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2> '''{{{#fff {{{+1 李進卿 | 이진경}}}}}}''' || || '''{{{#fff 성씨}}}''' ||이(李) || || '''{{{#fff 이름}}}''' ||진경(進卿) || || '''{{{#fff 생몰}}}''' ||915년 ~ 973년 || || '''{{{#fff 출신지}}}''' ||병주(幷州) 진양현(晉陽縣) || [목차] [clearfix] == 개요 == 李進卿 (915년 ~ 973년) [[오대십국시대]], [[북송]]의 장수. == 생애 == 병주(幷州) 진양현(晉陽縣) 출신으로 젊은 나이에 호성군(護聖軍)에 소속되었다. [[후진]] 시기인 941년, 안중영(安重榮)이 [[석경당]]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두중위(杜重威)가 후진 조정의 명으로 군대를 이끌고 종성(宗城)에서 안중영을 물리칠 때 이진경은 두중위에게 종군하고 전공을 세워 흥순군(興順軍) 군교로 발탁되었다. 951년 [[곽위]]에 의해 [[후주]]가 들어선 뒤, 이진경은 곽위의 명에 따라 영수(靈壽)에 주둔하였고 이후 용첩지휘사로 옮겼다. 954년 [[고평 전투]]에 참전한 뒤에는 철기지휘사로 옮겼고 산원좌사도교(散員左射都校), 철기도우후, 내전직도우후를 역임하였다. 960년 [[북송]]이 들어선 뒤에는 귀주(貴州) 자사를 겸하였고 3번의 승진을 거쳐 철기좌상 도지휘사가 되었으며, 건주(乾州) 단련사를 겸임하였다. 963년 공학좌상 도지휘사로 옮기고 한주(漢州) 단련사를 겸하였으며, 964년에 호첩좌상 도지휘사로 전임되고 징주(澄州) 단련사를 겸하였다. [[후촉]]을 정벌할 때 귀주로(歸州路) 행영보군도지휘사가 되어 무산채(巫山砦)에서 승리를 거두고 기주(夔州)와 만주(萬州)를 공격하였다. 후촉이 멸망한 뒤에는 시위친군보군도우후로 임명되고 보순군(保順軍) 절도사를 겸임하였다. 969년, [[태조(송)|태조]]가 직접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을 정벌하기 위한 군대를 일으킬 때 이진경은 수도에서 순검을 맡았으며, 북한 정벌군이 돌아온 뒤에 친군마군도우후로 전임되었다. 973년에는 보군도지휘사로 옮기고 정강군(靜江軍) 절도사를 겸하였다가 사망하여 태위로 추증되었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915년 출생]][[분류:97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