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한민국의 교수''' [br] '''{{{+1 이종윤}}}[br]李鐘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종윤 교수.jpg|width=100%]]}}} || ||<|2> '''출생''' ||[[1945년]] [[2월 22일]] || ||[[경상남도]] [[산청군]] || || '''사망''' ||[[2023년]] [[5월 25일]] (향년 7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히토쓰바시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br]히토쓰바시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박사)}}} || || '''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br]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전무이사, 전문위원[br]한일경제협회 부회장[br]KT 경영고문[br]한일경제협회 상근부회장[br]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경영대학원 원장[br]한국국제통상학회 회장[br]한일경상학회 회장[br]전경련 무역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br]산업자원부 무역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br]상공회의소 자문위원 || || '''가족''' ||배우자 김영이, 슬하 2남 이준우·이동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 생애 == 그는 1945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4년부터 한국외대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교수 재직 기간동안 1999년 서울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한국경제의 과제와 금융정책적 대응'을 주제로 강연회를 갖었다. 또 2000년에는 서울 르네상스호텔 다이아몬드볼룸에서 김영호 산업자원부장관을 초청해 ‘개방화와 정보화 시대에서의 산업정책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열었다. 그리고 2002년에는 한국외대 총장직에 입후보하였으나 낙선했다. 이후 2006년 ´전시작전통제권 단독행사´ 반대 지식인선언에 서명하며 참여하였다. 2010년 퇴임한 그는 2011년 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한일경제협회와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의 상근책임자로서 한일 관계 연구 및 양국 간 협력 사업을 진두지휘했다. 이후 2017년 11월 한·일 협력에 기여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중수장'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2023년에는 미중갈등에 있어서 미국이 주도하는 방식 대로 일본과 협력해 극복해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사망 == [[2023년]] [[5월 25일]] 사망했다. 향년 78세. == 저서 == * 무역발전과 종합상사 * 국제통상환경변화와 한국경제의 대응 * 엔고에 따른 일본의 산업구조조정과 한국경제의 대응 * 주요국가의 경제모형과 경제학(共著) [[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1945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재직]][[분류:산청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