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치인 별명]][[분류:이재명/밈]]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재명)] [include(틀:이재명)] [목차] == 개요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인 [[이재명]]의 [[별명]]에 관한 문서. == 긍정적 별명 == === (잼)파파/(개)아빠/아버지 === [[https://mbn.co.kr/news/politics/4762819|이재명 "개딸은 세계사적 의미"]] [[https://m.kmib.co.kr/view.asp?arcid=0017054034|“아빠 사랑해요”…이재명 등장에 환호한 '2030 개딸'들]] 말 그대로 아빠라는 뜻이다. [[이재명]] 의원의 [[여성]] 팬덤인 [[개딸]]들과 연계되어 생겨난 별명으로, 2022년 [[20대 대선]] 이후 이재명 대표의 지지층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 전투형 [[노무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재명 전투형 노무현.jpg|width=100%]]}}} || 이재명 의원이 [[성남시장]] 시절 거침없는 언행, 강한 행정 추진력 등으로 탄생한 별명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486892|#]] === 갓재명 === 신을 뜻하는 갓(GOD)와 [[이재명]] 의원의 이름인 재명을 합친 별명이다. [[이재명]] 의원의 시원시원한 언행과 일처리를 치켜세우는 별명이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1271366762179|#]]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6&aid=0001619549|#]] === 천재명 === [[이재명]]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20대 대선]] 후보 시절 리퍼블릭케이가 운영하는 자본시장 전문 유튜브 채널 '와이스트릿'의 '대선 후보 릴레이 토크 1탄, 1,000만 주식 투자자를 위한 대통령은 누구인가'에 출연한 이후 나온 별명이다. [[이재명]] 후보가 이 자리에서 [[공매도]] 제도 개선, [[대기업]] [[배당]] 확대, 장기·가치투자 문화 정착, 해외 주식 투자자 국내 투자로 유인 등 주식시장에 대한 평소 생각 막힘없이 이야기 하자 누리꾼들이 댓글을 통해 "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오래 고민하신 것 같다. 이 정도면 천재명 아니냐?", "투명성과 기업 배당이 늘어나도록 대안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주식 고수였다니. 대통령이 되면 주식시장 활성화와 가치투자가 자리 잡도록 부탁한다" 등 호평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12014260004212|#]] 이후 경기도 국정감사, 관훈 토론회, 외신 기자 간담회 등에서 [[이재명]] 의원이 국내 외 현안에 대해서도 수월하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마다 [[이재명 갤러리]] 등 이재명 지지 성향 커뮤니티에서 언급되는 별명이기도 하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국민학교]] 중퇴에 중고등학교 못 다니고 공장일을 했지만 검정고시 쳐서 [[중앙대학교]] 법대 합격하고 변호사가 되었다는 게 이 별명이 나온 배경이다. === 어대명/어후명 === 어대명은 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의 줄임말이었고 어후명은 '어차피 후보는 이재명'의 줄임말이다. 또한 2021년을 기점으로 한때는 대권주자 지지율 원톱이었던 [[이낙연]]이 이명박근혜 사면 논란 및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지지율이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었고, 이재명이 반사이익을 보게 되는 걸 표현한 별명이다. 광주·전남에서 [[이낙연]] 전 대표가 첫 승을 거뒀지만 불과 122표 차이 ‘신승’에 그치고 전북에선 54.55%로 과반 이상 득표하면서 최종적으로 [[이재명]] 지사가 민주당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에서 합산 1위로 승리하며 대세로 굳혀지면서 불리게된 별명이다.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10925046800001|#]] [[https://www.google.com/amp/s/m.mk.co.kr/news/politics/view-amp/2021/09/880153/|#]] [[https://news.v.daum.net/v/20210916112014664|#]] [* 민주당내외 관계자들은 민주당의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으며 더이상의 어대명은 없다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973|#]]] === [[고길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재명 고길동.jpg|width=100%]]}}} || 2021년 11월 30일 방영된 [[옥탑방의 문제아들]]에서 패널들이 이재명에게 가장 좋아하는 별명을 묻자, 만화 [[아기공룡 둘리]]에 나오는 등장인물 [[고길동]]을 꼽았다. 그러면서 SBS의 부부 동반 관찰 예능프로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동상이몽]]'에 출연했을 때 잠에서 막 깬 부스스한 머리 스타일에 파자마 차림의 소탈한 모습을 보고 시청자들로부터 얻은 애칭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20108050000521|기사]]. 심지어 닮았다는 말도 많았다. 한편, 2017년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에서 이 별명을 얻었을 무렵 KBS판 [[아기공룡 둘리(1987년 애니메이션)|아기공룡 둘리]]의 [[고길동]] 역을 맡은 성우의 이름이 동명이인인 [[이재명(성우)|이재명]][* 이 때문에 성우 [[이재명(성우)|이재명]]이 활동 안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넷상에서 가끔 [[https://twitter.com/audemyung/status/1607678862615511040|언급]]([[https://youtu.be/ZWR8-8Dusxo?t=43|영상]])된다.]이라는 사실을 알게된 이재명은 자신의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884603918990188544|트위터]]에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5239|재미있는 우연]]이라고 적은 바 있다. 심지어 선거 유세 중에 [[고길동]] 봉제인형을 들고 등장한 적도 있으며, 방송에서 언급 당시 "안경 쓴 고길동"이라는 말도 나왔고, 본인이 고길동을 그리자 자화상을 그린 게 아니냐는 말도 불거졌다. 뿐만아니라 선거 유세철에 '''국민을 업은 고길동'''이라는 말도 등장했다. [[https://youtu.be/rsZTWesEKcQ|#]]. 그리고 [[윤석열]] 당시 후보에게 빙하타고 내려온 둘리[* 그런데 정작 [[윤석열]]의 별명 중에는 둘리가 없다.]같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pAjEDOvz6n4|말한 적]]이 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655612|기사]] === 이잼 === 이잼은 이재명의 줄임말로 팬들이 이재명 후보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이다.[[https://v.daum.net/v/20220626150853905|#]] === 이장님 ===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에서 부여한 별명이다. 이재명은 재명이네 마을의 이장을 맡아달라는 요청에 '이장직'을 수락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https://v.daum.net/v/20220404172811545|#]] == 다의적 별명 == === 한국판 [[버니 샌더스|샌더스]] === [[이재명]] 의원이 본인을 [[버니 샌더스]]에 비유하면서 붙인 별명이다. 일각에서 본인을 [[도널드 트럼프]]에 비유하기도 했지만, 본인은 트럼프에 비유되는 걸 거부하고 샌더스로 불러달라고 하기도 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04/2016120400229.html|#]]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264818|#]] 이후 2021년에는 [[로이터]]에서도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를 '한국의 샌더스'로 부르며 "폭등하는 집값과 열악한 청년 고용 등으로 현 정권에 실망한 유권자들을 파격적인 경제 공약으로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과거와는 달리 [[이재명]] 후보는 이 별명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버니 샌더스가 대권 도전에 실패했기 때문.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GN2VWC0|#]] 홍콩계 증권사인 CLSA도 [[이재명]] 후보의 경제정책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스테로이드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한국경제가 상당한 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라 부정적으로 전망하며 이재명을 '포퓰리스트', '한국의 샌더스'로 소개하기도 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9172728i|#]] === 사이다/김빠진 사이다 === 전투형 노무현과 마찬가지로 시원시원한 행정 추진력과 언행이 마치 사이다처럼 시원하다고 해서 불려진 별명이다. 언론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사이다라는 단어가 대중적인 유행어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이 2016~2017년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정치인으로서는 최초로 '사이다'라는 별명을 갖게 된 샘이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71815400002557|#]] 다만 한편으로는 본 별명이 이재명을 비판하기 위한 부정적인 용도로도 사용되곤 하는데 잘 알려진 사이다 행보와 반대되는 답답하거나 비판적인 행보를 보일 때마다 이재명을 '김 빠진 사이다'에 비유하는 보도들도 나와 마냥 긍정적 의미로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20217064442297|#]]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71405441|#]] === 싸움꾼/싸움닭 === 반대파를 가차없이 질타하고 논쟁을 즐기는 이재명의 직설적인 언행을 빗대는 표현이다. 또한 '욱하는 성격' 때문에 발생한 '형수 욕설' 논란이 계속 따라다닌 양면의 장단점이 있는 스타일이라고 [[한겨레]]에서 분석하였다. [[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0943.html|#]] 막상 이재명 본인은 이 별명을 굉장히 싫어한다고 TV 프로그램에서 밝혔다. === 이재명명백백 === 이재명 + 명명백백(明明白白). 브랜드 네이밍 전문가인 [[손혜원]] 전 의원이 이재명의 로고로 이재명명백백을 제안하면서 만들어진 별명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5315|#]]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은 “손혜원 전 의원이 ‘이재명명백백’이라는 슬로건을 제안한 모양인데, 말 그대로 명명백백하게 진실을 밝히고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할 것”이라며 “후보직을 사퇴하고 법적 책임을 받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언급해 비판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207000294|#]] === 잼/잼지사 === 이재명 이름 석자를 한글자로 줄인 단어이다. 이재명 본인은 [[라임튜브|한 어린이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을 때 "잼 아저씨"라고 자기 소개로 사용하기도 했다. [[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201500039|#]] 이재명이 [[닷페이스]]에 출연하였을 때 유튜브 라이브에서의 반응으로 한 네티즌이 "잼(이재명) 후보가 문제의 심각성을 모르는 듯. 안타깝다"면서 이재명을 비판할 때 해당 별명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107_0001717020&cID=10301&pID=10300|#]] === 잼칠라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 3.1. 문단의 정치인 관련 문서 규정에 따라 제도권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별명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제도권 언론에 해당 별명이 존재할 경우에만 추가 바랍니다. ##뉴스 검색 결과 링크: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sm=tab_jum&query=찢칠라 [[파일:잼칠라.jpg|width=100%]][* 친칠라의 사진에다가 이재명처럼 보이게 눈을 찢은 다음에 안경과 주름을 그려넣고, 손을 추가한 것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935003|급변하는 李 팬덤…강성 '싸움닭'서 친근 '잼칠라'로 - 매일경제]] 이재명과 닮은 흰색 [[친칠라]] 사진 때문에 친 이재명 성향의 여초 커뮤니티에서 이재명의 이름을 줄인 잼으로 바꿔 붙여진 별명. 최초는 [[남자 연예인 갤러리]]의 개념글에서 [[https://m.dcinside.com/board/m_entertainer_new1/2042031|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원본이 디시인지라 '찢칠라'라는 명칭으로 불리웠으나, 이것이 여초 커뮤니티에 퍼지면서 명칭도 잼칠라로 순화되며 유행하기 시작했다. [[https://www.google.com/search?q=%EC%9E%BC%EC%B9%A0%EB%9D%BC&client=ms-android-samsung-ss&source=android-browser&prmd=inv&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i2KnW7cD2AhVUC94KHZUQC0UQ_AUoAXoECAIQAQ&biw=384&bih=670&dpr=1.88|#]] 이후로는 이재명 지지자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는 긍정적 별명이었으나 역시나 반이재명 커뮤니티인 야갤에서 [[문코리타]]와 유사한 극실사화 버전이 만들어지며[[https://youtu.be/oMvHvptGC18?t=10|(혐주의)]] 부정적 의미를 동시에 지니게 되었다.[* '제작자인 '전두환옥마을'은 [[문코리타]]를 비롯한 '문켓몬스터' 시리즈를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일반 버전은 봐줄 만하다는 평이 대다수이지만 디시가 만든 버전은 처음 나왔을 때 매우 혐오스럽다고 기겁했던 [[문코리타]]가 이젠 정말 [[다시 보니 선녀|선녀로 보인다]]는 반응이 디시인사이드 전반에서 나올 정도다. == [[/부정적|부정적 별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재명/별명/부정적)]