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이진영}}}[br]李鎭榮'''}}} || ||<|2> '''출생''' ||[[1849년]] [[7월 25일]] || ||[[경상도]] [[예천군]] 화장면 지내리[br](현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지내리)[* 인근의 석봉리와 함께 [[경주 이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이규해]]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 ||[[1930년]] [[9월 27일]] || || '''본관''' ||[[경주 이씨]][* 35세손 영(榮) 항렬.]|| || '''서훈''' ||건국포장 추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생애 == [[1849년]] [[7월 25일]] 경상도 예천군 화장면 지내리(현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지내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7년]] 국권회복을 위해 [[이강년]] 의진에 참여하여 의병진의 좌종사(坐從事)에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이강년 의병장이 [[1908년]] 6월 [[제천군]] [[월악산]]의 작성(鵲城)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체포되자 피신하여 은거하였다. 이후 [[1930년]] [[9월 27일]] 별세하였다. [[199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진영(1907), version=5, paragraph=3)][[분류:경주 이씨]][[분류:건국포장]][[분류:문경시 출신 인물]][[분류:1849년 출생]][[분류:1930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