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rd1=이태영(프로게이머), other2=양궁선수, rd2=이태영(양궁), other3=배우, rd3=이태영(배우))] [include(틀:막사이사이상 수상자)] ||||<-2><#5262ac> '''{{{+1 이태영}}}[br]李兌榮 | Lee Tae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태영 박사.jpg|width=100%]]}}} || || '''본관''' ||[[광주 이씨]] || ||<|2> '''출생''' ||[[1914년]] [[8월 10일]] ||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읍 || ||<|2> '''사망''' ||[[1998년]] [[12월 17일]] (향년 84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 || '''학력''' ||평양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이화여자전문학교]] {{{-2 (가사과 /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서울대학교]]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2 (법학 / 석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2 (법학 / 박사)}}}[br][[이화여자대학교]] {{{-2 (법학 / 명예박사)}}} || || '''경력''' ||가사심판법 기초위원[br][[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br][[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교수[br][[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장[br]한국여성유권자연맹 기초발기위원[br]국제법률구조연합회 부회장[br]여성가족법개정촉진회 부회장[br]국제법률가위원회 위원[br][[통일부|통일원]] 고문 || || '''가족''' ||배우자 [[정일형]], 아들 [[정대철]], 손자 [[정호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m9NqdYDGh2w)] 2000년 12월 13일 KBS1 <수요기획> 방영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이자 독립운동, 인권운동, 민주화운동에 큰 기여를 한 사회운동가이다.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도산 [[안창호]]의 연을 통해 남편 [[정일형]]과 결혼한 후 일제를 상대로 모진 고문을 받는 등 [[광복]] 당시까지 항일활동을 했다. 해방 이후 법 공부를 원했던 본인의 뜻을 이뤄 1952년 제2회 [[사법시험|고등고시 사법과]]에 [[홍일점]]으로 합격하였다. 이후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의 추천으로 최초의 여성 [[판사]]가 될 뻔 하였으나 남편이 야당 의원이라는 이유로 [[이승만]]이 반대하여 결국 판사로 임용되지 못하고 변호사가 된다.[* 참고로 여성 최초로 [[판사]]에 임명된 인물은 [[황헌]]의 8촌손녀이기도 한 제3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한 황윤석이다. 1954년 [[서울지방법원]] 판사에 임명되었다. 한편 여성 최초의 [[검사(법조인)|검사]]는 1980년 22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조배숙]](임명 당시 서울지방검찰 검사), 박숙경(당시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이다. 이후 조배숙은 판사로 전직하여 판사로도 근무하였으며 법복을 벗은 후에는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한국가정법률상담소를 설립하여 가정 내의 법적 분쟁 해결에 힘썼으며, 가정법원설립청원, [[호주제]]폐지운동, [[동성동본]]결혼가능운동 등을 직접 주도하며 당시 전국에 만연해있던 [[유교]]질서에서 비롯된 [[성차별]]과 불평등의 해소를 위한 수많은 사회운동들을 이끌었었다. 뿐만 아니라, 3.1 민주 선언 서명에 적극 참여하고 민주화 운동가들의 변호에도 활발하게 참여한 덕에 이태영을 반독재 민주화운동가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실제로 1980년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때는 [[김대중]]의 증인으로 출석해 '''군 검사'''를 향해 호통을 치는 패기를 보여주기도 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81700289106001&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08-17&officeId=00028&pageNo=6&printNo=3273&publishType=00010|#]] 사후 5만원권 인물 선정작업이 한창 이루어질 즈음 국회 여성의원을 상대로 한 여성인물 적격성 설문에서 여성의원들의 선호 후보로 [[신사임당]]을 이어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결국 신사임당이 5만원권의 인물로 채택되었지만, 이태영이 '''근현대'''의 산 증인[* 근현대 인물들은 특유의 정치 노선과 과실로 인해 평가가 크게 상반되는 경향이 있어, 지폐 후보자에서 쉽게 탈락하곤 한다.]인 것을 감안하면, 얼마나 대단한 인물인지 알 수 있다. == 학력 == * 1932년 [[평양]]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가 세운 [[미션스쿨]].] 졸업 * 1936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졸업 * 1949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 195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196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 상훈 == * 1971년: 제1회 법을 통한 세계평화상 * 1975년 [[막사이사이상]] * 1982년: [[유네스코]] 인권교육상 * 1984년 국제변호사협회 국제법률봉사상 * 장한어머니상 * 법률문화상 * 1989년 브레넌 인권상 * 199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1990년 3‧1문화상 * 제3회 세계법률구조상 * 세계[[감리교]] 평화상 * 1991년 제1회 자랑스런 서울대인으로 선정 == 저서 == * 《여성을 위한 법률상식》 * 《가정법률상담실기》(1958) * 《한국 [[이혼]]제도 연구》(1969) * 《[[북한]]의 여성생활》 * 《여성으로 태어나서》 * 《여성운동사》 * 《현대여성의 모럴》 * 《여성을 위한 법률상식》(1972) * 《쪽박으로 [[한강]]물을》(1985) * 《차라리 [[명성황후|민비]]를 변호함》 * 《나의 만남 나의 인생》(1991) * 《가족법개정운동 37년사》(1992) * 《북한 여성 연구》 * 《정의의 [[변호사]]가 되라 하셨네》 == 참여 운동 == 1970년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국제법률구조연합회 이사가 되고 같은 해 국제법률구조연합회 부회장에 선출 되었다. 1971년 가정법원 조정위원으로 재직 중 신민당에 입당하였다. 또한 1971년 '법을 통한 세계평화센터'로부터 '법을 통한 세계 평화상'을 받았다. 1973년 세계여자변호사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남편인 [[정일형]]과 함께 1974년 11월 민주회복 국민선언에 참여하였다.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3.1 민주선언 서명]]에도 적극 참여했다고 한다. 또 수많은 민주화 유공자들을 법적으로 변호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여성인권, [[여성운동]]에 주력하여, 1989년 [[가족법]] 개정의 발판을 마련했다. 가족법 개정운동을 추진하여 이혼녀의 재산분할 청구권 인정과, 기존의 친척 관계를 모계·부계 혈족을 모두 8촌 이내로 축소할 것을 요구했다. 그 밖에 '''[[호주제]] 폐지'''[* 남편인 [[정일형]]이 운동에 같이 참여했다.], 부모친권, [[동성동본]] 결혼금지 제도의 폐지 운동을 주관하였다. 이와 같은 운동 때문에 [[남존여비]]적인 성리학자들은 "인간관계와 질서를 어지럽힌다"고 그녀를 맹비난했다. 또한 1976년 국내외 여자 정치인 및 여자 지식인 100명의 서명·동의 지원을 얻어 [[서울]]에 여성운동가들의 회관인 여성백인회관 건물 부지를 매입,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 해에 3월 3·1 민주선언에 참여 하다가 이듬해인 1977년 실형을 받아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했다. 그뒤 [[여성운동]]에 전념하고 있었는데 1980년 복권해 변호사 자격을 돌려받았다. == 일생 == 2살 때 광산업을 하던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와 두 오빠 밑에서 어렵게 자랐지만, '''"아들이든 딸이든 공부만 잘하면 대학에 보내주겠다"'''는 어머니의 말에 용기를 얻어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를 졸업한다. 결혼 후 남편의 응원으로 1946년, [[30대]] 시절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여 1952년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한다. 하지만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야당 의원 [[정일형]]의 아내라는 것을 트집 잡아 [[판사]] 임용을 거부하자 1954년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다.[* 1958년에는 김흥한, 장대영 변호사와 함께 국내 최초의 로펌인 김장리 법률사무소를 설립했으며, 김장리는 법무법인 양헌(영문명 김장리)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가, 다시 법무법인 김장리로 변경되어 운영 중이다.] 최초의 여성 변호사이자 야당 [[국회의원]]의 아내라는 프리미엄 때문에, 소박맞은 아내, [[첩]], 시국사범들이 그녀의 변호사 사무실을 찾아오게 되었다. 이태영은 이들을 변호하면서 법률이 남성에게 유리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서는, [[가족법]] 개정과 [[호주제]] 폐지운동에 앞장서며 1994년까지 활동하다가 [[은퇴]]한다. 1996년에 [[당선]]을 장담했던 아들 [[정대철]]이 [[KBS]] 9시 뉴스 앵커 출신의 [[신한국당]] [[박성범]] 후보에게 패해 [[낙선]]하자 정신적 충격이라도 받았는지, 그에 따른 악영향으로 [[노환]]까지 겹쳤는지는 몰라도 [[치매]]에 걸려 2년간 가족도 못 알아보고 지내다가 [[1998년]] [[12월 17일]]에 별세했다. 향년 84세. [[장면]], 남편 정일형과 함께 [[김대중]]의 최대 후원자이자 정치적 선배로 꼽을 수 있는 사람이다. 정일형이 김대중과 같은 계보에서 활동한 인연도 있었겠지만, 민주당 대변인으로 활동하다가 [[5.16 군사정변]]으로 의원직을 상실해 폐인처럼 지내던 김대중에게 자신의 후배이자 비서 [[이희호]]와의 [[결혼]]을 주선한 사람도 바로 이태영. 1998년 사망 후, [[서울특별시]]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묘역에 남편과 함께 합장되었다. 사실 단독안장 자격도 충분히 되었으나 본인의 유언인 듯 하다. [[파일:external/www.google.co.kr/lee-tai-youngs-101st-birthday-4758285655736320.2-hp.jpg]] 2015년 8월 10일에 올라온 탄생 101주년 기념 [[구글 두들]]. 좌측에는 [[호주제]] 폐지 및 가족법 개정을 위해 애쓴 법조활동을, 우측 상단에는 저술 및 학문활동을, 우측 하단에는 가정법률상담소를 운영하며 여성 및 가정문제 관련 상담활동을 하던 장면을 담았다. 여담으로, 생전에는 아직 여성 [[변호사]]가 증가하기 이전 시기라 [[사법시험]] 여성 합격자들이 [[사법연수원]] 입소 전후로 단체로 인사드리는 일이 잦았다. == 기타 이야깃거리 == [[가족법]] 개정안 진정서를 들고 당시 [[대법원장]]인 [[김병로]]를 찾아가자 김병로가 "1,500만 여성들이 불평 한마디 없이 다 잘 살고 있는데, 법률줄이나 배웠다고 건방지게 법을 고치라고 나서다니!"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승만]]이 판사 임용을 거부할 당시 이태영을 임용할 것을 건의한 사람이 김병로였다는 것이다. 판사 임용을 건의할 권한이 대법원장에게 있긴 했지만 말이다. 이태영이 그 시절 여성으로서는 매우 드물게 고등교육을 받고 최초의 여성 변호사가 된 데에는, 남편 [[정일형]]의 공이 컸다. 여성이 일방적으로 남편의 내조에 힘쓰는 게 당연시 되던 시대였지만, 정일형은 아이까지 낳은 아내가 대학(서울대 법대)에 진학하는 것에 찬성했고 아내가 갓난아이에게 젖을 줄 수 있게 아이를 데리고 아내가 공부하는 대학에 드나드는 등 외조를 열심히 했다. == 가계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일형, 앵커=가계도)] == 관련 문서 == * [[실향민/대한민국]] [[분류:동명이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여성운동가]][[분류:운산군 출신 인물]][[분류:광주 이씨]][[분류:1914년 출생]][[분류:1998년 사망]][[분류:실향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