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분류:1963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관악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3333" {{{+2 '''이창우'''}}}[br]'''Lee Chang Woo | 그래픽 디자이너'''}}} || ||<-2><#FFFFFF,#19191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창우작가.png|width=100%]]}}} || ||<|2> '''출생''' ||[[1963년]] 2월3일(음력)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https://leechangwoo.net/|더스튜디오]] 대표,언폴드앤아키대미 대표교수 || || '''학력''' ||[[관악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졸업 || || '''종교''' ||[[가톨릭|천주교]]{{{-2 ([[세례명]]: [[게오르기우스|제오르지오]])}}} || || '''가족''' ||배우자(김지희[* 디자이너, 숙명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 졸]), 자녀([[판다곰|PandaGomm(이경수)]], 이경철[* [[https://studioduggubi.com/|스튜디오두꺼비]] CEO]) || || '''링크''' ||[[https://leechangwoo.net/]]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changwoo.jpg|width=100%]]}}}|| ||<#333333> '''{{{#fff 이창우의 작업}}}''' || 대한민국의 시각디자이너 겸 일러스트레이터. 이창우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1988년부터 (주)엘지애드에서 광고를 제작한다. 광고크리에이티브와 동시에 인연을 맺고 있었던 음악인들과 연극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당시 대학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대중문화의 확장과 발전에 동행한다. 이 당시 맺어진 [[김광석]][[https://www.donga.com/news/Entertainment/article/all/20160824/79946004/1|과의 인연]]으로 [[다시 부르기 1|다시 부르기]], [[김광석 네번째]] 등 음반과 공연의 아트디렉터로 참여했으며, 극장 학전의 아트디렉터로서 학전에서의 공연들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등의 아트디렉션을 진행한다. 이창우는 계원조형예술대학과 힐스(한국일러스 트레이션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양성에 힘써왔으며, [[https://leechangwoo.net/|더스튜디오]]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다양한 영역에서 꾸준한 크리에이티브 활동을 펼친다.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2014년 교황 프란치스코의 방한]] 책임 아트디렉터로 참여했으며[[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261604|(관련기사)]], 그가 작업한 교황 캐리커처가 국제적인 인기를 끌었다.[[https://imnews.imbc.com/replay/2014/nwdesk/article/3510050_30324.html|(관련기사)]] 또한 2020 한성 백제 문화제 아트디렉션[[https://leechangwoo.net/2020-%ED%95%9C%EC%84%B1%EB%B0%B1%EC%A0%9C%EB%AC%B8%ED%99%94%EC%A0%9C-%ED%8E%98%EC%8A%A4%ED%8B%B0%EB%B2%8C-%EC%95%84%EC%9D%B4%EB%8D%B4%ED%8B%B0%ED%8B%B0|(링크)]], 2022 궁중문화축전 페스티벌 아트디렉션[[https://leechangwoo.net/2022-%EA%B6%81%EC%A4%91%EB%AC%B8%ED%99%94%EC%B6%95%EC%A0%84-%ED%8E%98%EC%8A%A4%ED%8B%B0%EB%B2%8C-%EC%95%84%EC%9D%B4%EB%8D%B4%ED%8B%B0%ED%8B%B0|(링크)]] 등 현재까지 일러스트레이션과 그래픽 디자인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활동 == === [[https://www.youtube.com/@user-px1ov7id6k|미술사크랙]] === 서양미술사 인문학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px1ov7id6k|미술사크랙]] 운영 >'크리에이티브디렉터 이창우의 미술사크랙'입니다. > >서양미술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다룹니다. >가려져 있던 예술가들의 삶, 미술사조 형성의 시대적 근거, 미술사의 걸작들이 품고있는 수많은 이야기들. > >쉽고, 재미있고, 즐겁고, 유익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ttps://www.youtube.com/@user-px1ov7id6k|미술사크랙]] 정보 || '''회차''' || '''방송일자''' || '''타이틀''' || '''링크''' || || 1화 || 2023. 12. 22 ||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그리고 프랑스의 상징이 된 여성 [[마리안느]] || [[https://youtu.be/UY5U4e9q438?si=0jmxWl_mhXSeXGi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2화 || 2023. 12. 29 || [[벨에포크]], [[물랭 루주]]의 로트렉, 화려함 뒤에 묻어나는 묘한 슬픔 || [[https://youtu.be/QoyOxwQd4bU?si=muAL1clO-pvHPrr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3화 || 2024. 1. 5 || 수녀를 납치한 난봉꾼 수도사 화가, 르네상스의 화가 [[프라 필리포 리피]] || [[https://youtu.be/bCuXol4KZJk?si=ssCgkx7Umw-WsNy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4화 || 2024. 1. 12 || 허무한 상상 따위는 그리지 않겠다, 내가 볼 수 있는 것만 그리겠다, [[사실주의]] 미술의 대표화가, 예술가의 자부심, [[귀스타브 쿠르베|쿠르베]] 이야기 01 || [[https://youtu.be/8Y-XAq6_RAI?si=dwIwfwdngH22pUQ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5화 || 2024. 1. 12 || 명예와 논란의 리얼리즘, 왜 주류 미술계를 조롱하는가, 사실주의 미술의 대표화가, 예술가의 자부심, [[귀스타브 쿠르베|쿠르베]] 이야기 02 || [[https://youtu.be/6M_uBs6cudg?si=nI9Arqj6QyAYRWBZ|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6화 || 2024. 1. 19 || [[비너스]]의 탄생, 그림 속 비너스의 모델은 누구였을까? [[피렌체]], [[르네상스]]의 화가 [[보티첼리]]의 사랑이야기 || [[https://youtu.be/dH5xw1hkbIs?si=UpMmdTn-ft5PoWn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7화 || 2024. 1. 26 || 아름다운 여인과 해골, 해골이 들려준 이야기, [[메멘토모리]], [[바니타스]] || [[https://youtu.be/rStWzxOBbk0?si=0Vt38fe8HIM6Y53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8화 || 2024. 2. 2 || [[팜므파탈]]의 탄생, 관능적인 여인 [[살로메 3세|살로메]]의 치명적 유혹 || [[https://youtu.be/Qb7CD7uOBos?si=_8MJx7eRuzrRkuC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9화 || 2024. 2. 9 || 숨막히는 긴장감,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 [[일리야 레핀]]의 사실주의 || [[https://youtu.be/NnXcEJMKv4U?si=RGnPegqiH915O--f|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10화 || 2024. 2. 16 || [[바로크]] 최고의 여성화가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통쾌하고 예술적인 복수극 || [[https://youtu.be/fPc3Tvu95NQ?si=Rri-dUnFlM45u-g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11화 || 2024. 2. 23 || 거장 [[렘브란트]]가 보여주는 빛의 환타지 야경 || [[https://youtu.be/_2JSJq_Y8N8?si=OVsCjJb-xMr5VyYH|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12화 || 2024. 3. 1 || [[렘브란트]]의 자화상, 화가는 인생을 그리고 있었다 || [[https://youtu.be/_kgEDkmmVZ8?si=Fj1VP1T1w4A-ZLJz|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13화 || 2024. 3. 8 || 특별한 화가 주세페 [[아르침볼도]]의 환타지, 16세기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 [[https://youtu.be/hWDNLYjWleo?si=ChN9xNxpYxSNoFp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 이력 === * Solo Exhibition * 2022 이창우 교수 초대전 (명동 갤러리 1898) * 2019 이창우 교수 초대전 (당고개 순교성지) * 2015 이창우[노랑]전 (한스갤러리) * 2012 이창우개인전 [What Boys Meet] (갤러리사각형) * 2002 이창우개인전 [Healing] (평화화랑), 2000 이창우 [Art Book Works] * 1996 이창우일러스트레이션전 (갤러리무애) * Group Exhibition * 2012 신화와전설 (아람미술관) * 2011~16 멘토 (갤러리사각형) * 2012 상상 (갤러리사각형) * 2010 FEMME (더갤러리) * 2008 한국일러스트레이터초대전 (뉴욕) * 2007 한중일 일러스트레이션초대전 (동경) * 2006 훠걸완뽀이 (갤러리쌈지) * 2006 [개]전 (예술의 전당) * 1998 한국그래픽디자이너전 (이스탄불) * 1991~3 오사카디자인콤페티션(오사카) * 1993 한국그림동화원화전 (프랑스문화원) * 1989 BIM전 (조선일보미술관) * 1989 노마콩쿠르 일러스트레이션원화전 (동경) * 1989 이창우 정관태 일러스트레이션 2인전 (갤러리수) * 1988브라티슬라바 일러스트레이션비엔날레 (체코) * 1988~94 캐릭터일러스트레이션그룹전 * Writings * 2009 그림으로 말하라 (홍디자인)[[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590014|(링크)]], 신선한레몬 (더스튜디오) * 2007 제오르지오이야기 (가톨릭출판사)[[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398930|(링크)]] * 2000 Art BOOK Works (더스튜디오) * Personal History * 2011~2014 고양문화재단 예술감독 * 1997~2009 계원조형예술대학 교수 * 1999~ 현 평화방송 가톨릭출판사 자문위원 * 2008~2010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부회장 * 2009~2011 대한민국 우표발행심의위원 * 1998~2003 DIFECA 운영위원•심사위원 * 1987~1993 주)엘지애드 CR국 크리에이터 === 언론 === [[https://www.donga.com/news/Entertainment/article/all/20160824/79946004/1|김광석 다시부르기 아트 콜렉터스 에디션 ‘김광석 X 이창우 LP판’ 발매]] 동아일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99526612750600&mediaCodeNo=257|가을의 문턱에서, 김광석과 이창우를 만나다]] 이데일리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61604|문화인터뷰, 교황 방한 공식 기념품 엠블럼 제작한 이창우 교수]] 가톨릭신문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70526000150|책세상, 제오르지오 이야기 /이창우]] 부산일보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374325|[문화단신] 이창우 교수 초대전]] 가톨릭신문 [[분류: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분류:1963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관악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