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00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50번}}}''' || || [[박근영]][br](1996~1997) || {{{+1 →}}} || '''{{{#0047ab 이준호[br](1999~2001)}}}''' || {{{+1 →}}} || 최무영[br](2002)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16번}}}''' || || [[이강철]][br](2000~2001.7.29.) || {{{+1 →}}} || '''{{{#0047ab 이준호[br](2002)}}}''' || {{{+1 →}}} || 김태훈[br](2003~2005) || }}} || ||<-2>
'''{{{+2 이준호}}}''' || || '''출생''' ||[[1976년]] [[10월 8일]] ([age(1976-10-08)]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상중학교|경상중]]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s-3.2|1999년 2차 12라운드]] (전체 94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9~2002)|| || '''지도자''' ||[[대구중학교]] 야구부 코치[br][[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br][[경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삼성 라이온즈]] 소속 야구선수. 현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선수 경력 == 경북고 시절, 동기 [[이승엽]], 장형석 등과 함께 팀의 마운드를 책임진 사이드암 투수였으며 1994년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 및 우수투수상을 수상했다. 1999년 삼성 라이온즈 입단 후 [[서정환]] 감독의 중용으로 [[중간계투]]로 맹활약했다. 시즌 초중반 [[임창용]], [[전병호]]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등판했었다. 1군 첫 승리투수는 4월 26일 [[현대 유니콘스|현대]]와의 원정 경기에서 해냈는데, 1.1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는 와중에 팀 타선이 역전시키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https://news.imaeil.com/page/view/1999042614321816844|#]] 이후 임시로 선발도 두번 등판했었을 정도로 그 해 삼성 유망주 중에서는 제법 1군에서 활약한 투수였으며 당해 성적은 26경기 출장(선발 2경기)하여 40⅔이닝 동안 4승 1패 1세이브 ERA 5.09을 기록했다.[* sWAR은 0.73이었으며, 다소 높아보이는 ERA이나 이 해 KBO 사상 유례없는 타고투저로 인해 ERA+는 99.6으로 리그 딱 평균 정도였다.] 다만 고교시절부터 에이스들에게는 숙명이나 다름없었던 고질적인 어깨 부상은 이준호도 피하기 어려웠으며 결국 이후 제대로 된 프로 커리어를 쌓지 못한채 일찍 선수생활을 마감해서 아쉬운 선수였다. 제구력과 컨트롤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 지도자 경력 ==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코치를 거쳐 2018년 모교인 경북고등학교 감독으로 부임했다. 경북고 코치 및 감독 시절 박세웅, 최충연, 원태인, 황동재, 진승현 등 프로야구 신인드래프트 1차 지명 및 상위권 지명 선수를 지도하였고, 이밖에 수많은 제자들을 프로야구 선수로 배출하고 있다. 2023년 제78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팀을 결승전으로 이끌었다. 1993년 경북고 2학년 당시 김수관(現 포철고 감독), 이승엽(現 두산 감독)과 함께 경북고를 정상에 올려놓은지 30년만의 청룡기 결승전 진출이다. 경북고의 마지막 전국대회 결승진출과 우승은 2015년 봉황대기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