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정후)] [include(틀:이정후)]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정후]]의 개인 기록을 정리한 문서. == 첫 기록 == * 첫 출장 : 2017년 3월 31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LG 트윈스|LG]]전(개막전),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17/0002893534|교체 출전]] * 첫 선발 출장 : 2017년 4월 4일 [[사직 야구장|사직]]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1/0009162776|2번 및 중견수]] * 첫 안타 : 2017년 4월 4일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1/0009162971|동경기에서의 첫 타석.]] * 첫 홈런·첫 타점 : 2017년 4월 8일 [[잠실 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 * 첫 도루 : 2017년 4월 21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5회말에 2루 안착[* 당시 투수는 닉 애디튼, 포수는 김사훈이다.] * 첫 만루 홈런·첫 연타석 홈런 : 2022년 6월 12일 [[광주 KIA 챔피언스 필드|광주]] [[KIA 타이거즈|KIA]]전[* [[KBO 리그]] 통산 1000번째 만루 홈런의 주인공이 됐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20/0003433855|#]] ] == 통산 기록 =ㅔㅔㅔㅔㅔ === [[KBO 리그]] === ==== [[이정후/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HZkXnjVG3Q, width=640, height=360)]}}}|| || {{{#fff '''이정후, 고졸 신인 최다 안타 신기록 / YTN'''}}} || * 2017년 7월 9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KBO 리그]] 역대 7번째로 고졸 신인 첫시즌 100안타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578085|#]] * 18세 10개월 7일로 [[KBO 올스타전]] '''최연소 “베스트” 출전 기록''' 경신[* 2017 [[KBO 올스타전]] 나눔 올스타 외야수 부문에서 총점 39.91점을 얻어 [[최형우]], [[버나디나]]에 이어 3위로 프로 데뷔 첫 해부터 올스타전 무대에 서게 됐다. 고졸 신인의 베스트 선정은 2009년 [[안치홍]]([[KIA 타이거즈]])에 이어 두 번째로 올스타전이 열리는 7월 15일 기준으로 이정후의 나이는 18세 10개월 7일로 2009년 당시 19세 23일이었던 안치홍의 최연소 베스트 출전 기록도 경신했다.] * 2017년 8월 10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두산 베어스|두산]]전, 1994년 [[김재현(1975)|김재현]]([[LG 트윈스]])이 세운 고졸 신인 최다 안타 134개와 타이 / 135개 최다 안타 동시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085173|#]] * 2017년 9월 3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KIA 타이거즈|KIA]]전, 1994년 [[서용빈]]([[LG 트윈스]])이 세운 신인 최다 안타 157개와 타이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21&aid=0002923842|#]] * 2017년 9월 5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신인 최다 안타''' 158개로 '''23년 만에 신기록'''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15048|#]] * 2017년 9월 21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1994년 [[류지현(야구)|류지현]]([[LG 트윈스]])이 세운 109득점 기록을 넘어 '''110득점'''으로 '''신인 최다 득점 신기록'''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090586|#]] * 2017년 10월 3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고졸 신인 최초 전 경기 출장'''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2963218|#]] * '''고졸 신인 최초 3할 타율''' 달성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636282|#]] * 2007년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두산 베어스]]) 이후 10년 만에 나온 고졸 순수 신인왕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1&aid=0000792158|#]] ==== [[이정후/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 2019년 8월 22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KIA 타이거즈|KIA]]전, '''역대 최연소'''(21세 2일)-'''최소 경기'''(369경기 만)로 '''통산 500안타''' 달성[*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21세 10개월 14일, [[한화 이글스]]의 전 외국인 타자 [[제이 데이비스]]의 386경기이다.]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11034453|#]] ==== [[이정후/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6uGuFKsFlM, width=640, height=360)]}}}|| || {{{#fff '''[프로야구] 진화하는 이정후, 한 시즌 최다 2루타 신기록 / 연합뉴스TV'''}}} || * 2020년 10월 16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두산 베어스|두산]]전, [[KBO 리그]] 역대 1번째로 '''한 시즌 최다 2루타(48호)''' 달성[* 종전 기록은 [[한화 이글스]]의 전 외국인 타자 [[제라드 호잉]]이 기록한 47개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8/0002901903|#]] 이후 최다 2루타(49호) 달성 ==== [[이정후/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2021년 6월 20일 [[창원 NC 파크|창원]] [[NC 다이노스|NC]]전, '''역대 최연소'''(22세 10개월)-'''최소 경기'''(597경기 만)로 '''통산 800안타''' 달성[* [[웨스 파슨스]]를 상대로 우월 솔로포를 쏘아 올리면서 통산 800안타를 달성. 종전 기록은 [[이승엽]]([[삼성 라이온즈]])의 최연소(23세 10개월 12일), 아버지 [[이종범]]([[해태 타이거즈]])의 615경기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9/0004427640|#]] * 2021년 10월 15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역대 최연소'''(23세 1개월 25일)로 '''5년 연속 150안타''' 달성[* [[최채흥]]을 상대로 1회초 2루타를 치면서 5년 연속 150안타를 달성. 종전 기록은 [[NC 다이노스]]의 타자 나성범의 28세 11개월 8일이다. 무려 5년이나 앞당긴 것으로 [[박용택]](2012~2018년), [[최형우]](2013~2018년), [[손아섭]](2016~2021년), [[나성범]](2014~2018년)에 이은 역대 통산 5번째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45/0000030406|#]] * 2021년 10월 25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한화 이글스|한화]]전, KBO 역대 29번째 [[사이클링 히트]][* 아버지 [[이종범]]은 달성 못한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52/0001657125|#]] * 2021년 10월 30일 [[광주 KIA 챔피언스 필드|광주]] [[KIA 타이거즈|KIA]]전, 시즌 최종전에서 타율 0.360으로 시즌을 끝마쳐, 타율 부문 타이틀 홀더가 되며, '''세계 최초의 부자 타격왕'''에 등극[* 이정후의 아버지 [[이종범]]은 [[해태 타이거즈]]에서 활약하던 1994년 타율 0.393으로 타격왕에 오른 바 있으며, '''부자 타격왕'''은 KBO리그 40년 만에 처음인 것은 물론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와 일본 [[일본프로야구|NPB]]에서도 전무한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3/0010802314|#]] ==== [[이정후/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Sgai8AvOo, width=640, height=360)]}}}|| || '''{{{#white 키움 이정후, 최연소·최소 경기 1천 안타 신기록 |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40]]}}}''' || * 2022년 4월 17일 [[잠실 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 '''역대 최연소'''(23세 7개월)-'''최소 경기'''(670경기 만) '''통산 900안타''' 달성[*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최연소 24세 9개월, 아버지 [[이종범]]의 최소 경기 698경기이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8&aid=0002587113|#]] * 2022년 4월 20일 [[문학 야구장|문학]] [[SSG 랜더스|SSG]]전, '''3000타석 기준 통산 타율 1위'''(0.339) 등극[* 종전 기록은 故 [[장효조]]의 타율 0.331이다. 그리고 통산 타율은 은퇴하기 전까지는 그렇게 큰 의미를 두지 않는게 좋으나 선수 생활 내내 3할 고타율을 기록하면서 선수생활을 오래하고 은퇴해서 장효조의 통산 타율 0.331을 넘어선다면 그때는 진짜 불멸의 대기록으로 남으리라 생각한다.][* 2023시즌 종료 후에 7시즌 동안 0.340으로 기록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37/0000296411|#]] * 2022년 6월 24일 [[사직 야구장|사직]]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역대 최연소'''(23세 10개월)-'''최소 경기'''(725경기 만) '''통산 200번째 2루타''' 달성[* [[KBO 리그]] 역대 통산 85번째 기록으로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24세 7개월 2일, 758경기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17/0003617642|#]] * 2022년 7월 2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한화 이글스|한화]]전, '''역대 최연소(23세 10개월 12일) 역대 60번째로 6년 연속 100안타''' 달성[* [[KBO 리그]] 역대 60번째 기록으로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23세 11개월 9일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368559|#]] * 2022년 7월 28일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역대 최연소'''(23세 11개월 8일)-'''최소 경기'''(747경기 만) '''통산 1,000안타''' 달성[* [[KBO 리그]] 역대 통산 112번째 기록으로 종전 기록은 [[이승엽]]의 25세 8개월 9일, [[이종범]]의 779경기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241/0003222856|#]] * 2022년 8월 2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SSG 랜더스|SSG]]전, [[KBO 리그]] 역대 21번째로 6년 연속 200루타 달성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17/0003631278|#]] * 2022년 8월 13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한화 이글스|한화]]전, [[KBO 리그]] 역대 111번째로 통산 500득점 달성[* 역대 최연소 500득점 2위(23세 11개월 24일) 기록으로 1위는 [[이승엽]](23세 10개월 11일)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9/0004678236|#]] * 2022년 8월 30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역대 최연소'''(24세 10일)로 '''6년 연속 150안타''' 달성[* [[이민석(2003)|이민석]]을 상대로 5회 말 2사 만루의 상황에서 대타로 타석에 나서 2타점 적시타를 치면서 6년 연속 150안타를 달성. [[박용택]](2012~2018년), [[최형우]](2013~2018년), [[손아섭]](2016~2021년)에 이은 [[KBO 리그]] 역대 통산 4번째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10/0000890684|#]] * 2022년 9월 6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대구]]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KBO 리그]] 역대 최초 6년 연속 160안타''' 달성[* 데뷔 첫 20홈런 달성이자 히어로즈 구단 역사 사상 외국인 타자를 제외한 좌타자 첫 20홈런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380354|#]] * 2022년 10월 8일 [[잠실 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 시즌 최종전에서 타율 0.349(553타수 193안타), 23홈런, 113타점, 85득점, 출루율(0.421), 장타율(0.575)의 성적으로 마무리. 타율, 최다 안타, 출루율, 장타율, 타점 부문에서 1위를 지키며 남은 경기에서 순위가 뒤집힐 가능성은 희박해지면서 지난 2010년 [[이대호]]에 이어 12년 만에 [[KBO 리그]] 타격 5관왕을 사실상 확정 지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21009010900007|#]] * '''[[KBO 리그]] 역대 네 번째 2년 연속 타격왕'''[* 故 [[장효조]](1985~1987년), [[이정훈(1963)|이정훈]](1991~1992년), [[이대호]](2010~2011년) 이후 11년 만에 나온 기록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9/0004715009|#]] * '''[[KBO 리그]] 역대 두 번째 공식 타격 5관왕'''[* 2010년 타격 7관왕(최다안타, 타점, 득점, 홈런, 타율, 출루율, 장타율)을 이뤄낸 롯데 [[이대호]] 이후 KBO 역대 두 번째 타격 5관왕 이상이다. 현재 KBO 규정으로 타격 5관왕을 달성한 선수는 2010년 이대호를 포함한 총 5명으로 1982년 [[백인천]](최다안타, 득점, 타율, 출루율, 장타율),[* 또한 현재 까지 KBO 유일 4할이다.]1991년 [[장종훈]](최다안타, 득점, 홈런, 타점, 장타율), 1994년 [[이종범]](최다안타, 득점, 도루, 타율, 출루율), 1999년 [[이승엽]](최다득점, 홈런, 타점, 출루율, 장타율)이 있으나, 장타율상이 1984년, 안타상이 1990년, 득점상이 2000년에 신설된 탓에 공식적으로 5관왕 이상을 달성한 선수는 2010년 이대호뿐이라고 한다.] * 2022년 10월 22일 [[KBO 포스트시즌]] 17경기 연속 안타 달성[* 종전 기록은 [[류중일]], [[이정훈(1963)|이정훈]], [[안경현]]의 14경기 연속 안타]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9/0004725593|#]] * 2022년 10월 28일 [[KBO 포스트시즌]] 28경기 연속 출루 달성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44/0000845789|#]] * 2022년 10월 28일 [[KBO 포스트시즌]] 통산 타율 1위(0.385) 등극[* 종전 기록은 故 [[장효조]]의 타율 0.359이다. 하지만 [[한국 시리즈]]에서의 부진으로 통산 타율이 0.359으로 내려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64374|#]] * '''세계 최초의 부자 [[KBO MVP|MVP]]''' 등극[* 아버지 [[이종범]]은 데뷔 2년 차이던 1994년 타율(0.393), 안타(196개), 득점(113점), 도루(84개), 출루율(0.452) 1위에 올라 MVP를 거머쥐었다.] * 24세에 MVP에 선정됐던 아버지와 동나이인 24세에 MVP를 수상하면서 다시 나오지 않을 대업까지 세우게 됐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1/0013583204|#]] * [[류현진]](2006년 신인상·MVP), [[서건창]](2012년 신인상·2014년 MVP)에 이어 역대 [[KBO 리그]]에서 신인상과 MVP를 모두 받은 세 번째 선수가 됐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21/0006464944|#]] ==== [[이정후/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역대 최연소 7년 연속 세 자릿수 안타 달성 * 2023년 7월 11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kt wiz]]전, 역대 40번째, '''KBO 사상 최연소 기록''' 달성(24세 10개월 21일) === [[이정후/선수 경력/국가대표|국가대표]] === * '''대한민국 최초 동일 종목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야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종범|아버지]]에 이어, 16년 후에 이정후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야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야구 첫 부자 금메달리스트'''가 탄생했다. 특히 이 대회에서 아버지인 이종범이 코치로 참가하기도 했다. * '''세계 최초의 부자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 중인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블라디미르 게레로]]의 아들이다.]가 무릎 부상으로 갑작스럽게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WBC 최초 부자 출전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게 됐다. [[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08/0003133689|#1]]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1/0013800865|#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정후/선수 경력, version=399, paragraph=5)] [[분류:이정후]][[분류:인물별/활동 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