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WaggishSynonymousImpartialMist, 합의사항1=바른정당계 문서에서 이준석계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소개하는 문단을 존치하고 이준석계 문서는 별도로 작성하기)] ---- [include(틀: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 || '''{{{#FFFFFF 이준석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이준석)] ---- [include(틀:한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 [include(틀:한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 || ---- ||<-2> {{{#fff '''이준석계[br]{{{-1 친이준석계 | 개혁보수}}}'''}}} || || '''{{{#fff 형성}}}''' ||[[2021년]] || || {{{#fff '''수장'''}}} ||'''[[이준석]]''' || || {{{#fff '''주요 정치인'''}}} ||'''[[천하람]]'''[br]'''[[허은아]]'''[br]'''[[김용태(1990)|김용태]]'''[br][[이기인]][br][[신인규]][br][[김진태]][br][[전우원]]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사상을 따르거나 이에 동조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보수정당 내 개혁적 성향을 띄는 계파로 [[개혁보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계파의 수장인 [[이준석]]이 0선 원외임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에서 [[국민의힘]]에 이르기까지 10여년에 이르는 세월을 정계에서 지냈고, 36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당대표에 당선되며 계파가 생기기 시작했다. 특히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부터는 이전에 없던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 특징 == === 친유와의 관계 === 언론에서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가 다가오자 언론에선 친이준석, 이준석계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준석의 계파 정치인들을 나열하고 있는데, 이는 [[유승민]], [[친유]]와는 공통점도 많지만 차이점도 많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친유]]의 하위 계파로 볼 수 있지만, 친유계는 물론 [[새로운보수당계]][* 새보계와 바른정당계가 비슷한 것으로 언론에서는 묘사하지만, 바른정당계와 새보계는 미묘하게 차이가 있다. 대표적으로 현재 새보계에 속해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반윤]] 성향에 가깝지만, 바른정당에 속해있던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친윤]]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과거 바른정당계의 상당수가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거나 뿔뿔이 흩어지면서 바른미래당을 거쳐 새로운보수당까지 합류한 사람들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다.]와는 미묘하게 다르다. 계파의 수장인 이준석 역시 친유계에 속하고, 대체적으로 새로운보수당계 안에 친유와 친이준석이라는 계파가 있는 것은 같지만, 이준석과 유승민의 정치적 노선이나 표현 방식, 정치 방식에 상당히 차이가 있다. 사상적으로 유승민은 [[공화주의]]와 [[따뜻한 보수]]를 내세우며 국가의 역할에 좀 더 [[유승민/사상 및 견해|관심]]이 많은데 반해 이준석은 [[고전적 자유주의]], [[개인주의]] 중심 [[이준석/사상 및 견해|성향]]에 가깝다. 큰 틀에서 [[자유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의 [[중도우파]]라는 특징을 공유하지만 깊이 들어가면 차이점이 있다.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유승민의 경우 대체적으로 온건적인 워딩으로 표현하지만, [[이준석]]의 경우 [[페미니스트]], [[전장연]], [[친윤]], [[윤핵관]], [[안철수]], [[이재명]], [[친박]]과의 대립에서 알 수 있듯 직설적이고 공격적이다. 특히 당대표 자리에서 축출당한 이후로는 메세지가 더욱 직설적이 되었다. 다만 이준석이 메세지가 공격적이라고 이준석계 인물들이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정치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유승민은 텃밭인 [[동구 을]]에서만 4선을 했을 정도로 [[대경권]] 토박이 정치인이지만, 이준석은 부모님의 고향이자 텃밭인 [[대경권]]에서의 출마를 거절하고 출생지이자 험지인 [[노원구 병|노원 병]]에서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출마하였다. 그러나 두 계파 모두 보수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한다는 점, 당의 주류의 의견에 반하는 의견을 자주 낸다는 점, 상당수 인원이 겹친다는 점, 이준석과 유승민을 비롯한 계파 소속원 간에 친분이 많다는 점에서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굳이 비교하자면 [[친문]] - [[이낙연계]], [[친박]] - [[친황]]의 관계와도 비슷하다. === 계파 자체의 특징 === 대표적으로 언론이 이준석계 당대표 후보로 분류하고 있는 [[천하람]] 역시 이준석과 친분은 있으나, 이준석의 사상을 따르고 정치적으로 함께한다고 완벽하게 말하기엔 무리가 있다. 한편 천하람은 '''"이준석은 줄선다고 뭔가를 주는 사람이 아니다"''' 라며 이준석계를 '썩은 동아줄'이라 표현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47194?sid=100|#]][* 이준석의 정치사상은 모두가 공정하게 경쟁하는 정치이므로, 천하람 역시 자기가 이준석의 편이 되어 줄을 서봤자 딱히 떡고물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있다. 기껏해야 정말 공평하게 경쟁할 수 있게 돕는 정도.] 이준석은 기성 정치인들처럼 줄서면 보상을 주는 등 형태의 정치를 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지층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조금 거리를 두는 식으로 합의한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보수정당 지지층에 새로 유입된 2030, 특히 남성들이 대부분 친유 혹은 이준석계 지지층에 속한다. == 역사 == [[국민의힘 1차 전당대회]]에서 이준석이 돌풍을 일으키며 당대표에 당선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계파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준석은 당대표에 취임한 이유 [[나국대]], [[제1회 국민의힘 토론배틀 : 나는 국민의힘 대변인이다|토론배틀]] 등 청년들의 정치유입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였고, 이에 유입된 정치세력들이 초기 이준석계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당 대표 자리에서 숙청되는 그 순간까지도 이준석에게 계파라고 부를 만한 세력은 사실 눈에 띄게 없었다. 이준석의 축출을 반대한 [[유승민]], [[정병국]], [[유의동]] 등의 중진 정치인들은 이준석의 선배 정치인들이거나 [[친유|같은 계파]] 정치인이었고, 기타 이준석을 옹호하고 윤핵관을 비판한 정치인들 역시 대부분 원외 정치인들이었다.[* [[천하람]], [[여명숙]] 등] 2022년까지만 해도 서로 의견을 공유하기만 할 뿐 다른 계파와 같은 조직적인 움직임이 거의 없었으나 이준석이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에서 일부 후보들을 지원하면서 조직적 움직임이 생겼고 언론에서도 이들을 이준석계라 부르기 시작했다. 2023년 2월 10일, 이준석계로 분류되었던 후보 4명 전원이 3차 전당대회 컷오프를 통과하였다.[[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3/02/10/YKUISCRK35BWFPZ2JYWU3ELGGI/|#]] 2023년 2월 16일, [[https://youtu.be/4aaF1WW8E3o?t=61|BBS 방송에 출연한]] 이준석이 스스로를 [[벤허]]에, 천아용인 4인방은 자신이 훈련시키는 [[말]]에 비유하였다. 이준석계 구성원들 간의 관계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이준석이 밝힌 것. == 구성원 == [[파일:0A59235A-BD56-49E4-B528-7340DB27AAC5.jpg]]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에 출마한 4인방이다. 차례대로 [[천하람]], [[김용태(1990)|김용태]], [[허은아]], [[이기인]]. 이 네 사람을 묶는 팀 이름도 있는데 각자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온 '천아용인'이다. === 수장 === * '''[[이준석]]'''[*친유 친유 출신] (전 국민의힘 대표) : 계파의 수장이다. === 원내 인사 === * [[김웅(1970 정치인)|김웅]][*친유] (현 [[송파구 갑]] 국회의원)[* [[친유]]계이자 새로운보수당계이기도 하다. 이준석과 유승민에게 가장 가까운 원내 정치인이다.] * [[허은아]] (현 국민의힘 비례대표 국회의원) * [[하태경]][*친윤][*친유] (현 [[해운대구 갑]] 국회의원)[* [[친윤]]과 [[친이준석]]을 자처하고 있는 유일한 원내 정치인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298187|#]]] === 원외 인사 === * [[곽승용]] (현 국민의힘 허은아 최고위원 후보 보좌역) * [[김민규(2003)|김민규]] (현 국민의힘 바로 세우기 부대표) * [[김용태(1990)|김용태]][*친유] (현 국민의힘 광명시 을 당협위원장) * [[김재섭]][*친유] (현 국민의힘 도봉구 갑 당협위원장) * [[김정수(1995)|김정수]][*친유] (전 바른미래당 부대변인) * [[문성호]][*친홍] (현 국민의힘 대변인) * [[신인규]] (전 국민의힘 부대변인, 현 국민의힘바로세우기 대표) * [[전우원]][*민정계] * [[이기인]][*친유] (현 경기도의원) * [[이유동]] (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 * [[임승호]][*친유] (전 국민의힘 대변인) * [[임형빈(정치인)|임형빈]] (현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 * [[천하람]] (현 국민의힘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당협위원장) * [[김진태]][*친박] == 관련 문서 == * [[에펨코리아]] *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디시인사이드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 * [[이준석 마이너 갤러리|디시인사이드 이준석 마이너 갤러리]] * [[유승민 마이너 갤러리|디시인사이드 유승민 마이너 갤러리]] * [[사회 채널|아카라이브 사회채널]] [[분류:이준석]][[분류:대한민국의 계파]][[분류:보수주의]] [include(틀:포크됨2, title=이준석계, d=2023-02-26 09: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