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태직}}}'''[br]'''李泰稙[* 처음에는 이름의 한자를 李泰'''{{{+1 稷}}}'''으로 썼다고 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태직.jpg|width=100%]]}}} || || '''자 / 호''' ||대능(大能) / 경산(耕山) || || '''본관''' ||[[이(성씨)|영천 이씨]](永川 李氏)[* 영동정공파(領同正公派)-감사공파(監司公派) 25세 태(泰) 항렬.] || ||<|2> '''출생''' ||[[1878년]] [[7월 12일]] || ||[[경상도]] [[의성군|의성현]] 산운면 다상동[br](現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의성)|금성면]] 산운리 160번지)[*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427881&docid=0010734628&mngno=BJCA295154&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depth1%3d%25EA%25B2%25BD%25EC%2583%2581%25EB%25B6%2581%25EB%258F%2584%5edepth2%3d%25EC%259D%2598%25EC%2584%25B1%25EA%25B5%25B0%5edepth3%3d%25EC%2582%25B0%25EC%259A%25B4%25EB%25A9%25B4%5earch_tp_id%3d12%5edepth4%3d%25EC%2582%25B0%25EC%259A%25B4%25EB%258F%2599%5eserviceCode%3d1-1-3%5eformType%3dold|1913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1913년 당시 이 지번은 이태직의 첫째 남동생 이태능(李泰能, 1887. 5. 2 ~ 1961. 6. 14)의 소유였다. 2018년 12월 17일 현재 이 지번은 이태직의 종증손자 이시욱(李時旭, 1979. 9. 30 ~ )의 소유이다.] || || '''사망''' ||[[1913년]] [[9월 5일]] || || '''묘소'''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의성)|금성면]] 수정리 산36번지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78년 7월 12일 경상도 의성현 산운면 다상동(現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160번지)에서 아버지 이장수(李章秀, 1858. 2. 22 ~ 1900. 9. 28)와 어머니 [[의성 김씨]](1856. 3. 20 ~ 1914. 2. 21)[* [[학봉 김성일]]의 후손으로, 김진만(金鎭萬)의 딸이다.]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5년 11월 17일 일제에 의해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이에 반대하고 일제를 규탄하는 소회진술문(所懷陳述文)을 작성해 [[이상재]]를 방문해 건네고 대책을 토의하다가 일본 경찰에 문서를 압수당하고 구금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한 뒤 [[일본 제국]] 정부에 보내는 항의문을 작성했으나 이후 발각되어 경찰에 압수당했고, 의성경찰서에 50일간 구금되어 잔혹한 고문을 당했다. 1912년부터는 일제에 대해 [[납세]]와 [[부역]]을 거부했고, 그해 7월 29일 [[메이지 천황]]이 죽자 이때 상복을 입는 것을 반대하다가 다시 의성경찰서에 구금되어 고문을 당했다. 이후 석방되었으나 고문의 여독으로 1913년 9월 5일 별세했다. 198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의성군 출신 인물]][[분류:영천 이씨]][[분류:1878년 출생]][[분류:191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