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재호)] [[파일:b31c9d735183e43b659ee5a865669eed.jpg]] 1964.12.29 ~ 1986.05.26 (향년 21세) >고난에 찬 한국현대사는 일찍이 [[조선]]말기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 침략으로부터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민족의 진정한 해방을 위한 투쟁사는 새로운 조건변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일시 단절된 채 현대사의 진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서서히 떠오르는 광명을 맘으로부터 준비하듯, 역사는 그 알맹이로부터 외압의 모든 구차한 껍데기들을 과감히 쳐부수기 위한 일보를 내딛으려 한다. (중략) '''역사는 미루지 않고, 선도적으로 실천하는 자만을 알맹이로 한다.''' - 그의 1985년 8월 15일자 일기 中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열사]]. == 생애 == === 유년 시절 === [[1964년]] [[12월 29일]] [[광주광역시]] 북구 용두동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적 꽤나 다재다능했고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던 그가 사회현실에 대해 자각하기 시작한 것은 [[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때였다. 그때가 바로 1980년이었고 그가 살던 광주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이 발생했다. 이재호는 고등학생의 신분으로 5.18 당시의 광주를 겪어야 했다. 이후 고등학교 공부를 마치고 1983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이때 부모는 [[법대]]를 희망했지만 그는 '''"법 이전에 정치"'''라며 정치학과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1986년부터 본격적으로 [[반미]] 운동에 참여했다. 3월 경에는 '반전반핵 평화옹호투쟁위원회'에 참여해 위원장 직을 맡아 반미 시위를 주도했다. 또 당시에는 대학생 2학년들을 대상으로 최전방 부대에 입소하여 군사훈련을 받는 '[[교련#s-5.2|전방입소교육]]'이라는 교과 과정이 존재했는데[* 요즘 말로 하면 '''군대도 안 간 대학생들을 일정 기간 군대에 보내 군대예비체험(?!)'''을 받게 하는 격이다.] 이재호는 이를 '미제의 용병 교육'이라고 규정하고 '전방입소훈련 전면거부 및 한반도 미제군사기지화 결사저지를 위한 특별위원회(전방입소거부특위)'의 부위원장의 직위로 '''전방입소교육 거부투쟁'''[* 이에 대한 내용은 [[교련#s-5.4|관련 항목]]을 참고하길 바란다.]에 나섰다. 전방입소거부특위는 4월 28일[* 이 날 학생들이 전방입소교육을 하러 들어갔다.]에 [[서울대학교도서관|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에서 농성을 벌일 계획이었지만 학교 측은 이를 눈치채고 문을 닫아걸었다. 이에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도서관으로 농성장소를 바꿨지만 이마저도 경찰의 압력으로 27일 해산되었다. [[1986년]] [[4월 28일]][* 이날 벌어진 더 정확한 상황에 대해서는 [[김세진·이재호 분신사건]] 문서를 참조하라.] 400여명의 학생이 신림사거리로 모였는데 그는 [[김세진(열사)|김세진]]과 함께 근처의 건물 옥상에 올라가 유인물을 뿌리고 '''"양키의 용병교육 전방입소 결사반대!"'''라고 외쳤다. 경찰들이 몰려와 학생들을 때리면서 진압하자 둘은 폭력진압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으나 경찰이 이를 무시하자 결국 [[분신]]했다. 이재호는 분신 직후 [[한강성심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몸 전체 중 80%가 3도 화상을 입은 처참한 상태였고 1달 후인 [[5월 26일]] 세상을 떠났다. === 사후 === 사후 이재호는 자기 집안 선산에 묻혀 있다가 1994년 망월동 5.18 묘역으로 옮겨졌으며 1988년에는 '김세진이재호열사추모사업회[* 현 김세진이재호기념사업회.]'가 세워졌고 2001년에는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을 받아 명예도 회복되었다. 2008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받아 졸업도 할 수 있었다. == 여담[* [[김세진(열사)]] 문서의 여담과 겹치는 것이 많으니 유의 바란다.] == * <[[벗이여 해방이 온다]]>가 그와 [[김세진(열사)|김세진]]열사를 추모하기 위한 노래다. * 그가 폐지를 주장하면서 목숨을 버리게 한 전방입소교육은 1987년에 선택과목이 되었고 1988년에야 폐지되었다. * 그와 김세진을 기리는 추모비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옆 잔디밭에 있다. * 서울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모여 그와 김세진의 추모식을 매년 거행하고 있다. * 그와 김세진을 기리는 추모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point.nhn?code=47043|<과거는 낯선 나라다>]]가 2008년 상영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07xaAcu1Tp8|#]] 다큐멘터리 형식인데 사실상 그와 김세진에 대한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인터뷰 영상을 모아놓은 것이다. * 그와 김세진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싶다면 [[http://snu.osasf.net/|김세진이재호기억저장소]]라는 사이트가 있으니 들어가 보길 추천한다. * 2006년 [[북한]]이 민주 열사 31명을 자기들 마음대로 북한 대학교에 명예학생으로 등록시키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재호는 김형직사범대학 김일성동지혁명력사학부 사학과 3학년으로 등록되었다. == 참고 자료 == [[http://www.snujn.com/news/23986|자주, 평화, 통일을 부르짖은 이재호 열사를 기억하다]] [[http://snu.osasf.net/items/show/16346|이재호 열사 가족 인터뷰 문서]] [[분류:북구(광주) 출신 인물]][[분류:1964년 출생]][[분류:1986년 사망]][[분류:열사]][[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