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공동주택)] [[파일:이촌 현대아파트.jpg|width=100%]] ||<-2> [[파일:현대아파트 로고(1978-1993).svg|height=4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이촌현대아파트, 너비=100%)]}}} || || '''명칭''' || '''이촌현대아파트[* 등기부상 현대맨숀]''' || || '''영문 명칭''' || Ichon Hyundai Apt.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현대아파트]]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303 ([[이촌동]]) || || '''입주''' || 1974년 12월 || || '''동수''' || 9개동 || || '''층수''' || 지상 12~15층 || || '''세대수''' || 653세대 || || '''면적''' || 60-85㎡, 85-135㎡, 135㎡ || || '''주차대수''' || 261대 (세대당 0.39대) || || '''시공사''' ||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4306_p.jpg|width=100%]]}}} || || '''[[동작대교|{{{#fff 동작대교}}}]] {{{#fff 북단 방향에서 바라본 이촌 현대아파트}}}'''[* 뒤에 있는 고층 건물은 [[래미안 첼리투스]]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대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분리되기 이전에 [[현대건설]]의 이름으로 처음 건축한 '''최초의 [[현대아파트]]'''. '''부자들이 사는 아파트'''라는 현대아파트의 이미지는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유명하지만 이 아파트도 그에 못지 않은 부촌이다.[* 압구정이 강남이어서 가려져서 그런거지 이촌동 쪽은 용산구에서도 땅값이 매우 비싼 곳 중 하나이며 강남과 맞먹을 정도다.] == 주변 정보 == 이 아파트 바로 앞에는 [[아산의료원]] 계열의 [[금강아산병원]]이 있으며, 금강병원 바로 옆에는 [[래미안 첼리투스]](구. 렉스아파트)가 있다. [[동작대교]]를 넘어서면 [[온누리교회]]와 [[서빙고 신동아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 역사 == 이 아파트는 '''현대'''라는 이름을 달고 지은 첫번째 아파트였던 만큼 현대건설은 수요자의 취향에 맞춰 건물 배치부터 재료 선택, 조경, 부대시설을 포함해 모든 면에서 최고의 주거환경을 구현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1973년]] 7월부터 공사에 착수해 [[1975년]] 11월까지 총 3차에 걸쳐 12~15층 건물 8개동과 상가 건물들을 지었다.[* 참고로 현대건설 70년사에 따르면 당시 세대수는 607세대였다고 적혀있다. 그런데 대다수의 부동산 정보에 따르면 이 아파트의 세대수는 653세대이다.] 분양 역시 3차에 걸쳐 진행됐는데 첫 분양에선 그닥 이득을 보지 못 했지만 점차 입소문을 타면서 2차, 3차 분양에서 대박이 터졌다. 그리고 이 성공에 자신감을 얻은 현대건설은 [[한강]]변의 모래밭에 불과했던 [[압구정동]]으로 시선을 돌리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압구정 현대아파트|모두가 아시다시피 대성공]]. == 리모델링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촌 현대아파트의 리모델링 아파트, rd1=르엘 이촌)] 하지만 아무리 잘 지은 아파트라고 해도, 세월의 흐름을 비껴갈 수 없었다. 지은지 약 30년이 넘기 시작하는 [[2000년대]] 중반부터 [[재건축]]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지만 별 진척이 없었고, 그 사이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던 렉스아파트는 재건축에 성공해 [[래미안 첼리투스]]라는 초고층 아파트로 --진화--탈바꿈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9845_15877_269.png|width=100%]]}}} || || '''르엘 이촌 조감도''' || 르엘 이촌 리모델링 조감도. 그러다 [[2010년대]]부터 재건축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첼리투스처럼 초고층 주상복합으로의 재건축이 막히게 되자, 주민들은 재건축보다 요건이 덜 빡센 [[리모델링]]으로 눈을 돌렸고, 사용허가가 나온 1974년으로부터 거의 47년만인 [[2021년]] 9월부터 리모델링을 시작할 예정이다. 본래 리모델링은 [[2015년]]에 [[포스코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었으나, 리모델링 조합과의 갈등 끝에 [[2020년]] 계약을 해지했다. 그리고 [[롯데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됐다. 2021년 8월 주민 이주가 진행중이며, 리모델링이 완료되면 [[르엘]] 브랜드를 달게 될 예정이다. == 여담 == 이 아파트는 최초의 현대아파트라는 상징성이 있음에도 현재의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모두 자신들의 역사를 설명할 때는 [[압구정 현대아파트]]를 더 강조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가장 유명하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그나마 창립 70주년 기념으로 낸 현대건설 70년사에서 '''서빙고 현대아파트'''라는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 현대아파트지만 엘리베이터는 [[동양에레베이터|동양엘리베이터]]를 운용하였다. 중간에 한 차례 교체한 것이라곤 하지만 애초에 이 아파트 자체도 1984년 설립된 [[현대엘리베이터]]보다 훨씬 먼저 생겼다. 상가 및 대로와 접한 동들은 아파트 로비가 2층부터 시작하였다. 처음 지었을 당시에는 '''현대맨숀'''이라는 이름이었다. 그 때문인지 지금도 종종 뉴스 기사에서 '현대맨션'이나 '[[https://m.richgo.ai/realty/danji/a7REdAQ|현대맨숀]]'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류:용산구의 공동주택]][[분류:1974년 건설]][[분류:대단지 아파트]][[분류:힐스테이트]][[분류:아이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