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이준석과 유승민의 공동창당론, rd1=이준석·유승민 신당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준석(동명이인))] ## 토론 합의 내용 ## 이준석의 현직 국민의힘 대표 서술을 삭제한다. (관련 토론 합의: FortunateRoundConfusedString) ## 프로필 표 상단에 '초대 국민의힘 당대표'로 서술한다. (관련 토론 합의: SteadfastDepressedToughTexture) || {{{#ffffff '''이준석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대표교사)] ---- [include(틀:썰전)] ---- [include(틀: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참가 플레이어)] ---- [include(틀: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참가 플레이어)] ---- [include(틀:국민의힘 제1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 [include(틀:국민의힘 대표)]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57px, transparent 57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7px, transparent 57px)" '''초대 국민의힘 대표[br]{{{#fff {{{+1 이준석}}}[br]李俊錫 | Junseok "Andy" Le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준석앤디리.png|width=100%]]}}} || ||<|2> '''출생''' ||[[1985년]] [[3월 31일]] ([age(1985-03-31)]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 출생에 따른 전입을 [[성수동]]에서 한 것으로 보이며 본인의 사실상 고향인 [[노원구]] [[상계동]]에는 1986년에 전입했다.[[https://www.google.com/amp/m.newspim.com/newsamp/view/20200318001543|약력사항]]]|| || '''거주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포레나 노원]][* 포레나 노원 완공 이전에는 상계동 [[http://nowon.newsk.com/front/news/view.do?articleId=23417|보람아파트]]에 거주했다.] || || '''등록기준지'''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원대로(대구)|달성동]][br](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원대로(대구)|달성동]])|| || '''본관''' ||[[광주 이씨]][* [[http://www.gwanglee.or.kr/community01?bc_seq=7&method=view&b_seq=1045|광주 이씨 종친회 소식(2015)]]과 [[http://www.gwanglee.or.kr/gwanglee_new03?bc_seq=4&b_cate=&method=view&page=1&b_seq=1188&search_key=&search_word=|광주 이씨 회보 2016년 4월호]]에 언급.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칠곡파)-현감공파(縣監公派)-첨정공후(僉正公后) 22대 '''◯석(錫)''' ◯진(鎭) 항렬이며, 아버지 이수월(李壽月)은 21대 수(壽)◯ 항렬로서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전 국무총리와 같다. 대종회(표준) 돌림자와는 조금 다른데, 대종회에서는 21대에 ◯재(載)를, 22대에 종(鐘)◯을 쓴다. 고로 [[국민의힘|같은 당]] 정책위의장 [[이종배]] 의원과 같은 항렬이다.][* 이준석의 열조부(6대조) 이계운(李啓運)은 '계운공(啓運公)'으로 불리는 유학자로서 사미헌 장복추(四未軒 張福樞) 선생과 함께 칠곡향약을 제정하는 등 칠곡 고을의 유림종장(宗匠)으로서 명성이 높았다. [[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6055|관련 기사]] [[관찰사]](觀察使)를 지낸 이예손(李禮孫)의 둘째 아들인 이극견(李克堅)의 직계손이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6JOa_A9999_1_0018757|#]]]|| || '''현직'''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대표교사||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이준석 서명.svg|width=105]]}}} || || '''링크'''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unseokandyl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hreads.net/@junseokandylee|[[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youtube.com/channel/UCdkv2W-p3wEK5REQHfu7O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여의도 재건축 조합]] 라이브 채널] | [[https://youtube.com/@y.rebuildi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여의도 재건축 조합]] 본 채널] | [[https://pf.kakao.com/_uxcscd|[[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width=20]]]] | [[https://t.me/junseokandylee|[[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0]]]][* 이름이 '[[윤석열-권성동 텔레그램 논란|내부총질하는 당대표]]'로 설정되어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수월[* 1958년 1월 22일생.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76학번)를 졸업하고 [[쌍용투자증권]] 국제금융부 과장, 싱가포르사무소장, 인도네시아합작법인개설준비위원장, [[굿모닝신한증권]] 신당지점장, 강남지점장, 국제영업부장, 감사를 지냈고 퇴직 후 하이드로젠 파워 법정관리인을 역임했다. [[국민의힘]] [[유승민]] 의원과 고등학교, 대학교 동창이며, 서로 각별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머니 김향자[* 金香子. [[경주 김씨]] 김오연(金五椽)의 딸로, [[경상북도]] [[상주시]] 출신이며 [[세종대학교]]를 졸업했다.] || || '''형제자매''' ||여동생[* 1990년생으로 정신과 전문의며, [[이재명]]의 형 [[이재선(1959)|이재선]]을 치료한 적이 있다.] || || '''학력''' ||서울온곡국민학교 {{{-2 (전학)}}} →[br][[인도네시아]] 소재 초등학교 {{{-2 (졸업[* 아래 역대 선거 벽보에도 나오듯이 온곡초등학교에 입학해 4학년 때까지 재학하다가 아버지의 해외 발령으로 싱가포르를 거쳐 최종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했다.][* 구체적인 교명은 밝혀지지 않았다.])}}}[br][[월촌중학교]] {{{-2 ([[졸업]])}}}[br][[서울과학고등학교]] {{{-2 ([[조기졸업]])}}}[br][[한국과학기술원|KAIST]] {{{-2 ([[중퇴]])}}} [br][[하버드 대학교]] {{{-2 ([[컴퓨터과학]] · [[경제학]][* 복합전공(Joint Concentration)] / [[학사]])}}} || || '''병역''' ||[[산업기능요원]] 복무만료[*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80314000011|#]]][* 산업기능요원은 복무만료 후 육군 이등병으로 편입된다.]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안드레아]])}}}[* 어린 시절이었던 [[1994년]]에 [[세례]]를 받았다고 한다. 같은 동네에 사는 [[안철수]] 전 대표(하상 바오로)와 같은 [[성당]]에 다니고 있었으나 안철수는 [[2022년 6월 보궐선거]]에서 [[분당구 갑]]에 출마 선언을 하며 판교로 이사를 갔고 동판교 성당으로 전입([[가톨릭]]에서는 교구제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주민등록지에 따라 소속되어 다니는 성당이 옮겨진다)했다.] || || '''신체''' ||175cm, [[AB형]]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주요 경력''' ||[[대통령과학장학금]] 1기[br][[SW Maestro]] 1기[br]클라세스튜디오 대표[br][[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br][[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br]새누리당을 바꾸는 혁신위원회 위원장[br][[새누리당]] [[노원구 병]] 지역위원장[br][[바른정당]] 노원구 병 당협위원장 [br][[바른미래당]] 노원구 병 공동지역위원장[br][[바른미래당]] 최고위원[br][[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회 수석부위원장[br]새로운보수당 젊은정당비전위원회 위원장[br][[미래통합당]] 노원구 병 당협위원장[br][[미래통합당]] 최고위원[br][[국민의힘]]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후보 캠프 뉴미디어본부장[br][[살리는 선대위]] 공동상임선대위원장[br][[살리는 선대위]] 홍보미디어본부장[br][[한국독립야구연맹]] 총재[br][[시민이 힘나는 선대위]] 상임선거대책위원장[br][[국민의힘]] 노원구 병 당협위원장[* 직무정지 후 짝수해 8월에 임기가 만료되어 퇴직하였다.][br][[국민의힘]] 대표[* [[2022년]] [[7월 8일]]부터 6개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당원권 정지]]로 인한 직무정지였으나, 2022년 8월 9일자로 비대위가 수립되며 자동으로 퇴임처리되었으며, 이와 관련해 법적 분쟁 끝에 법원이 비대위 측의 손을 들어주면서 사실상 대표직 박탈 처분되었다.][br][[여의도연구원]] 이사장[*겸직 국민의힘 당대표 또는 비대위원장이 당연직으로 겸직한다.] || || '''약칭''' ||'''李'''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준석_당기.jpg|width=100%]]}}} || || ''' 국민의힘 대표 시절 [[이준석|{{{#fff 이준석}}}]]'''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교육인, 프로그래머 출신 [[정치인]]이자 [[방송인]]. 초대 [[국민의힘]] [[당대표|대표]]이다. == 약력 ==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의 대표 교사로서 활동하다 2011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에 의해 정계에 입문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 2018년 [[2018년 재보궐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모두 [[노원구 병]]에 각각 [[새누리당]], [[바른미래당]], [[미래통합당]]의 당적을 가지고 출마하였고 3번 연속으로 낙선의 고배를 마셨으나 그 과정에서 [[지상파]]와 [[종편]] 방송에 출연하여 인지도를 높여 나갔다. 이 당시 낙선으로 얻은 별명이 마삼중. 그러다 2021년 [[국민의힘/제1차 전당대회|국민의힘 제1차 전당대회]]에 당대표 후보로 출마하여 36세의 나이로 헌정 사상 최초로 30대, 최연소 제1야당 대표가 되었다.[* 원내정당 대표들 가운데는 기본소득당의 [[신지혜]] 대표가 1987년생으로 가장 어리긴 하다. 전체 정당 가운데에서는 [[미래당]]의 [[이성윤(정치인)|이성윤]] 전 대표가 당선 당시 23세, [[여성의당]]의 윤서연 전 대표가 당선 당시 19세였다. 이준석은 교섭단체로 한정했을 때의 최연소 대표. 그렇지만 이준석의 당대표 당선이 이슈가 되었던 이유는 [[대한민국]] 정치에서 원내정당과 원외정당, 교섭단체와 비교섭단체의 차이는 어마어마한데다가 [[국민의힘]]은 고만고만한 중소정당이 아니라 [[개헌저지선|의석수 100석이 넘는]] 제1야당이기 때문이다.][* 당의 대표는 아니지만 최연소 지도자의 경우 [[박지현(정치인)|박지현]]이 [[더불어민주당]]의 비대위원장으로 임명되며 깨지게 되었다. 그러나 비대위원장으로 임명된 박지현과 달리 이준석은 전당대회에서 당원과 국민들의 선택을 받아 선출되었고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을 승리한 경력도 있는 대표이므로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임명직, 선출직을 통틀어 공직을 맡은 경력이 전무한 최초의 제1야당 대표이기도 하다. 그리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되고, 2022년 5월 10일 임기가 시작됨에 따라 위 기록들을 그대로 가져온 최초의 집권 여당 당대표가 되었다. 2022년 7월 8일,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이준석 성접대 의혹|성접대 의혹]]에 대한 증거인멸교사 혐의와 관련하여 '품위유지의무 위반'으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의결]]하였다. 이에 따라 당대표 직무가 정지되었고, 2023년 6월에 만료될 당대표 임기 중간에 공백이 생겼다. 그리고 직무정지 기간 중 [[윤석열-권성동 텔레그램 논란]]이 발생하면서 당내에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수립 논란|비대위로의 체제 전환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발생했고, 이에 맞서 이준석은 법원에 연속적으로 가처분신청을 제기했다. 법원은 처음에는 [[주호영]] 비대위원장에 대해서는 가처분신청을 일부 인용해 주 위원장의 직무를 정지했으나, 이후 당헌 개정을 통해 새로 임명된 [[정진석]] 비대위원장에 대해서는 가처분신청을 기각해 새로 출범한 비대위의 효력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10월 7일,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당론에 맞선 가처분신청 제기와 당 구성원에 대한 모욕적 발언을 사유로 [[이준석 추가 징계 사건|당원권 정지 기간을 1년 연장]]하여 총합 1년 6개월 동안 당원권이 정지되었다. 결국 가처분신청 기각과 2차례의 징계를 통해 당대표직 상실이 완전히 확정되었다. 2023년 11월 2일, 공식적으로 당에서 징계 취소 안건을 의결함에 따라 징계가 해제되었다. [[https://yna.co.kr/view/AKR20231102033000001|#]] 즉 국민의힘에서는 증거인멸교사와 품위유지위반, 모욕적 발언에 대한 모든 징계를 직접 철회한 것이다.[* 본래 지도부에서는 징계 취소가 아닌 사면 혹은 대사면이라는 표현을 쓰며 징계를 해제하겠다고 했으나 징계 당사자들 모두가 죄지은 사람이 받는 게 사면인데 왜 내가 사면을 받아야 하나며 당헌당규에도 사면이라는 표현은 없고 징계 취소가 공식 명칭이라고 극렬하게 반발했고, 이에 지도부에서 사면이라는 용어를 쓰는 대신 징계 취소를 한다고 의결했다.] == [[/생애|생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생애)] === [[/국민의힘 대표|국민의힘 대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국민의힘 대표)] == [[/사상 및 견해|사상 및 견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사상 및 견해)]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대권주자로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논란 및 사건 사고)] == [[/별명|별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별명)] == 여담 == * [[하버드 대학교]] 재학 시절, [[페이스북]] 개설 이메일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다. 페이스북 초창기 개발자들인 더스틴 모스코비츠, 앤드류 맥컬럼에게 답장으로 “한국엔 [[싸이월드]]가 있다고. 너희들이 망할 거야.”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거꾸로 [[싸이월드]]가 망하고, [[페이스북]]이 대성하였다. 이전에는 [[마크 저커버그]]에게 답장했다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밤샘토크에서 나무위키 문서를 다루면서 해당 항목에 대한 사실확인을 해주었다.[[https://youtu.be/14i98tF0ipI|#]] 그리고 2012년 출연한 tvN 스타 특강쇼에서 밝히길 본인은 이를 후회하고 있다고 한다. * 2011년, 한창 [[2011년 재보궐선거/10월 26일/선관위 공격 사건|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이 쟁점화되던 시절 [[김어준]]에게 문자로 '이준석입니다. 디도스 조사 함께 하시죠.'라고 디도스 대책 위원회에 들어와달라고 요청하자, 당시 한나라당 비대위원 이준석을 몰랐던 김어준은 걍 일반인이 보낸 것으로 생각해 구구절절 설명해가며 거절 답장을 보냈는데 나중에 디도스 공동 조사 제안을 거절했다는 식의 기사가 나오고서야 김어준은 그때 연락한 사람이 한나라당 비대위원인 것을 알았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er-7A8MutA|김어준의 뉴욕 타임스]] 당시 정치 신인이었던 이준석이 문자로 자기소개 없이 그냥 ''''이준석입니다''''라고만 보내서 김어준이 기사가 터지고 난 뒤, '''"이름만 보내면 내가 누군지 어떻게 아냐고!"'''라며 분개했다고 한다. *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시절 [[박근혜]]의 경제 교수라고 칭해졌던 [[이혜훈]] 전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했는데 그 때 이준석, [[김종인]], [[이상돈(1951)|이상돈]] 등 비상대책위원들이 이혜훈의 공천을 촉구하였고, 이준석이 제가 가서 말해보겠다고 총대를 멨는데, 이때 박근혜 전 위원장은 "저보다 이혜훈 의원을 더 잘 아세요?"라고 굉장히 언짢은 듯이 말했고, 그러자 김종인 등 비상대책위원들이 이준석에게 미안해 했다고 한다. * 자신의 명문대 이력이 너무 좋다며 100억을 줘도 바꾸지 않겠다고까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예전에 가르치던 아이들이 말을 안 들어서, 아이들의 부모님께 전화해서 힘들다고 얘기하던 도중에, [[하버드 대학교]] 출신이라고 밝히자 오히려 학부모님들이 아이들을 혼내는 걸 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배우 [[김수현(배우)|김수현]]과 얼굴을 바꾸겠냐는 질문에는 바꾸겠다고 대답했다. 다만, 자신의 학력에 대한 자신감과는 별개로 본인 학벌을 먼저 이야기하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페미니즘이나 공정 문제에 대한 본인의 입장이 명확한데, 하버드 유학 시절 대학가에서 페미니즘이나 [[정체성 정치]], [[정치적 올바름]] 이슈와 그 갈등을 직접 체험했기 때문이다. 방송에서도 이러한 이슈들에 대해 논할 때 미국 유학 시절 자신의 경험담을 자주 언급하곤 한다. * MBC 라디오 [[정치인싸]] 코너 중 나무위키의 '정치인싸' 항목 읽기 콘텐츠를 진행하였는데, 뜬금포로 민주당 [[현근택]]의 나무위키 항목을 보지도 않고 줄줄 읊어 주변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 한 강연에서 자신이 그랜드 파이널에서 떨어진 것은 모두 딜러가 카드 셔플을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정치 지형을 [[삼국지연의]]에 비유하는 걸 즐긴다. 실제로도 잘 들어맞는 형세이다. * 2016년 총선 유세 활동 중 노원 병 선거구에 유세 지원을 온 당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 '''[[안철수]] 대표'''를 선택해주시기를 바란다."라는[* 그 뒤 웃으며 "제가 하루에 10번을 연설을 다니다 보니... 웃기려고 일부러 그랬습니다(웃음)"라 하였다.][[https://youtu.be/zjRBh8npjXY|말실수를 하기도]] 했다. 김무성이 의미불명의 발언을 할 때마다 일어난 표정 변화가 가히 볼 만하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런데 진짜로 안철수가 당선되었다.]]''' * 강적들 시절 멤버들인 [[함익병]], [[박종진]]과 지금도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둘 다 이준석과 마찬가지로 보수 성향의 인물들이다. * [[김웅(1970 정치인)|김웅]] 의원과는 정치적으로도, 사적으로도 친한 편이다. 실제로도 '웅이 형' 하고 방송에서 자주 언급했으며, 인터뷰에서 자신은 원래 당 대표 선거에서 김웅을 지지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나이 차이는 15살로 꽤 나는 편인데도 불구하고 서슴없이 지내는 듯. * [[김용태(1990)|김용태]]를 후배로 매우 아낀다고 하고, [[바른정당]] 시기부터 같이하고 있다. [[대구광역시|대구]]에 있을 때도 [[삼성 라이온즈]] 경기를 같이 봤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김용태도 청년최고위원에 당선되어 함께 지도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후에도 [[문재인 정부의 천안함 재조사 논란]] 당시 [[최원일]] 함장과 [[여명숙]] 전 게임물관리위원장이 있던 생존 장병의 예우와 관련한 시위 현장에서도 둘이서 찾아와 위로를 전하고 [[이준석 대표 당무 거부 사건]] 당시 지방 잠행 활동에도 대동하는 등 다른 최고위원들과 달리 당대표 공식 일정도 같이 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tXxlokP_xc)]}}} || * 2021년 6월 4일 공표된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3% 지지율을 얻은 적이 있는데(한국갤럽 자체조사, 2021년 6월 1~3일 조사, 중앙여심위 참조) [[20대 대선]]에는 만 40세가 되지 않기 때문에 출마하지 못한다. 2022년 4월 2일 공표된 차기 대통령 여론조사에서도 5% 지지율을 얻었다.[* 리서치뷰 자체조사. 2022년 3월 28~29일 조사, 중앙여심위 참조][* 20대 남성층에서는 무려 17%의 지지율을 얻었다.] * [[예비군]] 훈련보상비 인상 소식에 댓글을 남긴 적이 있다. * 당대표 취임 이후 [[일본]]의 [[아사히 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가장 존경하는 [[대한민국|한국]]의 정치인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을 꼽았다. 이유는 한국의 경제발전을 이끌었기 때문이라고. 다만, [[10월 유신]]을 통해 [[독재자]]의 길로 들어선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2021년 7월 21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SBS]] 토론 인터뷰 자리의 [[유튜브]] 시청자 질문 코너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국민의 투표로 당선된 이후 국가주도 경제발전을 이룩한 공로로 [[미국]]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으며, 미국이 원조한 여러 [[아시아]] 국가 중에서 한국이 특히 박정희 리더십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한 점을 언급했다. * JTBC 뉴스 인터뷰에서 [[MBTI]]는 [[ESTP]]라고 밝혔다. * 역대 선거 포스터에서 모두 나눔스퀘어 ac 서체를 사용하였다. * 본인의 페이스북에서 자신에 대한 음모론을 설파하는 한 네티즌에게 '유튜브 그만 보세요'라고 일침을 날렸다. 그래서 이준석 지지자들은 유튜브를 근거로 이준석에 대한 음모론을 설파하는 유튜버들이 보이면 [[틀튜브]]라고 비판하거나, 해당 유튜버 구독자들이 이준석을 비하하는 댓글이 보이면 대댓글에다 '임영웅 노래 압수'[* 왜 저런 댓글이 달리느냐면, 임영웅의 멜론 앨범 네티즌 리뷰 또는 임영웅이 부른 OST의 회차나 댓글을 보면 된다. 다른 가수들 리뷰와 달리 상당한 장문의 글이 달려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는 다른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출신 가수들 리뷰도 마찬가지인 상황이지만, 임영웅은 미스터트롯 초대 우승자이기 때문에 주로 쓰인다.] 같은 댓글을 달며, 응수하곤 한다. * [[이준석(선장)|동명의 선장]] 때문에 이준석을 싫어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간간이 비하 겸 농담 소재로 엮이기도 한다. 다만 본인은 현재 중견급 정치인으로 자리잡았지만, 세월호 사건은 시간이 꽤 흘러서 그 선장은 기억에서 점점 잊히고 있는터라 생각보다 최근에는 그렇게 자주 엮이지는 않다가... 2022년 1월 3일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 [[국민의힘 선대위 집단 사퇴 및 해산 사건]]을 두고 [[추미애/비판 및 논란#s-6.8|이준석 대표를 세월호 선장에 비유한 글]]을 올렸다가 [[막말]] 논란이 일자 글을 수정하는 일이 있었다. * 또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커넥션 의혹이 있는 조폭 [[국제마피아파]] 출신인 이준석 전 코마트레이드 대표도 동명이인이다.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1/10/25/HSB6YP22XJAX7LYBLDTFCXL264/|#]] "이준석이 [[김용판]]을 고소했다"는 뉴스 헤드라인을 보고 국민의힘 대표 이준석인줄 착각한 사람들도 있었다. * [[허은아]] 의원의 말에 따르면 굉장히 [[구두쇠|짠돌이]]이다. 일례로 대선을 앞두고 관용차로 [[현대 팰리세이드|팰리세이드]]을 받았는데, 비용을 이유로 운전수를 섭외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전당대회 때도 돈을 최소한으로 쓸 만큼 돈 아끼며 정치하는 데는 도가 텄다. 이 때문인지 캠프 미디어홍보본부장을 맡은 이후 "홍보비 해먹으려 한다"는 [[윤핵관]]의 말에 격노하기도 했다. [[https://youtu.be/Dh-gyUaOE3Y?t=255|#]] * 당대표 활동을 하면서 호남지역에 공을 많이 들이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광주에서 보수정당 후보 최초로 두 자릿수 득표율+10만 표 이상을 얻고 광주, 전남, 전북 세 지역의 최고 득표율을 모두 경신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얻었다.[* 호남권에서 이준석의 호감도도 올라갔는지 21대 대선주자 적합도 여론조사(리서치뷰 자체조사. 2022년 3월 28~29일 조사. 중앙여심위 참조.) 에서는 범야권 정치인들 중 1위를 기록했다.] * 2022년 3월 31일 37번째 생일을 맞아 두 개의 케이크를 선물 받았다. 하나는 [[윤석열]] 당선인이 직접 고른 생일 케이크였고, 하나는 전장연 대표가 보낸 생일 케이크였다. 다만 전장연의 생일 케이크는 선거법 위반 우려가 있어 사양했다. * 2022년 5월 16일 [[G식백과]]의 게임정책을 설명하는 영상에 뒤늦게 나왔다. 아마 윤석열이 대통령이 되면서 대신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 깃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작은 우크라이나 국기를 달고 나왔다.]] * 선산은 경북 칠곡군에 있다. 2022년에 국민의힘 대표에서 실각한 뒤로 한동안 칠곡에 거주하였다. * 당대표에서 내려온 후 월요일과 수요일은 국민의힘 순천시당, 화요일과 목요일은 진주시당을 방문하고 있다. * 대선 이후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이탈리아]] 대사 직을 제안받았지만 본인이 이를 거절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3/0000038379|#]] 추후에 이를 두고 말하기를 이미 자신을 몰아내려는 것을 다 아는 상황에서 현직 당대표에게 뜬금없이 접점이 하나도 없는 외교관직을 제안하는 것은 그냥 나가라는 소리나 다름없다고 생각했음을 언급했다. * 성별에 따라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엄청난 [[호불호]]를 보여주는 정치인이다. [[디시인사이드]][* [[국민의힘]] 갤러리, [[가로세로연구소 마이너 갤러리]] 등의 [[친박]], [[친윤]] 성향 제외], [[에펨코리아]] 등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이준석에 대해 '성별 관계없이 [[능력주의]]를 주장하는 공정한 정치인', '남성의 인권 또한 신경쓰는 유일한 정치인' 등으로 평가하지만 [[인스티즈]], [[여성시대]], [[더쿠]] 등의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갈라치기]]로 혐오발언을 일삼는 정치인' 등으로 평가한다. === [[외모]] 및 [[건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30%, #e61e2b 30%, #e61e2b 100%, #00B5E2 100%)" }}}{{{#!wiki style="padding: 0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0B5E2 20%, #e61e2b 80%)" [[파일:돼준스기.jpg|width=100%]]}}}{{{#!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0%, #00B5E2 0%, #00B5E2 70%, #00B5E2 70%)" }}}}}}|| * 은근 [[김정은]]과 [[외모]]가 닮았다는 얘기가 많다. 특히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을 앞두고 체중이 확 증가하면서[* 후일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선거 유세 당시 목이 상한 것을 비롯한 건강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후유증으로 살이 찐 것이라고 한다.] 여러 커뮤니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지에서 확실히 닮았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2014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자신은 김정은보단 [[박보영]]을 더 닮았다고 주장했다.] * [[SBS]]의 박하정 기자와 마치 남매처럼 닮았다고 하여 화제가 된 일이 있다.[[https://youtu.be/viVkm2DSkTM?t=2850|#]] * 대선 전후로, 스트레스로 인해 식사량이 늘어서 그런 것인지 몸집이 불고 배가 나오는 등 체형이 꽤나 변했다는 얘기가 있다.[* 하단의 맥심 표지를 보다시피 그 이전에도 꽤 통통했지만 볼살만 살짝 있었을 뿐, 적어도 뚱뚱한 체형까진 아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볼살도 더 많이 나오고 주름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체형 역시 꽤나 비대해졌다. 본인도 당대표 취임 이후 건강이 상당히 악화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준석의 건강을 우려하는 지지자들은 돼지가 되었다며, 돼준스기로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 가끔 '살 빼라 돼준스기'라는 밈이 돌기도 했다. * [[매일신문]] 프레스18 유튜브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원래 이준석이 전당대회 출마 생각이 없을 때,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 [[김재섭]]과 헬스를 다닐 생각이었다고 한다. * 선거 기간 내내 유세를 뛰어서 목 건강이 상당히 안좋아졌고, 거기에 선거 직후 [[코로나19]] 확진까지 겹쳐 목 상태가 매우 나빠졌다고 한다. * 안경낀 모습을 페이스북에 포스팅했다. 방송 캡처본[[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66170703460674:0|#]]과 출연자 대기실에서의 셀카[[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62351410509270:0|#]]를 올렸다. 후에 안경 협찬도 들어온 듯하다.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66260140118397|#]]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30%, #e61e2b 30%, #e61e2b 100%, #00B5E2 100%)" }}}{{{#!wiki style="padding: 0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0B5E2 20%, #e61e2b 80%)" [[파일:이준석맥심.jpg|width=100%]]}}}{{{#!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0%, #00B5E2 0%, #00B5E2 70%, #00B5E2 70%)" }}}}}}|| * 2019년 [[맥심(잡지)|맥심]] 8월호 후면 표지 모델이 됐다. 현직 정치인으로서는 [[강용석]](당시 정치인)에 이어 두 번째로 표지 모델이 됐다. 그 후 이준석이 [[국민의힘]] 당대표가 된 날, 맥심에서 '맥심 표지 모델 출신 첫 제1야당 당 대표가 나와 버렸다'는 축하 메시지가 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11/107387549/2|#]] * 쳐진 눈매 때문에 웃을 때 인상은 좋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졸려 보이는 인상을 가지고 있다. * [[팔자걸음]]을 걷는 등 걸음걸이가 특이하다는 평을 종종 받는다.[[https://mlbpark.donga.com/mp/b.php?p=151&b=bullpen&id=202207120071746602|#]][[https://www.fmkorea.com/4196650755|#]] * 근력이 약한 편인 듯하다. 어릴 때에는 팔굽혀펴기를 한 개도 못했다고.[[https://youtu.be/gCmfTi78tHg?t=660|#]] * 나이를 먹으면서 살이 찌고 난 후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프로게이머 [[카나비|서진혁]]을 닮게 되면서 이준석을 카나비, 카나비를 이준석으로 부르는 밈이 등장했다. === [[취미]] 및 [[특기]] === * 과거 [[자가용]]은 [[현대 싼타페]] CM 전기형 모델이었으나, [[2021년]] 초 [[현대 아이오닉 5]]를 계약했고,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8/23/UVFFQYZ6MFBENKWUOTNYU7YPDY/|6개월이 지나 8월에 인도받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21년 전당대회에서 상대 후보로 출마한 [[나경원]]이 자동차에 빗대어 본인과 타 후보자들을 비교하자,[* 나경원 후보는 본인에 대해 짐을 잔뜩 싣고 대선이라는 험한 길을 가는 '화물차'에, 타 후보들에 대해서는 자기만 탄 채 멋만 잔뜩 부리는 '스포츠카'에 비유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524/107079953/1|#]]] '''전기차 같은 대표'''가 될 것이라 대응했다. [[전기자동차]]처럼 깨끗하고, 경쾌하고, 짐이 아닌 사람을 많이 태울 수 있고,[*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부품의 부피가 작아서 같은 차급이어도 내부 공간을 더 넓게 뽑을 수 있다. 수납 공간도 내연기관차보다 넓은 편.] 내 권력을 나눠주는[* [[V2L|실제로 아이오닉 5는 컨버터를 이용하여 내 차의 배터리를 다른 차에 나눠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정치를 하겠다는 것. 한편, 자가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역버스]]와 [[도시철도|지하철]]을 굉장히 애용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30%, #e61e2b 30%, #e61e2b 100%, #00B5E2 100%)" }}}{{{#!wiki style="padding: 0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0B5E2 20%, #e61e2b 80%)" [[파일:이준석 택시.jpg|width=100%]]}}}{{{#!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0%, #00B5E2 0%, #00B5E2 70%, #00B5E2 70%)" }}}}}}|| * 2019년 초 [[택시]] 기사 면허를 취득하여 두 달간 택시 운전을 한 적이 있다. [[노원구]] 소재 운수업체에 취직하여 일주일에 6일 출근하여 하루 12시간씩 일했다고 한다. 정치인으로서 단순히 민심 탐방을 위해서 택시 운전을 한게 아니라 구산업(택시)과 신산업([[카풀]])이 극심한 갈등을 겪는 상황에서 구산업인 택시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직접 체험하려고 택시 운전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 '''[[철도 동호인]]이다.''' 정치 입문 초기에 [[트위터]]에 [[:파일:leejunseok_Metro.png|인증]]했으며, 선거 홍보물에서도 대놓고 어릴적 꿈이 철도 기관사였다며 철도 동호인임을 대놓고 밝혔다. [[http://m.dcinside.com/board/train/1009204?headid=&recommend=&s_pos=-985296&s_type=all&serval=이준석|#]]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신조 차량 목격담을 [[팬터그래프]] 사진으로 인증하는 것을 보면 덕력도 상당히 높은 편. 이 외에도 지방 강연이 있을 때마다 [[KTX]],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등의 사진을 올리거나 모습이 간간이 보인다. 새로운 노선이 개통될 때마다 얼리버드 출사를 나가는 모습이 철도 동호인들한테 간간히 목격되기도 한다. * 2013년 어떤 대학생이 서울시내 지하철 요금이 얼만지 아느냐고 물었던 질문에, [[수도권 통합 요금|10㎞까지는 1,050원, 10㎞부터 40㎞까지는 5㎞마다 100원씩 붙는다]][* 2015년 이전에는 현재 1,250원보다 200원 저렴했다. 2023년 다시 한 번 올라 1,550원이 될 예정이다.] 고 답했다. 그의 덕력을 고려하면 매우 쉬운 질문이었을 것이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43976|#]] 하버드 대학교 졸업논문 제목조차도 '''《서울시 대중교통에 대한 연구》'''였을 정도. * 또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 후 본인의 페이스북 게시물의 댓글에 '어릴 때 [[상계역]] 지하철 종점[* 4호선 개통일인 1985년 4월 20일부터 당고개역이 개통되기 전인 1993년 4월 20일까지 상계역은 실제로 8년 동안 시종착역 역할을 맡고 있었다. [[당고개역]] 쪽으로 [[오리카에시|X자형 회차선로]]가 있었다. 이해가 안 된다면, 과거 [[경의중앙선]]이 직결하기 전(경의선 DMC-문산, 중앙선 용산-용문 시절)의 용산-동인천 급행열차가 용산역에서 회차할 때 지금의 [[효창공원앞역]] 방향으로 승강장 끝에서 150m까지 회차했다가 X자형 회차선로를 통해, 동인천급행 승강장으로 들어오던 것을 생각해 보면 된다.]에서 지하철 오가는 거 보면서 꿈이 지하철 기관사였던 사람'이라고 언급했다. 그 외에 총선 유세 현장에서 '''급행열차 공약'''을 선전한답시고 목에 걸고 나온 게 무려 '''4호선, 7호선 종이 모형'''이다. 철덕답게 매우 디테일한 재현도를 자랑하는 물건. * 심지어 [[2018년 재보궐선거]] 당시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상계역|상계]]~[[서울역]],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도봉산역|도봉산]]~[[청담역|청담]] [[급행|급행열차]]'''[* 4호선 서울역~사당, 7호선 강남 구간은 각역정차. 4호선 서울역~사당은 사실 안 세울 역이 마땅치 않고, 7호선도 강남구간에 한해 안 세울 역이 마땅치 않다. 다만 7호선에 실제 급행이 생긴다면 인천-부천-광명 구간에 한해서 급행 떡밥이 생길 수도.]을 다시 공약에 세웠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하는 4호선에서 이미 운행 중인 [[안산선]] 급행과의 연계[* 즉 안산선+과천선 급행이 [[서울역]]~[[사당역|사당]] 구간은 모든 역에 정차하고 이후 상계까지 급행으로 다시 운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예 안산선[* [[과천선]]은 지하철이다보니 급행 운전을 못 하고 있는데, [[문재인 정부]]에서 장기 계획으로 사당까지는 운행할 계획을 세우긴 했었다. 다만 [[일산선]] 급행처럼 과천선을 부분 개조가 불가피해서 일단 장기 계획으로 두었지만.] 급행과 강북 급행을 나누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18년 4월 본인의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 중 어떤 지지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 [[정치인싸]]에 출연해서 대선 출마가 좌절된 [[반기문]]에 대해 '[[대한민국 대통령|꽃가마]] 타려고 한국 오다가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 막혔다'는 비유를 썼다. [[https://www.youtube.com/watch?v=DYygBKew5-4|#]] * [[https://www.youtube.com/post/UgkxiZgVSZPKgDNqHVwT2oyi6Z48QtjkRmK_|2022년 설 이후로 무궁화호 4량을 빌려 정책홍보 열차로 쓴다고 했고,]] 실제로 호남과 영남 지방을 무궁화호를 이용하여 순회했다. 열차 이름은 '열정열차'. * 2022년 3월 장애인 단체의 [[전장연 시위|지하철 시위]]와 관련해서 페이스북에 전장연을 비판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 [[스티브 바라캇]]과 의외의 친분이 생긴 듯하다.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68719589872452|#]] * 사용하는 노트북은 [[레노버]] [[씽크패드]] X1 계열 모델로 추정되고,[* 예전에는 [[소니]] [[VAIO]]사의 노트북을 사용했다. ] 휴대전화는 [[갤럭시 S22]] 그린을 사용한다.[* 예전에는 [[삼성 웨이브 시리즈]], [[넥서스 5]], [[갤럭시 노트10]]을 사용했다.] * [[밀덕후|밀덕]]끼가 굉장히 다분하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초대멤버라고 하며 현재도 연말 모임에 꾸준히 초대를 받는다고 한다. 한국 밀덕들의 영원한 떡밥인 '라팔 논쟁'에 아직도 본인이 쓴 글이 있을 정도. 2021년 5월 22일 매일신문 프레스18 방송에서 유재일이 밀리터리 관련 이야기를 꺼내자 그가 핵연료 재처리, 핵잠수함과 SLBM, KF사업, 스텔스, 사드 관련 내용을 꺼내면서 유재일과 밀덕토크를 이어갔는데, 이때 가운데에 낀 [[최훈민]] 기자가 '''"으휴 밀덕들 지긋지긋해."'''라고 하기도. 또한 이준석이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폐지에 대해 평하면서 "중국은 앞으로 골 때릴 거야. 사드 레이더가 북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중국은 해안선이 넓은데 [[하이난 섬|해남도]]쯤에서 (한국) 잠수함 미사일(SLBM) 날아간다고 생각해 봐."라고 평했다.[* 여담으로 이때 최훈민 기자가 당시 [[강성범]]의 [[강성범/논란 및 사건 사고#s-2.2.6|화교 발언 논란]]을 응용해 '''"중국 사람치고 중국을 별로 안 좋아하시나 봐요?"'''라고 개드립을 시전했는데, 이준석이 '''"화교는 대만 사람이라니까."'''라고 받아쳤다.] * [[야구]]도 굉장히 좋아한다.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팬이라고. 야구와 정치 중 하나를 버려야 한다면 정치를 버리겠다고 페이스북에 쓸 정도다.[[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502608999816849|#]] 가장 좋아하는 야구선수는 한때 삼성 라이온즈의 프랜차이즈 에이스 투수였던 [[배영수]]라고 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379903|#]] * [[삼성 라이온즈]]에 대한 글들을 올린 적이 있다.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502327576511658|#]] 이외에도 삼성 홈 경기가 열리는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직관 후기가 올라오기도 했다. * [[페이스북]] 글에서 야구에 관련된 비유도 자주 든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유승민]], [[김종인]], [[황교안]]의 행보를 [[선동열]] 1루수, [[이종범]] 투수, [[배영수]] 4번타자 등으로 비유하기도 했다.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2911276285616763|#]] * 2021년 5월 28일, 당대표 예비경선에서 1위를 한 날 [[김용태(1990)|김용태]]와 함께 삼성 라이온즈 [[삼성 라이온즈/2021년/5월#s-10.1|홈경기 직관]]을 갔으나... 1회부터 5대 0으로 털리자 멘탈이 나갔는지 자긴 야구장을 나와 동성로로 가겠다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본인이 수도권에서 직관하면 필승, 대구에서 직관하면 필패라는 징크스가 있다고 언급했는데 징크스대로 직관필패를 이어가게 되었다. * [[스쿠버다이빙]]을 즐긴다고 한다. * [[랄로|'''불편하면 자세를 고쳐 앉아!''']] 드립도 알고 즐겨쓰고 있다.[[https://tgd.kr/s/aba4647/60146679|#]] [[https://youtu.be/cGx7Pmjqmco?t=40m29s|#]] * [[도타 2]] 유저다. * 암호화폐 투자는 자동 투자 프로그램으로만 한다고 한다. 선거를 몇번 치를 돈을 벌었다고 하는데, 이 덕에 코인부자인줄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은 전공을 살려 취미로 투자 프로그램 코드를 짜는 정도에 그친다고 한다. 게다가 이 선거 치르는 비용이란 것이 본인 기준이기 때문에[* 선거를 포함한 정치활동을 하면서 돈을 정말 짜게 쓰기로 유명하다.] 그렇게 많이 번 것은 아니라고 말한 적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30%, #e61e2b 30%, #e61e2b 100%, #00B5E2 100%)" }}}{{{#!wiki style="padding: 0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0B5E2 20%, #e61e2b 80%)" [[파일:이준석새해서명.jpg|width=100%]]}}}{{{#!wiki style="height: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0%, #00B5E2 0%, #00B5E2 70%, #00B5E2 70%)" }}}}}}|| * [[악필|글씨를 잘 쓰는 편은 아니다.]] * [[미국]] 유학 시절에 [[중국어]]를 공부해 유창하게 말할 수 있으며, [[인도네시아]]에도 1년 동안 거주한 적이 있어 [[마인어|인도네시아어]]에도 능숙하다.[[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5102135984|#]] * [[타일러 라쉬]]가 이준석과 [[문제적 남자]]에서 영어로 대화를 한 후, "방송에 출연한 이후로 영어로 대화를 해본 사람들 중에서 가장 영어 실력이 뛰어난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대화 주제는 차기 [[미국 대통령 선거]]에 관한 이야기였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F72D117-6671-4D6A-9E6D-7EF1E4695739.png|width=100%]]}}}|| * [[스타크래프트]]를 하면서 [[원팩 원스타]]에서 [[사이언스 베슬]]을 뽑는 사진이 올라와서 스알못이라는 놀림을 받았다.[* 잘 보면 한글이 적혀있는 것을 보아 리마스터를 구매했고 스타크래프트를 전부터 즐겨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저 빌드에서 사이언스 베슬은 저그전에서 이레디레이트가 급히 필요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거의 쓰지 않는다.][* 한편 이준석이 의자에 앉은 자세도 상당히 기괴해서 화제가 되었다.] G식백과에서 해명하길 [[2021년 재보궐선거]] 당일에 찍힌 사진이며, 선거 당일은 선거운동 금지라 할 일이 없어서 선거사무소 컴퓨터로 스타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상대에게 본진이 다 털려서 어차피 진 거 상대를 빡치게나 하자는 생각으로 일꾼테러를 하려고 베슬을 뽑았다고 한다. 그 외 한다고 한 게임으로 [[도타 2]]가 있고 본인이 도슬람 인증까지 한 적이 있으나 지금도 하는지는 불명이며 [[리그 오브 레전드]]는 대회 직관은 했지만 딱히 한다고 한 적은 없다.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커뮤니티]] 관련 === * [[페이스북]] 활동을 굉장히 활발하게 한다. 같은 당내에서는 [[하태경]] 국회의원이나 [[장진영(1971)|장진영]] 변호사 등과 용호상박을 이룬다. 주로 이용하는 것은 [[페이스북]]이지만 [[인스타그램]] 활동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여러 토론회를 통해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주 사용 연령대인 10대~20대의 젊은 세대에 긍정적인 어필이 된 모양인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을 활발히 사용하는 보수 정치인들 중 압도적인 [[좋아요]]와 [[댓글]] 수를 기록한다. 다만 이준석의 SNS 화법이 상당히 직설적이고 조롱조가 강한지라 같은 보수 지지층 사이에서도 활동은 호불호가 갈리는 편. * [[2018년 재보궐선거]] 직전까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프로필 사진으로 본인 사진이 아니라 오너캐를 쓰고 있었는데 본인의 실제 모습과는 괴리가 있을 정도로 표현했다. 덧붙여 페이스북 소개 문구는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저탄수 고지방 다이어트를 실천 중입니다.]]"''', 인스타 문구는 '''상계동 잉여인간.''' * 페이스북에는 각종 사회 현안에 대한 스크랩 포스트도 자주 올라오는데 그럴 때마다 댓글란에는 항상 전쟁터가 펼쳐지곤 한다. 몇몇 포스트의 경우에는 기사화가 되기도 했다. [[더 지니어스]] 시즌 중에는 지니어스 뒷이야기들이, [[썰전]] 출연 중에는 썰전에 쓴 마인드 맵들이 가끔씩 올라오기도 했다. 가뭄에 콩 나듯 모교 하버드 대학교 이야기들이 올라오기도 한다. * 이준석 본인은 자기 페이스북에서 다른 사람 댓글에 대댓글을 달거나 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악플을 단 사람을 차단하는 일은 가끔 있다.[* 구글에서 "이준석 페북 차단" 등으로 검색해 보면, 이준석에게 페북에서 쓴소리 했다가 차단당했다는 사례가 제법 많이 나온다.] [[내로남불|아이러니하게도]], 이준석 본인은 홍준표에게 페이스북 차단을 당하고서 부당하다고 호소했고 [[이준석 추가 징계 사건]] 때 자기가 말 좀 험하게 했다고 징계를 하는 건 [[표현의 자유]] 침해라고 주장했다. *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에 같이 출연한 [[오현민]]과 [[김경훈/더 지니어스|김경훈]]을 게시물에 자주 언급하였다. 가끔 쓰는 정치글에서 [[아베 신조]] 당시 총리의 외교적 뻘짓을 '김경훈 짓'으로 비유한다거나, 집에서 자고 있는 오현민을 [[일본을 공격한다]] 식으로 탓한다든가, 더 지니어스 후반부 무렵에는 '찌찌를 사람 만들겠습니다'라며 같이 술을 먹는 사진을 올리곤 했다. 그런데 왜인지 항상 김경훈 페북에 이준석이 먼저 뻗어버린 사진만 올라오는 것 같다. [[https://fbcdn-sphotos-g-a.akamaihd.net/hphotos-ak-xft1/v/t1.0-9/12020033_935776339833444_5197658080883306060_n.jpg?oh=7afda0589bd54c7a2d3c66510551364b&oe=56A03F81&__gda__=1449244427_826634f712532be1f690b6e515230ec7|결국 마지막에 복수했다.]] *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이 한창 유행하던 시절, 페이스북 내에서 "오현민 씨 아시나요" 캠페인을 김경훈과 같이 진행한 바 있다.[[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videos/934808386596906|#]] * 목요일 밤이라는 동시간대에 [[이상민(룰라)|이상민]]과 [[장동민]]이 출연하는 [[방송국의 시간을 팝니다]]와 본인이 출연하는 [[썰전]]이 선의의 경쟁을 하게 되었는데, 2015년 12월 9일 페이스북으로 [[시청률]]이 3%를 넘을 시 [[명동 삼겹살 사건|보신각에서 삼겹살을 구워먹겠다]]는 공약을 [[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78613205549757|해 버렸다]]. * SNS 상에서 본의 아니게 [[https://www.facebook.com/tvnthegenius/photos/pb.845793805433465.-2207520000.1449797025./1025143064165204/?type=3&theater|TS 당했다.]] [[박보영]]과의 싱크로율이 의외로 높은 것에 주목하자. * 과거에는 오현민, 김경훈 이외에 [[김유현]], [[이두희]], [[최연승/더 지니어스|최연승]], [[차명진]] 전 의원, [[김가연]] 등이 이준석의 페이스북에 댓글을 남겼었고, 총선 출마를 선언한 2016년 1월부터는 같은 더 지니어스 참가자들의 댓글 빈도수가 줄어든 대신 이웃 선거구에 출마하는 새누리당 예비 후보들이 댓글들을 남기기 시작했고, 2021년부터 현재까지는 [[김재섭]], [[김용태(1990)|김용태]], [[이기인]], [[김수민(정치인)|김수민]] 등 현직 정치인들이나, [[최훈민]], [[이상민(1994)|이상민]] 등 유명 언론인들이 댓글을 달고 있다. * 국내 정치인들 중에서도 팬 서비스는 굉장히 좋은 축에 들어간다. 당대표 출마를 한 당시 [[대구광역시]]까지 와서 [[경북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저서에다가 싸인을 해주고 건네주었다. * [[나무위키]]를 눈팅하는 듯하다.[[https://www.facebook.com/junseokandylee/posts/960295827381495|#]] 다만 나무위키 정치 관련 글에는 매우 부정적이다. 애당초 나무위키를 근거로 정치 활동을 한다는 것에 매우 거부감을 갖고 있을 정도. * [[문재인 정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엠엘비파크]]에서 싫어하는 보수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이준석도 이를 알고 있어서 이들과는 상종을 안 하겠다고 SNS에 밝혔을 정도. 그러나 엠팍 유저들이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 부정적인 여론으로 변하면서 대안세력으로서 이준석에 대한 호감 여론이 높아졌고 한때 가장 열성적인 지지 사이트 중 한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엠팍이 국민의힘 20대 대선 경선 과정에서 [[윤석열]] 지지로 굳혔고, 이준석-윤석열 갈등이 불거지면서 엠팍은 다시 반이준석 성향이 되었다가,[* 참고로 이 당시에는 이준석을 이준석이라 부르지 않고 0선 또는 이준석의 석을 돌 석(石)을 활용해 돌대가리로 비하하며 이준돌이라고 불렀다.] 이후 윤석열의 지지율이 낮아지자 친이준석 유저들과 반이준석 성향의 유저들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 [[우파 유튜버]]들에 대해 적대적이다. [[신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윤석열-권성동 텔레그램 논란|자기가 내부총질을 하는 자라는 주장]]이 '유튜버 세계관'이라고 주장한 것이 대표적이다.[[https://shindonga.donga.com/3/all/13/3623716/1|#]] 이 사실이 역으로 보여 주듯이, [[조갑제]], [[여명숙]] 같은 일부 예외를 논외로 하면, 우파 유튜버들도 이준석에 대해 대체로 적대적이다. 그리하여 이준석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 이준석의 지지자들이 '틀튜브 좀 작작 봐라'라고 반발하는 것이 클리셰가 되어 있다. 약간 의외의 사실은, "틀튜브"라는 것은 [[홍준표]]가 처음 사용한 멸칭인데, 정작 이준석은 이 표현을 사용한 적이 없다. * [[Threads]]가 생기고서 이를 자주 이용하고 있는데, 페북에서와 달리 여기서는 댓글로 다른 사람들과 언쟁을 벌이기도 한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151733|#]] == 저서 == || {{{#ffffff '''저서'''}}}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린 놈이 정치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거침없이 배우는 linq.jpg|width=100%]]}}} || || 어린 놈이 정치를? (2012.4.) || 거침없이 배우는 LINQ[*번역] (2012.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 의견에는 동의합니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공정한 경쟁.jpg|width=100%]]}}} || || 그 의견에는 동의합니다[*공저] (2018.3.) || 공정한 경쟁 (2019.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거부할 수 없는 미래.jpg|width=100%]]}}} || || 이준석의 거부할 수 없는 미래 (2023.3.) ||}}}}}}}}} || == 어록 == ||||{{{#!wiki style="margin:10px" {{{-1 '''대국민선언![* 방송편집자가 임의로 자막으로 띄운 문구가 아니라, 이준석이 방송에서 두 손을 펴 보이면서 직접 말했다.] 제가 절대 한나라당의 비례대표의원이나 이런 것을 하지 않을 것이고, 현실 정치에 참여할 생각이 없습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2012년 1월 5일 '주병진 토크콘서트'에서, 자신은 직업 정치인이 될 생각이 없고 비상대책위원을 마치는 대로 회사로 돌아가야 한다면서[[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1052351201001|#]][[https://youtu.be/IiZ2QOop6bk|#]]}}}}}} || ||||{{{#!wiki style="margin:10px" {{{-1 '''여러분. 세상은 키보드 밖에 있어요.'''}}}}}} ---- {{{#!wiki style="margin:4px" {{{-2 2013년 5월 23일 EBS '용서' '진보 논객 진중권과 젊은 보수 이준석' 편 중에서[[https://www.wikitree.co.kr/articles/121152|#]]}}}}}} || ||||{{{#!wiki style="margin:10px" {{{-1 '''당신이 해고되면 우리 모두가 살 수 있다는 말에 누가 동의해주겠어요?'''[* 당 내에서 이준석을 '정리해고' 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마다 꾸준히 등판하는 어록. 본인 역시 이 철학대로 움직인다.]}}}}}} ---- {{{#!wiki style="margin:10px" {{{-1 '''내가 저번에 느낀 건 아름다운 패배가 별로 도움이 안 된다는 거야.'''}}}}}} ---- {{{#!wiki style="margin:4px" {{{-2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9화]] 중}}}}}} || ||||{{{#!wiki style="margin:10px" {{{-1 '''의미를 만드는 게.. 목적이지!'''}}}}}} ---- {{{#!wiki style="margin:4px" {{{-2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9화]] 중}}}}}} || ||||{{{#!wiki style="margin:10px" {{{-1 (다른 당들이) 국익을 고려해서 지지할 수 없다? '''민주주의라는 절대적 가치에 조건을 달기 시작하면 민주주의자가 아니죠.'''}}}}}} ---- {{{#!wiki style="margin:4px" {{{-2 홍콩 민주화 운동 참여 인터뷰 중}}}}}} || ||||{{{#!wiki style="margin:10px" {{{-1 '''보수의 악성종양'''}}}}}} ---- {{{#!wiki style="margin:4px"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부정선거 음모론|부정선거 음모론]]을 비판하며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211018/109758639/2|#]]}}}}}} || ||||{{{#!wiki style="margin:10px" {{{-1 우리 당원들은 앞으로 모두 국내외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미얀마 민주화 운동|미얀마]], [[북한]]을 가리지 않고 민주주의의 파괴자들에 맞서는 수호자가 되어야 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dailyhongkong.com/2021/05/31/lee-jun-seok-candidate-for-koreas-largest-opposition-party-criticizes-president-moon-jae-in-for-being-lukewarm-about-the-hong-kong-situation/|당 대표 후보 경선 연설문]]}}}}}} || ||||{{{#!wiki style="margin:10px" {{{-1 통합의 전제 조건은 간단합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다른 생각]]과 공존할 자신감이 있으십니까?" 내 생각과 다른 의견을 이야기하는 사람도 선한 사람이고, 애국자라는 것을 입 밖으로 내어 인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youtu.be/Ih00uPq8pE8?t=151|국민의힘 대구 합동 연설회에서]]}}}}}} || ||||{{{#!wiki style="margin:10px" {{{-1 우리는 배려를 가장한 격리와 배제가 무섭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학생들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며 선심 쓰는 척하는 것은 위선입니다. 학교에서 뒤처진 학생이 다시 제 궤도에 복귀하기 힘든 것이 현재 저소득층 학생들이 겪는 교육의 현실이라면 우리는 그들이 다시 경쟁할 수 있도록 끌어올려 주어야 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youtu.be/zNsZA6Ofj24?t=181|국민의힘 대전 합동 연설회에서 1]]}}}}}} || ||||{{{#!wiki style="margin:10px" {{{-1 [[통일]]은 해야 된다. 그러나 지금 이야기되는 형태의 통일[* 북한 체제가 유지되는 형식의 통일] 보다는 우리 체제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하는 다른 형태의 통일, 소위 말하는 흡수통일에 관심이 있다.[* 이준석은 저서에서도 북한 붕괴론에 의한 통일을 가장 이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나라 체제로 통일을 해야지, '''우리가 북한으로부터 뭘 배우겠나?'''}}}}}} ---- {{{#!wiki style="margin:4px" {{{-2 중앙일보 인터뷰 [[https://youtu.be/b4T77scaL-M|#]]}}}}}} || ||||{{{#!wiki style="margin:10px" {{{-1 학생들이 물고 태어난 수저의 색깔 때문에 꿈을 지워 나가야 하는 사회는 '''공정'''하지 못합니다. 경쟁의 출발선에 서기 전까지 아이들이 부족함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공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우리의 책무입니다.}}}}}}|| ||||{{{#!wiki style="margin:10px" {{{-1 어떤 선동가가 교육의 기회를 잃어가는 아이들을 내버려두고 나중에 그들이 뒤처졌다는 이유만으로 '''[[포퓰리즘|매달 10만 원을 주는 것]]'''이 복지 정책이라고 이야기한다면 저는 완강하게 거부하겠습니다. 그 10배의 비용을 들여서라도 그들을 다시 '''공정한 경쟁'''의 장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국가가 교육의 책무를 다하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해법입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youtu.be/zNsZA6Ofj24?t=312|국민의힘 대전 합동연설회에서 3]]}}}}}} || ||||{{{#!wiki style="margin:10px" {{{-1 2021년 6월 11일을 분수령으로 삼읍시다. 이 시간 이후로 우리 사이에서 상호 간의 논리적인 비판이나 진심 어린 지적이 아닌, [[이준석/논란 및 사건 사고/국민의힘 대표#s-26|불필요한 욕설과]] [[윤핵관|음모론, 프레임 씌우기]] 등의 구태에 의존하려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맞서 주십시오. [[이준석/논란 및 사건 사고#s-8.4|저는 다른 생각과 공존할 자신이 있고,]] 과거에 얽매이지 않을 자신이 있지만 앞으로는 우리는 수권세력임을 보여줘야 합니다. 젊은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서 관대해져야 하고, [[윤석열-이준석 갈등|내가 지지하지 않는 대선후보라고 해서 맹목적으로 욕부터 하고 시작하는 야만]]은 사라져야 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국민의힘 당대표 수락 연설 중에서[* 그러나 막상 대선 승리후 대통령과의 갈등이 이어지자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3/11/06/MNDTQ5TOPZACLCTQCL46ETNFFE/|지금 그렇게 하고 있는지 자문해보기 바란다.]]라는 비판이 나왔다. ]}}}}}} || ||||{{{#!wiki style="margin:10px" {{{-1 [[내 거친 생각과 불안한 눈빛과|제가 말하는 변화에 대한 이 거친 생각들, 그걸 바라보는 전통적 당원들의 불안한 눈빛, 그리고 그걸 지켜보는 국민들에게 우리의 변화에 대한 도전은 전쟁과도 같은 치열함]]으로 비춰질 것이고, 이 변화를 통해 우리는 바뀌어서 승리할 것입니다. }}}}}} ---- {{{#!wiki style="margin:4px" {{{-2 [[https://youtu.be/TProujItehY?t=512|국민의힘 당대표 수락 연설]]}}}}}} || ||||{{{#!wiki style="margin:10px" {{{-1 생각해보십시오. 비빔밥의 재료를 모두 갈아서 밥 위에 얹어준다면 그것은 우중충한 빛일 것이고 먹는 느낌은 생각하기도 싫습니다. 우리가 비빔밥의 고명들을 갈아버리지 않기 위해서는 스테레오타이핑, 즉 “다움”에 대한 강박관념을 벗어던져야 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www.peoplepowerparty.kr/renewal/news/notice_view.do?bbsId=HNS_000000002091163|국민의힘 당대표 수락연설]]}}}}}} || ||||{{{#!wiki style="margin:10px" {{{-1 [[윤핵관|그런 식의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당 주변에 있다는 것은 선거의 필패를 의미합니다. (중략) 그게 다 후보의 권위를 빌어가지고 호가호위하는 것이고, '''저는 그런 실패한 대통령 [[윤석열|후보]], 실패한 대통령 만드는데 일조하지 않겠습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youtube.com/watch?v=fqk7dyktXDo|[[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당무 거부 사건|당무 거부 사건]] 이후 JTBC 인터뷰]]}}}}}} || ||||{{{#!wiki style="margin:10px" {{{-1 잘못된 것에 대해 당 대표니까 꾹 참고 한마디도 해선 안 된다는 게 보수의 문화라면 바뀌어야 되는 것이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01392?sid=100|[[이준석-조수진 공개 충돌 사건|선대위원장 사퇴]] 이후 동아일보 인터뷰]].}}}}}} || ||||{{{#!wiki style="margin:10px" {{{-1 지금 우리 후보에게서 이탈한 표의 대부분은 203040표인 걸 알 겁니다. 혹자는 이렇게 얘기할지 모릅니다. '''"이준석이 2030을 인질 삼아 가지고 본인의 정치적 목표를 실현한다"고요.''' "지방선거에서 이준석이 득세하기 위해서 이런 난동을 부리고 있다."라고 표현하는 유튜브들에게 제가 반박하겠습니다. '''제가 단 한 번이라도 제가 경선이 아닌 방식으로 사람을 꽂아놓은 적이 있습니까? 제가 당대표로서 행사할 수 있는 인사권을 제가 공정하지 않은 방식으로 행사한 적이 있습니까? 제가 지방선거에 대해서 시험을 치겠다는 것이 어떻게 제 사람을 꽂아놓고 지방선거를 장악하겠다는 얘기겠습니까?'''}}}}}} ---- {{{#!wiki style="margin:10px" {{{-1 '''우리가 민주당보다 못한 게 뭡니까?''' [[이재명]]이 탈모 공약 만들었다고 해서 뭐가 그렇게 대단합니까? 우리는 조금 더 국민을 생각하고 현실적이기 때문에 내지 못했던 겁니다. [[이종성(1970)|이종성]] 의원님이랑 저랑 고민하던 장애인 관련 공약들, 이런 것들이 더 대한민국에서 중요한 그런 공약들입니다. [[송언석]] 의원님 준비하고 계시던 그 작전, 민주당에 무슨 쌀집 아저씨가 가고 뭐 한다는 우리가 우월한 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 준비되어 있습니다. 오직 하나, 우리가 단결돼가지고 선거 승리를 가겠다는 그런 마음만 우리가 모을 수 있으면 내일부터 치고 올라갈 수 있고 저는 오늘 꼭 그런 회의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2022년 1월 6일. 국민의힘 의원총회 모두발언 중[* 참고로 이날 '''1만자 가량의 발언을 원고 없이''' 30분간 연설하였다.]}}}}}} || ||||{{{#!wiki style="margin:10px" {{{-1 '''선거에 지면 집에 갈 사람은 [[윤석열|당신]]과 나 뿐이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20111/111187876/1|#]] [[윤석열]] 대선후보와의 화해 직전에 남긴 말.}}}}}} || ||||{{{#!wiki style="margin:10px" {{{-1 제가 '''[[흑화]]'''하지 않도록 만들어 주십시오. 제가 흑화하면 그것도 재밌을 겁니다, 진짜. 저같이 여론 선동 잘하는 사람이 흑화해 가지고 그러고 다니면 어떻게 되는지 기대해도 될 겁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2022년 6월 12일, 당대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99045|#]][* 이 발언 한 달 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수립 논란]]이 있었고, 그 후 이준석이 가처분을 다수 신청하고 장외 여론전을 이어가자, 언론에서도 [[https://www.news1.kr/articles/4798778|"예고대로 '흑화'하기 시작했다."]]라는 평이 나왔다.] }}}}}} || ||||{{{#!wiki style="margin:10px" {{{-1 예전에 대통령실에서 그런 텔레그램 문자에 대해서 이 대표가 오해하지 말기를 바란다고 해서 '''오해하지 않고 정확하게 알아들었으니 오해했다고 오해하지 말라''' 고''(하였다)''}}}}}} ---- {{{#!wiki style="margin:4px" {{{-2 2022년 8월 13일, 기자회견에서}}}}}} || == 선거 이력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illyCombativeImaginaryPolice, 합의사항1=인물 경쟁력이 아닌 지역구 특성과 소속당의 악재가 이준석의 선거 패배 요인인 것으로 서술으)]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3> 서울 [[노원구 병|노원 병]]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2,285 (31.32%) ||<|3> 낙선 (2위) || || || 2018 || [[2018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br]([[제20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5,001 (27.23%) || [* 2017.4.17. 전임자 [[안철수]] 사퇴([[제19대 대통령 선거]] 출마).]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6,373 (44.36%)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준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재보궐준석.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노원구 병|{{{#000000,#fff (서울 노원구 병)}}}]] || [[2018년 재보궐선거|{{{#000000,#fff 2018년 재보궐}}}]] [[노원구 병|{{{#000000,#fff (서울 노원구 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준석.jpg|width=100%]]}}}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노원구 병|{{{#000000,#fff (서울 노원구 병)}}}]][* 2018년 재보궐선거 당시의 사진을 다시 사용하였다. 이 사진은 2021년 이준석이 당대표로 선출된 [[국민의힘/제1차 전당대회|국민의힘 전당 대회]]에서도 포스터에 사용되었다.] || ||}}}}}}}}} || 중진급 인사이지만 정작 본인 선거는 3전 3패를 기록하는 바람에 [[마삼중]], "'''-3'''"이라 놀림받기도 한다. 하지만 상계동 자체가 보수 정당에 불리한 험지고 이준석이 출마한 3번의 선거 모두 소속 정당[* [[새누리당]], [[바른미래당]], [[미래통합당]].]이 각종 악재가 많았던 탓에 참작의 여지가 있다. 2016년 [[20대 총선]]은 [[새누리당]] 내 [[친박]]과 [[비박]] 간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결국 야당이 1당을 차지하는 결과가 나온 선거였고 무엇보다도 아직 '''[[안철수]]''' 신드롬이 건재하던 시절 안철수가 노원병 재선에 나섰기 때문에 너무 어려운 싸움이었다. 이준석을 지원하러 온 [[김무성]] 대표가 이준석보다 안철수를 더 많이 언급한 끝에 '안철수'를 뽑아달라는 말실수를 할 정도였고, 그 전에 노원병에서 당선되었던 [[노회찬]]도 노원병 탈환을 고려하다가 포기하고 창원으로 내려갈 정도로 상대가 강했다.[* 그래서 당에서 [[손수조]]처럼 자객공천으로 써먹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실제로 낙선으로 인한 타격은 없었고 오히려 이준석의 주가만 더 높아졌다. 이준석은 이후 [[2022년 6월 보궐선거]]에서 이재명의 출마가 기정사실화되자 '맞춤형 자객' 드립을 치면서 해당 지역에 여러 번 출마했던 [[윤형선]]을 그대로 내보내 자신도 똑같이 써먹는다.] 본인이 나중에 술회하길 3자대전이 벌어지면 가능성이 있다고 봤는데 노회찬의 창원행으로 무산되면서 맥없이 졌다고 한다.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으로 지지율 80%을 노리던 시절이라 역시 사정이 좋지 못했다. 이 때 이준석 후보는 [[자유한국당]]의 [[강연재]] 후보를 제치고 2등을 기록했는데, 이 당시 바른미래당은 공천 문제를 두고 [[친안]],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출신과 [[친유]], [[바른정당]] 출신 간의 갈등이 극심했고[* 이준석 본인도 이때 노원병에서 공천받으려고 했는데, [[안철수]] 측에서는 이준석을 컷오프시키고 자기 측근이었던 [[김근식]]을 꽂아넣으려고 했다가 불발되었다. 이 일로 인해 지금까지도 이준석과 안철수 간의 관계는 매우 나쁘다.] [[탄핵]]으로 망한 [[자유한국당]]은 물론 [[민주평화당]]보다도 더 망하는 대참사를 낸 상황이었다. '''2등이라도 기록한 바른미래당 후보는 이준석이 거의 유일'''했기 때문에 오히려 선전한 편이다. 2020년 [[21대 총선]] 때는 비록 낙선했지만 노원병의 유일한 보수당 당선자인 홍정욱 후보의 기록을 제치고 44.36%(vs 53.1%)의 득표율을 기록해 역대 보수정당 후보들 가운데서는 가장 높은 득표율을 달성하였다.[* 홍정욱 후보보다 만표를 더 받았다. 그래서 낙선 후 지금까지 노원병에서 한 번도 보수정당을 뽑아보지 않았던 10,000표가 어디서 왔는지 알 것 같다고 감사를 표했다.] 이 때도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한 정부 지원론의 우세가 강했던 데다 소속 정당인 [[미래통합당]]은 강성 지지자들에게 휘둘리거나 각종 막말 논란을 일으키는 삽질만 거듭하면서[* 추후에 회고하길 캠프 내부 여조에서는 미세하게 앞서고 있었는데 차명진 막말사건이 터지면서 도로 역전당했다고 한다.] 후보 개개인에게 악재만 떠안겼다. 결국 해당 선거는 민주당이 [[180석]]을 가져가며 보수정당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를 맞이했고 미래통합당 간판 또한 내려갔다. 옆 지역구인 [[노원 갑]]과 [[노원 을]]에서는 민주당 후보와 통합당 후보의 득표율 차이가 각각 약 '''18%p, 26%p'''였다. 이준석과 김성환의 득표율 차이는 9%p. 노원구 병(상계동) 지역구가 얼마나 험지냐면, 노원병 선거구가 분리신설 된 2004년 총선 이래 치러진 7번의 선거에서 보수정당 출신이 당선된 경우는 보수정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했던 2008년 [[18대 총선]]의 [[홍정욱]](43.10%)이 유일하며 이때도 [[노회찬]](40.05%)과 민주당의 [[김성환(1965)|김성환]][* 현직 노원 병 국회의원. 이준석을 낙선시킨 그 사람이다. 처음에 낙선 시킨 사람은 당시 [[국민의당(2016년)]] 소속이었던 [[안철수]]다.](16.26%)으로 표가 나뉘었음에도 노회찬과 불과 3%p 차이로 당선되었다. 이 정도로 노원 병은 보수정당에 불리한 험지이다. 결국 선거에서 계속 고배를 마신 데에는 지역구의 특성과 소속 당의 여러 악재가 크게 작용했다. 한편 지금까지 노원구 병 지역구에 출마한 세 번의 선거 모두 각자 다른 당적 소속으로 출마했다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16년 20대 총선 당시에는 [[새누리당]],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바른미래당]], 2020년 21대 총선 당시에는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출마했다. 현재는 미래통합당이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변경했기 때문에 2024년 22대 총선에서도 징계 문제가 해결되어 국민의힘 소속 후보로 노원구 병에 공천되거나 아니면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해도 이러한 기록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 대표로 선출된 직후 보궐선거에서 종로 출마설이 돌기도 했다. 실제로 현직 당대표가 정치 1번가인 종로에 있으면 차기 대선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출마 제안이 있었지만 본인이 거절했다. 차기 총선도 상계동에 출마하겠다고 못 박았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br]([include(틀:한나라당)]) || 2011 - 2012 || 정계 입문[* 처음 한나라당, 새누리당 비대위원으로 활동했을 때는 당적이 없는 상태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08/0000006329|#]]]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6 || 입당[* 5월 전당 대회를 앞두고 정식 입당. [[https://n.news.naver.com/article/019/0002261519|#]]]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2017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2018 || 창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로운보수당)] || 2020 || 창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자유한국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참여 음반 == ||<-5> {{{#ffffff '''2021 지금 다시 하나되어'''}}}[br]{{{-2 {{{#ffffff 2021.4.2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 지금 다시 하나되어.jpg|width=100%]]}}}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 '''01''' ||'''지금 다시 하나되어''' {{{-3 [[https://youtu.be/o8LnIB006-c|MV]]}}} || 임기훈, [[최준영(작곡가)]] || [[최준영(작곡가)]], 정진향 || 김한년 || == 둘러보기 == [include(틀:이준석)] ---- [include(틀: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야권 정치인/2020년대)] ---- [include(틀:여의도 재건축 조합)]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준석/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192)] [[분류:이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