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재현(야구선수))]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 소속 유격수인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의 선수 경력을 서술한 문서. == 아마추어 경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고 이재현.jpg|width=100%]] }}} || || '''{{{#fff 서울고등학교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jTf1UhXpDA)]}}} || || '''{{{#fff 서울고등학교 시절 타격&수비}}}'''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에 진학하여 2학년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활약하기 시작하였으며,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으로 덕수고 [[한태양]]과 함께 서울권 내야수 투탑으로 떠올랐다. 3학년 들어서는 타격에서 더 발전한 모습을 보이며 타율을 3할 후반까지 끌어올렸고, 투수로 출전하여 13이닝을 소화하면서 호투하기도 했다. 3학년 봄 [[고교야구 주말리그|주말리그]]에서는 그저 그런 활약이었으나, [[황금사자기]]에서 6할에 가까운 맹타를 휘둘러 스카우터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1차 지명 후보로 급격히 떠올랐다. 하지만 같은 학교에 150km/h 강속구의 최대어 [[이병헌(2003)|이병헌]]이 있어서 동일학교 중복 지명 불가 규정에 따라 지명되기 어렵다는 예측이 대부분이었다. 서울권은 3팀이나 되기 때문에 이병헌이 4순위로 밀려나야 이재현의 서울권 1차 지명 가능성이 생기는데, 이병헌의 퍼포먼스로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으로 여겨졌다. 1차 지명이 얼마 남지 않은 시기에 이병헌의 팔꿈치 수술 소식이 들리며 '혹시?'하는 여론이 있었지만 두산이 예상대로 이병헌을 1차 지명하며 이재현은 전국 지명으로 흘러나왔다. 소문에 따르면 [[키움 히어로즈]]가 이재현을 원했다고 한다. 전국 지명은 동일학교 중복 지명 불가 규정이 적용되지 않고, 특히 지명 직전인 2021 시즌 내야진이 붕괴 수준에 가까웠던 [[삼성 라이온즈]]의 유력한 지명 후보로 떠올랐다. 전년도 성적 8위로 앞에 두 팀이 더 있었지만, 9위 [[SSG 랜더스]]의 [[윤태현]]은 지명 전부터 유력한 후보로 전국 지명을 하지 않을 것이라 일찌감치 예상되었고 10위 [[한화 이글스]]의 [[문동주]]는 [[KIA 타이거즈]]가 거르더라도 한화가 놓칠 리가 없다는 평가였기 때문에 삼성까지 순위가 밀린 것이다. 삼성의 지역구에도 대구의 [[진승현]]과 [[박상후(야구선수)|박상후]], 강릉의 [[최지민]]이 있었지만 전원 1차 지명 후보감이라기엔 약간 아쉬운 수준[* 결과적으로 최지민이 1라운드 5번, 진승현이 2라운드 4번, 박상후가 3라운드 2번으로 그나마 최지민이 고순위긴 했지만 상위순번은 아니었다.]이었고 전국지명 경쟁자였던 충청의 [[박준영(2003)|박준영]]의 평가도 내려간 상황이라 지명 전부터 삼성행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었다. [[삼성 라이온즈]]에서는 마침 2021 시즌 주전 키스톤 [[김상수(타자)|김상수]], [[이학주]]가 쌍으로 부진하고, 졸지에 파워툴이 0에 가까운 신인 [[김지찬]]이 주전 유격수를 보게 된 상황이라 팬들 사이에서 이재현을 원하는 여론이 꽤 높아졌다.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서는 아예 '삼재현'이라 부르며 지명 전부터 이미 삼성 선수 취급을 하기도 했다.[* 삼성 유니폼과 이재현의 얼굴이 합성된 사진이 커뮤니티와 삼성 팬들의 인스타그램에 자주 올라올 정도였다.][* 당시 이재현이 더그아웃 매거진에서 인터뷰 했는데 삼성 팬들이 관심 가져주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명 전이어서 그런지 파란색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파란색‘도’ 좋아한다는 말을 했었다.]그리고 지명된 후 삼성 라이온즈 공식 유튜브에서도 삼재현이라 불렀다. [[최형우]]의 보상선수로 91년생 즉시백업감 내야수 [[강한울(야구선수)|강한울]]을 데려온 것을 시작으로 FA로 [[이원석(1986)|이원석]]을, 신인지명서 야심차게 90년생 해외파 내야수 [[이학주]]를 지명하고 김상수까지 붙잡으면서 세대교체 대신 즉전감 내야뎁스를 구성했던 삼성 입장에서는 세대 교체의 시한이 점점 다가오고 있고, 이를 유예하기 위해 언더사이즈 즉시백업감 내야수 김지찬을 지명했으나 김지찬 또한 1군의 벽을 마주한 터[* 정확히는 수비 부분. 공격은 신체 스펙을 감안하면 장타툴은 거의 없어도 이를 다소 만회하는 컨택트와 스피드가 있긴 하나, 수비, 그 중에서도 송구 부분이 부정확한 상태다.]라 차세대 내야수의 포텐셜이 있으면서 수비 능력 또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재현을 지명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삼성 라이온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gout_이재현.jpg|width=100%]]}}} || 예상대로 8월 27일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자가 되었다. 여담으로 2009 신인지명 [[김상수(타자)|김상수]] 이후 무려 13년만에 야수가 삼성의 1차로 지명을 받게 되었으며, 전면드래프트 시절을 포함해도 2013 신인지명 [[정현(야구선수)|정현]] 이후 9년만에 삼성의 첫 순번으로 야수가 지명을 받았다. 구단도 기대감이 컸는지 지명 공식 발표 전날에 이름까지 마킹한 팀 유니폼을 준비해 서울고로 가서 미리 기념 사진을 찍어 두었다. 발표 전이었기 때문에 교내 학생들 눈에 띄지 않게 조심해서 찍었다고 한다. 삼성팬들은 이재현이 제2의 [[박진만]], 혹은 그 이상이 되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2021년 10월 12일, 삼성 라이온즈와 계약금 2억 2천만원에 계약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323193|#]] 다른 1차 지명자보단 비교적 낮은 금액이지만, 지명 경쟁 상대였던 한화의 박준영보다는 약간 높은 금액이다. ===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_hit_jaehyun.jpg|width=100%]]}}}|| || {{{#white [[삼성 라이온즈/2022년/4월#s-3|{{{#white 2022년 4월 2일 수원에서 열린 kt와의 개막전}}}]]에서 데뷔 첫 타석에서 데뷔 첫 안타를 때려내는 이재현의 모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 부상으로 결장하는 때가 많았음에도 7홈런을 때려내며 '''고졸 신인 유격수 데뷔 시즌 최다 홈런'''을 달성, 본인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수비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파워에 비해 다소 부족한 컨택과 어린 나이를 감안해도 절망적인 타출갭과 매우 적은 볼넷 때문에 선구안에서의 개선은 필요해 보인다.[* 볼넷이 고작 5개로 홈런 수보다 '''적다'''.] ===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빼뱀10호홈런.jpg|width=100%]]}}}|| || {{{#white [[삼성 라이온즈/2023년/8월#s-5-1|{{{#white 2023년 8월 11일 문학에서 열린 SSG와의 경기}}}]]에서 데뷔후 첫 두자릿수 홈런을 달성하는 이재현의 모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 생애 첫 풀타임 시즌. 리그 유격수 중 최상위권의 수비력은 물론 후반기에는 타격 재능까지 개화하며 창단 이래 최악의 시즌을 달리는 팀의 몇 안되는 볼거리가 되었고 소포모어 징크스 따위 씹어먹어버리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왼쪽 어깨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계속 주전으로 출전시키는 박진만의 혹사가 우려 사항. == 국가대표 경력 == === ~~[[WBSC U-18 야구 월드컵|2021 WBSC U-18 야구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대재현.jpg|width=100%]] }}} || [[미국]] [[플로리다]] 브랜든턴에 열리는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1|제 30회 WBSC U-18 야구 월드컵 대표팀]]에 선발되었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대회가 2022년으로 미뤄지며 국가대표로 나서진 못하게 됐다. [[KBSA]]에서는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U-23 국가대표]]와 연습경기를 주선해주며 플로리다에는 가지 못 했지만 자그만한 추억을 만들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22 ||<|2> [[삼성 라이온즈|삼성]] || 75 || 230 || .235 || 54 || 4 || 0 || 7 || 23 || 23 || 0 || 6 || .343 || .254 || || 2023 || 143 || 458 || .249 || 114 || 19 || 2 || 12 || 60 || 61 || 5 || 58 || .378 || .330 || ||<-2> '''[[KBO 리그|KBO]] 통산'''[br](2시즌) || 218 || 688 || .244 || 168 || 23 || 2 || 19 || 83 || 84 || 5 || 64 || .366 || .306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재현(야구선수), version=156, paragraph=2)]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