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期一振 [목차] == [[일본도]] [[태도]] 중 하나 == [[파일:Ichigohitofuri.png]] 사진은 게임 내 본체 모형을 본뜬 레플리카. 이치고히토후리 진검은 황실어물이라 세간에 공개되지 않는다. ||||||||<:><#424242> '''{{{#white 이치고히토후리(一期一振)}}}''' || ||<:><#E0E0E0> '''도공''' ||<:> 아와타구치 요시미츠(粟田口吉光) ||<:><#E0E0E0> '''도파''' ||<:> [[아와타구치]](粟田口)|| ||<:><#E0E0E0> '''제작 시기''' ||<:> [[가마쿠라 시대]] ||<:><#E0E0E0> '''종류''' ||<:> [[타치]] || ||<:><#E0E0E0> '''길이''' ||<:> --86 ㎝-- → 69 ㎝ ||<:><#E0E0E0> '''현존 여부''' ||<:> [[일본 황실]] [[고쿄|산노마루쇼조칸(三の丸尚蔵館)]] || ||<:><#E0E0E0> '''명문''' ||<:> 吉光 ||<:><#E0E0E0> '''문화재 등록''' ||<:> -[* 일본 황실의 소유물이란 이유로 문화재보호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 || 이름의 뜻은 '일생에(一期) 단 한 자루(一振)'. 이치고히토후리를 만든 장인인 아와타구치 요시미츠(粟田口吉光)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마사무네, 고우노요시히로와 함께 '천하의 세 명인'으로 일컬어지는 명공이었는데, 단도 제작의 명수였다. 그런 그가 일평생 만든 태도 중 최고 명작의 태도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요시미츠가 만든 작품 중 후기의 것이라 한다. 요시미츠의 정확한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마쿠라 중기(13세기) 인물이므로 만들어진 시기는 대충 그쯤으로 예상할 수 있다. 원래 아사쿠라 가문 소유였지만 아사쿠라씨 멸망 후 모리 가문의 소유가 되었고, [[모리 테루모토]]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바쳤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작은 체구에 맞추어 원래 2척 8촌 3분(약 86 ㎝)였던 검신을 2척 2촌 7분(약 69 ㎝)로 다듬었다[* 다만 여러 가지 사실 관계를 토대로 검증하면 도신을 짧게 다듬은 때는 히데요시 사후인 듯하다. 아예 도신을 줄였다는 말 자체가 자체가 후대의 창작이라는 설도 있다. 도신의 명문, 히데요시가 죽은 이후에 그의 키에 맞추어 다듬을 이유가 없는 것, 다른 장수들의 검들도 이치고히토후리와 비슷한 길이였다는 점 등을 따져 보면 현재는 원래부터 지금의 길이였다는 설이 거의 확실시된다.]. 히데요시 사후에는 1615년 오사카 여름 전투[* 1657년 메이레키 대화재에서 불탔다고도 하나, 대화재 당시 소실품에 대한 기록과 오와리 도쿠가와가의 기록에 의하면 1615년 오사카 여름 전투에서 불탄 것이 확실하다. 오기재된 것은 이치고의 우츠시가 불탄 데에서 왔을 가능성이 있다.]에서 불탄 것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거두어 복원하였다.[* 한번 재담금질하여 복원된 칼은 강도가 약화되어 사물을 베는 원래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그 뒤 오와리 도쿠가와 가에서 보관하다가 1863년 황실에 헌상되어 어물(御物)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재보호법의 보호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일본의 국보]]나 [[중요문화재]]가 아니라는 얘기...] 몇몇 문서에서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天下一振吉光)라 불렸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와 이치고히토후리가 같은 검인지는 이견이 갈린다.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는 본래 [[마츠나가 히사히데]]가 1568년, [[아시카가 요시아키]]에게 헌상한 검이다.[* 足利季世記(아시카가 키세키) 기록] 이는 상기에 기재된 이치고히토후리의 이력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 아사쿠라씨 멸망은 1573년이므로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아사쿠라 가문에 이 검을 하사하였을 가능성도 있으나 그 어떤 기록도 없어 확신할 수 없다.]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가 이치고히토후리와 동일검이라는 확실한 언급도 특별히는 없다. 다만 당시 사람들이 요시미츠의 태도가 이치고히토후리 한 자루라 생각했다는 점이나, 그 당시 유명했던 요시미츠의 태도가 이치고히토후리 한 자루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치고히토후리가 텐카히토후리가 아닌가 하는 설이 제시된 듯하다. 무로마치 시대 전의 기록에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가 [[오니마루 쿠니츠나]]대신 [[천하오검]]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이건 이에 대해 기록한 문헌이 하나 뿐인데다가 그마저도 동일 작가가 나중에 쓴 책에선 전혀 그러한 내용이 없기에 실수라는 의견이 정설이다. 아마도 오니마루를 만든 도공인 쿠니츠나와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의 도공이 같은 아와타구치파의 도공이라는 점에서 온 혼동인 듯하다. 결론적으로 이치고히토후리와 텐카히토후리 요시미츠가 같은 검이라는 증거는 딱히 없다. == [[도검난무]]의 등장 캐릭터 == [[이치고히토후리(도검난무)]] [[분류:일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