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동궁 주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D90, #4851cb 20%, #4851cb 80%, #373D90); color: #FFD400" '''사동궁 제2대 사손'''}}} || ||<-2> '''{{{#fff 대한제국 고종의 증손[br]{{{+1 이준 | 李準}}}}}}''' || ||<-3>{{{#!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이준황손_프로필사진.jpg|width=100%]]}}}|| ||<|2> '''출생''' ||[[1961년]] [[9월 11일]] ([age(1961-09-11)]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덕수궁]]||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전주 이씨|전주]](全州)|| || '''이름''' ||이준(李準)|| || '''증조부''' ||[[고종(대한제국)|고종]]|| || '''증조모''' ||[[명성황후|명성황후 민씨]](적증조모)[br][[귀인 장씨(고종)|귀인 장씨]](생증조모)|| || '''조부''' ||[[의친왕|의친왕 이강]]|| || '''조모''' ||[[의친왕비|의친왕비 김씨]](적조모)[br]수인당 김씨(생조모)|| || '''부친''' ||[[이곤(1919)|이곤]][* [[의친왕]] 가문의 차남으로 아명은 명길이며 손위 형들이 종친에 양자출계함에 따라 사동궁 사손이 되었다]|| || '''모친''' ||황경생|| ||<|2> '''가족 관계''' ||누나: 이양, 이기, 이제|| ||부인: 김성자[br]장남: 이범[* 황실명 범, 호적명 승환, NH농협 근무][br]차남: 이백[* 황실명 백, 호적명 승은, 국기원 태권도 사범]|| || '''사동궁 사손[br]재임 기간''' ||[[1984년]] [[3월 24일]] ~ 현재|| || '''현직''' ||의친왕기념사업회 회장|| || '''링크''' ||[[https://instagram.com/korean.roya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facebook.com/sadonggu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com/@korean.empi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blog.naver.com/sadonggun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제국]] 황실의 후손이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증손이며, 고종의 차남[* 고종의 조졸(어려서 사망)한 자녀들 포함하여 5남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성인까지 생존한 고종의 자녀는 1남 [[순종(대한제국)|순종]], 2남 의친왕, 3남 [[영친왕]], 4녀 [[덕혜옹주]]의 3남 1녀이다. 성인까지 생존한 자녀 기준으로 '차남'으로 표기하였다.] [[의친왕]]의 손자로 사동궁(寺洞宮, 의친왕부)의 사손(嗣孫)이다. 의친왕기념사업회[[https://www.instagram.com/korean.royals|#]]의 회장을 맡고 있다. == 생애 == 1961년 9월 11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의친왕]]의 6남 [[이곤(1919)|이곤]]과 황경생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손위로 첫번째 아들인 이수가 있었지만 조졸(어려서 사망)하여 장남으로 표기하였다.] 의친왕의 2남부터 5남까지는 다른 종친들의 후사를 잇기 위해 출계했고[* 둘째 [[이우]]는 [[운현궁]]으로, 셋째 이방은 [[소현세자]]파로, 넷째 이창은 [[은전군]]파로, 다섯째 [[이수길|이주]]는 [[인평대군]]파로 출계하였다.], 1남 [[모모야마 켄이치|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함에 따라, 의친왕의 사후 이곤이 사동궁 사손, 즉 의친왕가의 종주가 되었고, 이곤의 별세 후 이준이 그 지위를 물려받았다. 유년 시절 잠시 [[칠궁]]과 [[덕수궁]]에서 거주하다가 정부의 퇴거 조치로 인해, 가족과 함께 [[서울특별시|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205번지 [[홍릉]] (現 영휘원(永徽園, 순헌황귀비 엄씨의 묘소) 재실로 거처를 옮겼다. 성장 후 외국계 대기업에서 상무이사, 전임이사, 부이사장, 이사장으로 근무했다. 한때 이복 숙부 [[이석]][* 의친왕의 10번째 아들로, 〈비둘기집〉으로 히트친 '노래하는 황손'으로 유명하다. 전주 한옥마을 거주. 황실복원에 가장 적극적이었다.]의 도움으로 1998년에서 1999년까지 [[희망의 한국신당]] 중앙위원 직위를 역임했고, 2000년에서 2001년까지는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상임행정위원으로 재임했다. 1989년 4월 21일 고모 할머니 [[덕혜옹주]]가 76세를 일기로 자녀가 없이 별세하자 [[덕혜옹주]]의 장조카인 이준 황손이 상주가 되어 [[창덕궁]] 수강재에서 4월 25일, 황실 가족장으로 영결식이 엄수되었다.[* 황실 가족장이었으나 [[국방부]] 의장대까지 동원되었으니 사실상 국민장이나 다름없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혜옹주_상주_이준황손.jpg|width=100%]]}}} || || {{{#fff '''덕혜옹주 영결식에 상주를 맡은 장조카 이준 황손'''}}} || 덕혜옹주의 영결식이 끝나고 같은달 30일 [[영친왕]]비 [[이방자]]가 서거하자 당시 일본에 살던 당숙인 [[이구(1931)|이구]]가 한국에 도착하기 전, 3일 동안 이준 황손이 상주를 대신하였고, [[이구(1931)|이구]]가 도착하자 함께 칠일장을 치루었다. 2005년 회은황세손 [[이구(1931)|이구]]가 별세하자 부인 및 사촌동생 [[이원(1962)|이원]] 황사손[* 2005년 이구 황세손의 사후양자로 입적하였다] 내외와 함께 이구의 삼년상을 치렀다. == 의친왕기념사업회 설립 == 2022년 정년퇴임 후, 엔지니어로서의 경험과 기회를 살려 ICT분야 청년 대상 스타트업 투자기업의 고문으로 취임한데 이어, 같은 해 7월 의친왕가의 후손들과 독립운동가의 자손들, 의친왕을 존경하는 국민들과 함께 대한제국 황실의 가장 큰 어른 [[이해경]](의친왕의 5녀)이 명예회장으로, 의친왕의 종손 이준 황손이 회장으로 추대되어 의친왕기념사업회[[https://www.instagram.com/korean.royals|#]]가 설립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친왕기념사업회_창립총회.jpg|width=100%]]}}} || || {{{#fff '''2022년 10월 21일 의친왕기념사업회 창립총회'''}}} || 사동궁, 운현궁, 대궁, 계동궁, 맹현가 등 대한제국 황실의 후손들과 [[김가진]] [[대동단]] 총재의 손녀 김선현 회장, 우사 [[김규식]] 박사의 손녀 김수옥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장 등 독립운동가의 후손들, 이태진 전 국사편찬위원장 등 학계와 김영란 경운회 회장, 장경수 [[장욱진]]문화재단 이사장 등 문화예술계 등 다양한 인물들이 의친왕기념사업회 창립총회 및 <의친왕과 황실의 독립운동> 전시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의친왕기념사업회를 설립 후 매년 8월 15일, 경기도 금곡에 위치한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 홍유릉 의친왕 묘역에서 [대한예전] 전통을 중심으로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를 봉행하기 시작했다.[[https://blog.naver.com/sadonggung/22319498617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친왕기신제1.jpg|width=100%]]}}} || || {{{#fff '''2023년 8월 15일 홍유릉에서 열린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 중 초헌관 이준 황손'''}}} || 현재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 및 5대 제향(조경단, 환구대제, 종묘대제, 사직대제, 건원릉제)과 각 조선왕릉 제향에 활동하면서 황실의 전통문화를 계승 및 보전하고, 의친왕의 독립운동 역사를 연구, 출판, 황실유물보존, 전시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6029900005?input=1195m|#]] 이준은 "대중적으로 '왕실이 무능하여 나라를 팔아먹었다.'는 프레임이 만연한 것이 안타까워, 의친왕과 황실독립운동 활동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가 이루어질 바란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27014800005|#]] == 가족관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황실계보도.jpg|width=100%]]}}} || ||<-2> {{{#fff ''' 대한제국 황실 계보도'''}}} || [[고종(대한제국)|고종]]은 3남 1녀^^(조졸 제외, 성인으로 생존한 자녀 기준)^^를 두었다. 첫째가 [[순종(대한제국)|순종황제]], 둘째가 [[의친왕]] 이강, 셋째가 [[영친왕]] 이은, 넷째가 [[덕혜옹주]]이다. 첫째 순종황제와 넷째 덕혜옹주는 후사없이 훙서하였고, 셋째 영친왕 이은의 아들 이구 황세손 역시 후사가 없어서 의친왕의 9남인 [[이해룡|이갑]] 황손의 장남 [[이원(1962)|이원]][* 본명 이상협]을 사후양자로 들여 영친왕계의 적통을 잇게 하였다. 2005년 당숙 [[이구(1931)|이구]]의 서거 후, 현 황사손 [[이원(1962)|이원]]과 함께 황사손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당시 황실의 가장 큰 어른이던 [[이해경]] 왕녀와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에서는 '이준은 사동궁 사손으로 의친왕가를 이어야한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황사손 지위는 손아래 사촌동생 [[이원(1962)|이원]]이 영친왕계로 출계하여 황사손에 봉직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현재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직계 후손들은 전부 의친왕계만 남았다. ㅁ 친고조부: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王 李昰應) ㅁ 친증조부: [[고종]] 태황제(高宗太皇帝) ㅁ 친조부: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ㅁ 적조모(왕비): [[의친왕비]](義親王妃) 연안 김씨(延安 金氏) 김수덕(金修德) ㅁ 친조모(계비): 수인당 김씨(修仁堂 金氏) 김흥인(金興仁) ㅁ 아버지: 황손 [[이곤(1919)|이곤]](皇孫 李錕) ㅁ 어머니: 황경생(黃庚生) ㅁ 본인: 황손 이준(皇孫 李浚) ㅁ 부인: 김성자(金成子) ㅁ 장남: 이범(李梵) ㅁ 차남: 이백(李柏) == 여담 == * 대한제국 의친왕가의 종손으로 황실 어른들의 기대 속에서 자랐으나, 어린 시절 방송과 언론의 잦은 노출로 부담감을 느껴 의식적으로 평범하게 살아가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그래서 잠시 정당 활동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평생 외국계 대기업에서 엔지니어로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았다. 그래서인지 의친왕 가문의 적통 종손임에도, 일반 대중에게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 의친왕기념사업회를 설립한 그 해 8월 15일, 첫 사업으로 [[홍유릉]] 의친왕묘에서 의친왕 기신제를 봉행하고, 10월, 국내 최초로 의친왕의 유물을 한데 모아 〈의친왕과 황실의 독립운동:기록과 기억〉[[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210160762Y|#]]이라는 제목의 전시를 경운박물관에서 3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 숙부 [[이석]]이나 둘째 고모인 [[이해원(1919)|이해원]][* 한 종교단체에 의해 대한제국 '여황제'로 등극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당시 황실 후손들이나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어느 곳에서도 인정하지 않은 여황제 등극이었다.]과는 달리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황실 복원 운동]]에는 회의적이다. 본인도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은 모든 국민이 왕인 나라이다. 다만 조선 왕실과 대한 황실의 유구한 전통과 궁중 문화가 이 시대에 다시 살아 숨쉬길 바라며, 할아버지 의친왕의 황실독립운동 활동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라고 밝혔다. 다섯째 고모 [[이해경]]과 황사손 [[이원(1962)|이원]]도 이준과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 휴일에는 전국의 의친왕과 대한황실 관련 유적지를 다니며 황실독립운동의 역사적 사료와 당시 생존자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PYH20221126041700013?input=1196m|#]] * 2022년 10월 24일 [[서울대학교]] [[이태진]]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병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반병률 교수, [[이해경]] 의친왕기념사업회 명예회장, 배선영 한국오륜대순교자박물관 관장을 초청하여 〈의친왕과 황실의 항일독립운동〉이란 제목으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참고 == * [[대한제국]] * [[고종(대한제국)|고종 태황제]] * [[의친왕]] * [[이건]] * [[이우]] * [[이곤]] * [[사동궁]] * [[덕수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준,version=44, paragraph=1.2)] [[분류:대한제국 황실의 후손]][[분류:사동궁 종주]][[분류:1961년 출생]][[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