami_Coach_1.jpg|width=100%]]}}} || 은퇴 후 주로 해설자로 활동하다가 2006년 [[일본축구협회]] S급 지도자[* [[아시아 축구 연맹]] P급에 해당한다.] 자격을 취득하고 [[가시와 레이솔]]에 수석코치로 합류하였다. 2014년까지 가시와에 재직하면서 두 번에 걸쳐 감독 경질에 의한 대행을 맡았다. 2015년에는 [[J2리그]] [[아비스파 후쿠오카]]에서 정식 감독에 취임하였다. 2015년에는 팀을 [[J1리그]]로 승격시키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2016 시즌에는 끔찍한 퍼포먼스 끝에 재강등을 맛보고 이후 J2 상위는 유지했으나 승격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2018 시즌 후 아비스파 감독을 퇴임하였으며, 다시 이전 상사인 넬싱요 밥티스타 감독이 재부임한 가시와 레이솔에 복귀하였다. 넬싱요 감독이 70대의 고령이기 때문에 여차하면 정식 감독 취임을 염두에 둔 것일 수도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1990년대 일본에서는 흔하지 않았던 180cm이 넘는 신장과 피지컬, 스피드를 함께 갖춘 수비수였다. 당장 1998 월드컵 때 이하라와 같이 짝을 이룬 수비수는 170cm대 후반의 오무라 노리오, 아키타 유타카 등이었으며, 2002년에 이하라의 자리를 차지한 센터백 또한 176cm에 불과한 미야모토였다. 때문에 대표팀에서는 통상 센터백 페어를 짜는 수비수에게 상대 센터 포워드에 대한 맨마킹을 맡기고 이하라는 공중볼 다툼이나 클리어링을 하는 역할 분담이 많았다. 1998 월드컵을 앞두고는 마침 한국과 예선을 같은 조에 편성된 것도 있고 하여 함께 전성기를 맞은 한국의 [[홍명보]]와 함께 아시아를 대표하는 리베로 경쟁자로 부각을 받았으나, 실제 홍명보가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상 미드필드의 여러 포지션을 넘나든 것과 대조적으로[* 당장 당시 소속되어 있던 J리그 [[쇼난 벨마레|벨마레 히라쓰카]]에서도 주로 미드필더로 기용되었다.] 이하라는 붙박이 센터백이었으며, 홍명보처럼 경기 중 수시로 미드필드로 침투하는 움직임이 많지는 않았다. 특히 J리그에서는 센터백이 올라가는 변칙 포진이 적기 때문에 J리그 통산 득점도 6점에 그쳤다.[* 물론 예외는 있다.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문서 참고. 한편 홍명보는 일본 출장 경기 수가 이하라의 1/3을 조금 넘는 정도지만 득점은 2배인 12점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일본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각주] [[분류:1967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코카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축구감독]][[분류:쓰쿠바대학 출신]][[분류:요코하마 F. 마리노스/은퇴, 이적]][[분류:주빌로 이와타/은퇴, 이적]][[분류: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은퇴, 이적]][[분류:가시와 레이솔/역대 감독]][[분류:감독 대행/축구]][[분류:아비스파 후쿠오카/역대 감독]][[분류:일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88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1992 AFC 아시안컵 일본 참가 선수]][[분류: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1999 코파 아메리카 파라과이 참가 선수]][[분류:1995 킹 파드컵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