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 선무공신)] 李廷馣 1541년 ~ 1600년 [목차]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호는 사류재(四留齋). [[임진왜란]] 당시에는 [[의병]]을 이끌고 의병장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 생애 == 1558년 진사가 되고 156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조정에 출사했다. 내직과 외직을 두루 거쳤으며 특히 외직으로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경상도 등 안가본 곳이 없을 정도다. 백성들을 수탈하던 탐관오리들과는 달리 백성들을 보살피고, 폐단을 근절[* 전란 중에도 이러한 폐단 근절을 위해 힘썼는지 [[난중일기]]에도 그 기록이 남아있다. 1593년 9월 7일자에 따르면, 당시 전라도 순찰사였던 이정암이 폐단을 진술하는 일에 대한 공문, 군제를 개편하는 일에 관한 공문 등을 이순신에게 보내왔다고 한다.]하여 민심을 얻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발발 당시에는 이조 참의로 있었는데, 전란 발발 후, 평안도로 몽진하던 선조를 호종하려 했으나 미치지 못하고, 전란을 막지 못하여 명목상 체직(직위 해제)되었다. 임무가 없어지자 그는 개성으로 가서 당시 개성 유수로 있던 동생 [[이정형]]과 합세하여 개성을 수비했으나, [[임진강]] 방어선이 함락되고 개성 또한 적의 수중에 떨어지자 동생과 함께 개성을 탈출, [[황해도]] 초토사로 임명되어 의병장이 되었다.[* 이정암의 동생 이정형은 선조가 [[이순신]]이 출전명령을 안따르자 노발대발하며 길길이 날뛰고 신하들도 부하뇌동하며 파직을 거들고 있을때, [[정탁]]과 함께 유일하게 옹호해줬던 인물이기도 하다.] 의병장으로서 이정암이 세운 최대의 전공은 바로 [[연안성 전투]]다. 전란 발발 후 4개월이 지난 8월 28일에 일본 제3군 사령관 [[구로다 나가마사]]가 직속 병력 5,000여명을 이끌고 연안성을 공격해오자, 의병 1,400여명의 병력을 규합해 연안성을 수비, 사흘 밤낮으로 싸우던 끝에 격퇴했다. 이런 혈전을 끝내고 이정암이 올린 장계가 대단한데, >以二十八日圍城 以二日解去(이이십팔일위성, 이이일해거) >'''28일에 성을 포위했다가 2일에 포위를 풀고 물러갔습니다.''' 라는 한 줄 짜리 장계를 올려 조정을 심히 당황케 했다.[* 이걸 현대에 비유하면 태풍 관련 보고서에 태풍이 지나간 기간만 적은 것이다. 상위 관청 입장에선 당황을 넘어 어처구니가 없을 상황이고 곧바로 당사자에게 전화를 걸어 경과를 구체적으로 써서 다시 보내라할 사안이다.] 물론 나중에 그 상세한 내막이 전해지자 조정에서 '적을 물리치는 일은 쉽지만 이를 자랑하지 않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치하했고, [[선조(조선)|선조]] 또한 정2품의 벼슬을 제수하고 황해도 관찰사 겸 순찰사로 임명했다. 이후로도 전라도, 충청도 등을 오가며 관찰사를 지냈는데 특히 충청도 관찰사로 있을 때는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때 죄수를 임의로 처벌한 것이 논란이 되어 잠시 파직을 당했다가 다시 황해도 관찰사로 돌아왔다. [[정유재란]] 때에도 초토사로서 황해도 일대를 수비했으며, 전란 평정 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났다 얼마 안가 죽었다. 사후 전란 당시의 공적이 인정되어 [[김시민]], [[이억기]] 등과 함께 선무 [[공신]] 2등에 이름을 올렸다. 2008년에 북한에서 그의 무덤을 발굴했다고 한다.[[http://v.media.daum.net/v/20081231110310198?f=o|*]] == 대중매체 == [[김성한(작가)|김성한]]의 소설 [[7년전쟁(소설)|7년전쟁]]에서는 의외로 등장이 빠른데 동래 부사를 맡던 시절부터 등장한다. 일본 사절단으로 꾸민 쓰시마의 [[유즈야 야스히로|다치바나 야스히로]]의 행동에 수상함을 느끼고 전운을 직감한다. == 가족관계 == 링크를 들어가면 이정암의 부모부터 형제자매, 자녀 등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37320|선원록_이정암문서]] == 관련 문서 == * [[서정일록]] * [[연안성 전투]] [[분류:1541년 출생]][[분류:1600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임진왜란/군인]][[분류:조선 의병장]][[분류:조선 선무공신]][[분류:조선의 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