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문관]][[분류:이조판서]][[분류:공조판서]][[분류:형조판서]][[분류:1616년 출생]][[분류:1686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덕천군파]][[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예술가. 이름은 이정영(李正英), [[자(이름)|자]]는 자수(子修), [[아호|호]]는 서곡(西谷),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로, [[정종(조선)|정종]]의 10남 [[덕천군]]의 7대손이자 호조판서를 역임한 [[이경직]]의 아들이다 == 생애 == 1616년([[광해군]] 8년)에 태어났다. 21세이던 1636년([[인조]] 14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병자호란]]이 발발하고 [[조선]]이 패하면서 [[소현세자]]가 [[청나라]]로 끌려가자 [[사서]] 자격으로 같이 갔다. 언제 돌아왔는지는 모르나 [[http://sillok.history.go.kr/id/kpa_12011112_002|1642년(인조 20년) 윤 11월에 정언으로 임명받았다는 《인조실록》 기사를 보아]] 그 이전에 귀국한 듯 하다. 이후 사서, 부수찬, 수찬, 부교리, 교리 등의 관직을 지냈고 [[강원도]] [[삼척시|삼척]]에 [[암행어사]]로 파견나가 삼척부사 장자호를 징죄하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2603019_004|#]] [[효종(조선)|효종]]이 즉위한 후에는 헌납 등으로 제수받았다가 교리로 있던 1651년(효종 2년)에 [[경연]]에 술마시고 취한 상태로 들어와서 파직당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qa_10208007_003|#]] 이후 다시 부수찬을 거쳐 이조좌랑과 정랑 직을 역임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qa_10312010_002|#]][[http://sillok.history.go.kr/id/kqa_10407109_001|#]] 효종 말년에는 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 격인 [[도승지]]와[[http://sillok.history.go.kr/id/kqa_10808018_002|#]] 병조참의를 지냈다.[[http://sillok.history.go.kr/id/kqa_11003126_002|#]] [[현종(조선)|현종]]이 왕이 된 뒤에는 [[우승지]]를 거쳐 형조참판과 대사간 직을 맡았고 대사간으로 재직하던 중에는 남부 지방에 다녀와 지방 사람들의 [[민원]]을 현종에게 전하기도 했다. 호조참판을 지낼 때 진위 겸 진향 정사로서 [[홍주원]][* [[선조(조선)|선조]]의 적녀 [[정명공주]]의 남편. 작위는 영안위(永安尉)이다.]과 함께 [[청나라]] [[베이징|연경]]에 다녀오기도 했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0202020_001|#]], 평안감사로서 [[평안도]]에 파견나가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ra_10504005_001|#]] [[한성부|한성]]으로 돌아온 후에는 도승지와 [[이조(조선)|이조]], [[예조]], [[호조(조선)|호조]]의 참판, [[한성판윤]]과 우윤을 지냈다. 개성 유수로서 개성의 백성들을 다스리기도 했고[[http://sillok.history.go.kr/id/kra_11112020_002|#]] 임기를 마친 후에는 형조판서와 공조판서로 임명받았다. [[현종(조선)|현종]]의 [[국상]] 때 명정서사관으로 봉무했고, 1675년([[숙종(조선)|숙종]] 1년)에는 이조판서 직을 제수받았다. 그러나 얼마 못가 파직당했다. 이후 다시 형조판서와 한성부판윤으로 임명받았고, 판의금부사가 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211023_002|#]] 형조판서로 재직하던 중이던 1677년(숙종 3년)에는 시험 출제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켜 철원으로 유배갔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310009_001|#]] 풀려난 후에는 판돈녕부사가 되었고[[http://sillok.history.go.kr/id/ksa_10509006_001|#]] 판의금부사와 공조판서 직을 다시 제수받았으며 예조판서도 지냈다. 1685년(숙종 11년)에는 기로소에 들어갔고 이듬해인 1686년(숙종 12년) 4월 3일에 사망했다. 향년 71세였다.[*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를 적용한 기준이다. 만으로는 70세이다.] == 여담 == * 명필로 유명했으며, 특히 전서와 주서를 잘 썼다고 한다. 그래서 수많은 신도비와 비의 글씨를 썼다. 대표적으로는 이순신명량대첩비, 호판이경직비, 영안위홍주원비, 정여창비 등이 있다. == 가족 관계 == * 부 : [[이경직(1577)|이경직]](李景稷, 1577 ~ 1640) * 친모 : [[오씨|보성 오씨]](寶城 吳氏) - 오경지(吳景智)의 딸 * 누나 : [[경주 이씨|이시중]](李時中)의 처 * 누나 : [[진주 강씨|강홍익]](姜弘益)의 처 * 형 : 이장영(李長英, 1610 ~ ?) * 형 : 이후영(李後英, 1613 ~ ?) * 계모 : [[고성 이씨]](固城 李氏) - 이성길(李成吉)의 딸 * 이복 여동생 : [[해평 윤씨|윤세장]](尹世章)의 처 * 정부인 : [[청송 심씨]](靑松 沈氏) - 심장세(沈長世)의 딸 * 장남 : 이만성(李晚成, 1636 ~ ?) * 며느리 : [[성주 이씨]](星州 李氏) - 이인(李𡐔)의 딸 * 손자 : 이진유(李眞儒) - 차남 이대성(李大成)의 장남 * 장녀 : [[여산 송씨|송광연]](宋光淵)의 처 * 계부인 : [[문화 류씨]](文化 柳氏) - 류기선(柳基善)의 딸 * 차녀 : [[안동 김씨|김창국]](金昌國)의 처 - [[영빈 김씨]]의 모친 * 차남 : 이대성(李大成, 1651 ~ ?) * 며느리 : [[풍산 홍씨]](豊山 洪氏) - 홍만용[* [[정명공주]]의 차남](洪萬容)의 딸 * 손자 : 이진유(李眞儒) - 장남 이만성(李晚成)의 양자로 출계 * 손자 : 이진검(李眞儉) - [[이광사]]의 부친, [[이긍익]]의 조부 * 손자 : 이진휴(李眞休) * 손자 : 이진급(李眞伋) * 손자 : 이진위(李眞偉) - [[이건창]]의 6대조 * 손녀 : [[해주 최씨|최상관]](崔尙觀)의 처 * 3녀 : [[남양 홍씨|홍치상]][* [[숙안공주]]의 아들](洪致祥)의 처 * 4녀 : [[파평 윤씨|윤지인]][* 윤지완의 아우, [[민진원]]의 처숙부](尹趾仁)의 처 * 5녀 : [[창녕 조씨|조하언]][* [[정명공주]]의 외손자](曺夏彦)의 처 * 6녀 : [[청송 심씨|심정보]][* [[숙명공주]]의 아들](沈廷輔)의 처 * 7녀 : [[풍천 임씨|임사원]](任士元)의 처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3호 ||<|2> ← || '''94호''' ||<|2> → || 95호 || ||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 || '''효간공 이정영 묘역''' || [[신경진#s-3|충익공 신경진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4호}}}]]''' || ||<-2> {{{#fff {{{+1 '''효간공 이정영 묘역'''}}}[br]{{{-1 孝簡工 李正英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 32-79,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 32-79, 산44-7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基, 석물 9基, 토지 308.6㎡ || || '''{{{#fff 지정연도}}}''' || [[1994년]] [[5월 10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정영의묘.jpg|width=100%]]}}} || || {{{#F0AD73 ''' 이정영 묘[*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76&ccbaKdcd=21&ccbaAsno=009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현재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에 이정영의 묘가 있다. 봉분은 하나이며, 묘 앞에는 묘비와 상석이 있고 양 옆에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각 1쌍 씩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