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의협비룡회는 흥미로운 문파다. >의협비룡회의 발도각은 대표적인 전투조직이다. >발도각주의 무공은 구파의 주축 고수에 준하거나 그 이상이다. >의협비룡회의 청천각은 일반 문파의 집법원에 해당한다. >죄 지은 문도들을 심판하는 기구지만, 문도들의 일탈이 드물어 집법원으로서의 기능은 유명무실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도들보다 악행을 일삼는 마두들을 심판하는데 도리어 더 큰 비중을 둔다. 문파 내 감찰기관이라기보다는 즉시 전력감의 전투조직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다. >청천각주는 발도각주와 우열을 가리지 못할 고수다. >의협비룡회에는 여의각이라는 정보조직 있다. >이들의 정보력은 유수의 거대 문파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다. >여의각주인 운거모사 양무의는 관가의 수배자로 알려져 있지만, 작금에 와서는 관에서도 제지가 없다. 황실과의 관계 확인이 요망된다. >.....중략..... > >의협비룡회의 주요 고수들은 거의 예외 없이 외부 출신 인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의협비룡회 개파 후 자생적으로 키워낸 무인들 중, 개인으로 주목받을만한 고수는 아직 강호 전면에 드러나지 않았다. 행여 절정 이상의 고수가 있다 하더라도 그 숫자는 극히 적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의각에는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특수조직이 있다. >용린각(龍鱗閣)의 존재가 확인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여의각 산하 용린대로 발족 되었던 조직이다. >용린각주는 무명(武名)이 알려지지 않았다. 무공 수위도 불분명 하다. 이름 두자만 간신히 알았다. >용린각주 이전. 대(對) 요괴 부대를 운용한다는 정보가 있다. >용린각주는 여의각 대원 출신이며 순수하게 문파 내에서 양성한 무인으로는 의협비룡회 각주 직에 발탁 된 첫 사례라고 하였다. >용린각주와 적벽군사는 형제지간이다. 적벽군사는 최근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신진 모사다. >의협비룡회가 보유한 천잠보의 세 벌은 용린각에서 관리한다고 알려져 있다. 진위는 아직 분명치 않다. >---- >한백무림서 한백의 일기, >의협비룡회 중에서[* 천잠비룡포 외전 - 이전 이야기(1)] 무협소설 [[한백무림서]]의 등장인물. [[의협비룡회]] 용린각주. == 상세 == 적벽 출신. 적벽군사 이복과 형제. 여동생 이화[* 사고사. 마차에 치어서 사망.], 이위[* 병사. 병명 비탈저.]가 있었으나 둘 다 어린 나이에 사망. 형제 순서는 이전 > 이화 > 이위 > 이복 순. == 작중 행적 == === [[천잠비룡포]] === === [[천잠비룡포 외전 - 이전 이야기]] === [[분류:한백무림서/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