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우, rd1=이채운(배우))]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스노보드)] ---- ||<-2>
'''{{{+1 이채운}}}[br]Lee Chae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채운_20230303.jpg|width=100%]]}}} || || '''출생''' ||[[2006년]] [[4월 11일]] ([age(2006-04-1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상봉초등학교]][*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소재] {{{-2 (졸업)}}}[br][[봉담중학교]] {{{-2 (졸업)}}}[br][[수리고등학교]] {{{-2 (재학)}}} || || '''종목''' ||[[스노보드]] || || '''신체''' ||172cm, 63kg || || '''SNS''' ||[[https://www.instagram.com/lilkeytak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lilkeytaki139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스노보드#s-2|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선수. == 선수 경력 == === 유년 시절 ~ [[2022년]] === 6살 때 스노보드를 처음 접했으며 10살 때부터 본격적으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9&aid=0005094020|인터뷰]]에서 이채운은 "처음 스노보드를 접했을 때 선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어느 날부터 밤낮없이 스노보드가 떠올랐고 이보다 더 하고 싶은 건 없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어 선수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자는 시간을 빼고 스노보드만 생각할 정도로 지금도 푹 빠져 있다"고 웃으며 말했다. 출전하는 대회마다 상을 휩쓸며 '스노보드 신동'으로 주목받아왔고, 2020년 평창에서 열린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아시안 컵에서 국가대표 선수들을 모두 제치고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아시안 컵 초대 대회 우승자에 오르는 쾌거를 일궈냈다.[* 이 대회에서 이준식이 86점으로 2위, 이광기가 83.25점으로 3위를 차지하며 한국 선수 3명이 모두 포디움에 올랐다.] 2021년 주니어 세계선수권 남자 스노보드 하프파이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22년 1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매머드 마운틴에서 열린 월드컵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스위스 락스에서 개인 훈련을 소화하던 도중 독일 선수의 갑작스러운 불참으로 추가 출전권을 얻어 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전체 남자 선수 중 최연소 선수가 되었다.[* 이채운의 출전이 확정되기 전에는 [[이승훈(프리스타일 스키)|이승훈]]이 한국 선수단 최연소였으며, 여자 선수까지 포함하면 [[카밀라 발리예바]]에 이어 두 번째로 최연소다.] 예선에서는 세 번째 점프까지 완벽하게 마무리했으나 마지막 점프에서 착지에 실패하며 [[https://youtu.be/ozxzaMmuvhQ|18위]]를 기록했다. 1년에 절반 이상의 시간을 해외에 머무르며 스노보드 훈련에 매진했으며, [[https://youtu.be/ZT4dXExbe1w|남다른 목표 의식과 열정]]을 보였고 첫 올림픽 출전을 이뤄냈다. === 2022-23시즌 === 두 차례 월드컵에서 4위에 오르며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 조지아 바쿠리아니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결선에서 93.5점을 받아 생애 처음으로 나선 성인 세계선수권대회에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11722449|정상에 올랐다.]] 이는 '''한국 스키·스노보드 사상 첫 세계선수권대회 입상이자 첫 금메달'''이며,[* 이전까지 한국 스키·스노보드의 세계선수권대회 역대 최고 순위는 2017년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듀얼 모굴의 서지원과 2021년 스노보드 알파인 남자 평행대회전의 김상겸이 기록한 4위다.] [[국제스키연맹]]에 따르면 이 수상으로 만 16세 10개월의 이채운은 '''스노보드 세계선수권대회 역사상 남자부 최연소 챔피언'''으로도 이름을 새겼다.[* 이채운은 이번 대회 결선에 오른 10명 중 가장 나이가 어린 선수이기도 했다.] [[https://youtu.be/iEnERF1vqwE|경기 및 수상영상]] 이채운은 3차 시기에서 양방향 1440도 회전을 연이어 구사했는데,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3791924|경기후 인터뷰]]에서 "실전에서는 처음 성공하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어 "제 우상인 제임스와 함께 출전한 대회에서 우승해 더 뿌듯하다. 제임스가 경기를 마치고 '네가 최고'라며 축하 인사를 해줬다"라고도 전했다. [youtube(zp5quqYEeOs)] [youtube(iEnERF1vqwE)] === 2023-24시즌 === [youtube(h_G0Mx6CQ-Q)] 2023년 12월 2일 [[베이징]]에서 열린 스노보드 빅에어 월드컵에서 6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8일 [[장자커우]]에서 열린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자신의 월드컵 시리즈 첫 메달이다.] == 수상 기록 == ||<-3>
[[파일:FIS.pn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23 바쿠리아니 || 하프파이프 || ||<-3> [[파일:FIS.png|width=25]] {{{#fff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22 리상 || 하프파이프 || || 동메달 || 2021 크라스노야르스크 || 하프파이프 || || 동메달 || 2022 리상 || 빅에어 || ||<-3> [[파일:FIS.png|width=25]] {{{#fff 월드컵 시리즈}}} || ||<-3> ''{{{#386961 2023–24 시즌}}}'' || || 동메달 || [[장자커우]] || 하프파이프 || == 방송 == ||
'''연도''' || '''방영일''' || '''방송사''' || '''프로그램''' || '''링크''' || || 2018년 || 2월 1일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세상에 이런일이]] || [[https://www.youtube.com/watch?v=GwQMJCchBF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2023년 || 4월 11일 || [[SBS 나이트라인]]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48723|[[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4월 19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https://www.youtube.com/watch?v=YClHKg2aH6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기타 == * 김수철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대표팀 감독은 이채운에 대해 "타고났다. 재능만큼은 한국에서 한 명 나올까 말까 한 수준이다. 집중력과 퍼포먼스는 현역 국가대표 선수들 못지않다. 이해가 빠르고 대담성도 남달라 부상만 조심한다면 언젠가 세계적인 판도를 흔들 수 있는 재목"이라며 극찬했다. * 2022년 12월부터 [[롯데그룹]]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12709?sid=101|후원]]을 받고 있으며 학창 시절 스키 선수로 활동하는 등 설상 종목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스키·스노보드 팀을 창단하면서 선수들이 경기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모든 일정이 끝난 뒤 올드스쿨 힙합을 듣는 것을 꼽았다. 특별한 이유는 없고 올드스쿨 힙합을 들으면 그냥 기분이 좋아진다고 한다. * 2023년 4월 28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 [[키움 히어로즈]] 경기에서 시구했다 . 시타, 시포는 프리 스타일 스키 국가대표 [[이승훈(프리스타일 스키)|이승훈]], 정대윤 선수였다. [[https://youtu.be/aMebi9T3yp8|영상]] * 2023년 9월 스노보드 국가대표 최가온 선수와 함께 [[신한카드]]의 [[http://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6976|후원]]을 받게 되었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스노보드 선수]][[분류:2006년 출생]][[분류:수리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스노보드 참가 선수]][[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